메뉴 건너뛰기

서울 강동구 대형 싱크홀 사망 1명 부상 1명
누수로 작업 난항… 17시간 만에 시신 수습
원인 규명 조사 착수, 지하철 공사 연관성도
경찰이 25일 서울 강동구 한영외고 앞 도로의 대형 싱크홀(땅 꺼짐) 현장 주변을 통제하고 있다. 전날 이곳에서 직경 20m, 깊이 20m 규모의 싱크홀이 발생해 오토바이를 운전하던 30대 남성이 떨어졌고, 이날 숨진 채 발견됐다. 하상윤 기자


서울 도로 한복판에 생긴 직경 20m, 깊이 20m 규모의 대형 싱크홀(땅 꺼짐)에 매몰됐던 오토바이 운전자가 끝내 숨졌다. 서울시는 싱크홀 인근 서울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와의 연관성 등을 염두에 두고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섰다.

소방당국은 사고 현장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인근 도로에서 25일 브리핑을 열고 오토바이 운전자 박모(34)씨가 이날 오전 11시 22분쯤 싱크홀 중심에서 약 50m 떨어진 곳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고 밝혔다. 박씨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다. 박씨는 전날 오후 6시 30분쯤 이곳을 지나다 땅이 꺼지며 떨어졌다. 강동소방서는 이날 새벽 싱크홀에서 박씨 휴대폰과 오토바이를 찾았고 사고 발생 17시간 만에 시신을 수습했다.

싱크홀에 누수된 물 2,000톤이 토사 6,480톤과 섞인 채 고여 있었고 인근 공사장 중장비까지 뒤엉켜 박씨 수색에 난항을 겪었다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 김창섭 강동서 소방행정과장은 "밤새 물을 빼고 중장비를 투입해 바닥부터 긁어내는 작업을 진행한 후 (박씨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했다. 당시 이곳을 지나던 40대 여성의 부상은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여성은 몰고 있던 승합차가 잠깐 싱크홀로 들어갔다가 턱에 뒷바퀴가 걸려 튕겨져 나와 머리, 허리, 우측 다리에 경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25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 한 사거리에서 전날 발생한 싱크홀(땅 꺼짐) 사고로 지반이 드러나 있다. 강예진 기자


사고 원인으로는 인근 상수도 누수로 인해 연약해진 지반이 주저앉았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노후 상하수도 누수는 지하수로 생긴 지반 아래 빈 공간(공동)과 함께 싱크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를 막으려면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지하 빈 공간을 탐지할 인력과 장비를 갖추고 실질적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해 문제라는 지적이 이전부터 제기됐다.

서울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가 대형 싱크홀 발생에 영향을 줬는지도 검토될 예정이다. 싱크홀 주변에는 지하철 터널을 뚫는 굴착 공사가 한창이었다. 야간작업에 투입된 작업자 네댓 명이 터널에 들어갔다 누수를 확인하고는 이상 징후를 느끼고 대피했는데, 지상 교통 통제 등 사후 조치를 하기도 전에 지반이 무너졌을 가능성이 있다.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관계자는 "터널 굴착 지점과 싱크홀 지점이 거의 일치한다"며 "공사와 사고의 연관성을 100% 배제하진 않고 있다"고 말했다.

사고 장소는 서울시가 내달부터 싱크홀 예방 점검을 하려던 지점이었다. 서울시는 지하 빈 공간 예방을 위해 정기 점검은 5년에 한 번씩, 특별 점검은 해마다 1, 2회 시행한다. 강동구 싱크홀 부근은 2019년 서울시의 마지막 정기 점검과 지난해 12월 국토교통부의 특별 점검 모두 이상이 없었다. 지난해 국토부 특별 점검으로 따로 정기 점검을 하지 않은 서울시는 다음 달부터는 자체 특별 점검을 시행할 예정이었다. 사고 장소 일대가 서울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 공사장 인근이라 특별 점검 대상에 포함됐다.

24일 서울 강동구 한영외고 앞 도로에서 직경 20m, 깊이 20m가량의 대형 싱크홀(땅 꺼짐)이 발생한 가운데 25일 경찰이 사고 현장을 통제하고 있다. 하상윤 기자


서울시는 관계 기관 및 전문가들과 원인 규명 등을 위한 합동 조사에 나선다. 국토부가 발표한 싱크홀 예방 대책이 이행됐는지도 조사에 포함된다. 국토부는 지난해 연약지반 공사 시 착공 뒤에도 관리자가 안전도를 점검하도록 하고, 하천 주변 등 고위험 지역을 2년에 걸쳐 전수조사하는 안을 추진했다.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이라 경찰도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경찰 관계자는 "박씨 부검을 검토 중"이라며 "사고 원인이 나오면 건설사의 법규 위반 여부 등을 확인할 방침"이라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87 '산불 추경'마저 여야 합의 공전…韓경제 2분기도 안갯속 랭크뉴스 2025.03.30
46186 화상·굶주림... 동물도 피해 심각... 우리 갇혀 떼죽음 위기도 랭크뉴스 2025.03.30
46185 홈플러스, 이달 회생 개시 전 사흘 치 임원 급여 4천여만 원 지급 랭크뉴스 2025.03.30
46184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183 식물도 ‘조기 건강검진’…잎에 찌르는 진단용 주사기 개발 랭크뉴스 2025.03.30
46182 3월 마지막 날까지 춥다··· 산불 위험도 계속 랭크뉴스 2025.03.30
46181 최상목 가고 그가 오니 용산도 활력... 다시 정국 중심에 선 한덕수 [정치 도·산·공·원] 랭크뉴스 2025.03.30
46180 [중년 여성의 알바 생활] 외제차 끌고 나온 ‘알바’ 여사님들 랭크뉴스 2025.03.30
46179 '유흥 성지' 오명 벗어던지고…휴가철 인구 무려 30배 불어난 '이곳' 어디? 랭크뉴스 2025.03.30
46178 “미안합니다” 600년 넘게 젊었던 느티나무도 화마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0
46177 이재명 '골프사진 조작' 비판한 국힘 겨냥, SNS 올린 사진 한 장 랭크뉴스 2025.03.30
46176 [속보]10일째 맞은 산청 산불 진화율 99%…“진화 총력” 랭크뉴스 2025.03.30
46175 [속보] 경찰 '경북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산림보호법 위반" 랭크뉴스 2025.03.30
46174 세계적 투자 대가 짐 로저스, 美 주식 팔고 새로 산 종목은[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랭크뉴스 2025.03.30
46173 '이민 천국'이던 뉴질랜드…"헬이다" 자국 청년들 탈출 급증, 왜 랭크뉴스 2025.03.30
46172 "트럼프, 관세 더 세게 나가라 주문"… 자동차 가격 인상에는 "신경 안 써" 랭크뉴스 2025.03.30
46171 민주당, 文 전 대통령 소환 통보에 격앙…“무도한 칼춤” 랭크뉴스 2025.03.30
46170 관세에 내일부터는 공매도까지…개미는 어찌 할까요 [선데이 머니카페] 랭크뉴스 2025.03.30
46169 트럼프 "관세 의한 車값 상승 신경안써…소비자들 미국차 살것" 랭크뉴스 2025.03.30
46168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98%로 낮아져,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