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합뉴스

[서울경제]

올해 들어서만 30% 가까이 하락했던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 주가가 급등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부과를 보류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면서 그동안 테슬라를 짓눌렀던 관세 리스크가 일부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2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는 전일 대비 11.93% 상승한 278.3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가는 약 4% 오른 258.08달러에 거래를 시작하더니 상승 폭을 더 확대해 급등 마감했다. 지난해 미 대선 다음날인 11월 6일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 마감이다.

테슬라 주가는 지난해 12월 18일(488.54달러) 최고점을 찍은 이후 8주 연속 하락해 반토막이 났다. 미 트럼프 대통령이 개시한 관세전쟁 격화와 경기침체 우려에 더해 최근 정치 행보를 이어가는 일론 머스크 CEO에 대해 전 세계 소비자들의 반감이 커진 결과다.

시가총액도 8954억 달러로 불어나 9000억 달러에 바짝 다가섰다. 최근 주가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데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4월 2일 발표 예정된 상호관세 계획에 대해 일부 국가 관세 부과를 면제할 수 있다고 시사하면서 테슬라 주가가 치솟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관세의 일부 면제 가능성에 대해 "나는 많은 국가에 면제를 해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음달 2일 상호 관세를 발표하기 전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먼저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머스크 CEO가 지난 20일 직원 전체 회의에서 회사가 험난한 상황을 겪고 있지만 테슬라의 미래가 밝다며 주식을 팔지 말라고 한 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테슬라의 지난해 매출은 중국 전기차업체 BYD에 밀린 것으로 나타나 치열한 경쟁 상황에 놓였다. BYD는 이날 늦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지난해 1년간 매출이 전년 대비 29% 증가한 7770억 위안(1069억 달러·157조원)으로, 1000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인 7660억 위안을 웃도는 매출로, 같은 기간 테슬라의 매출 977억 달러를 뛰어넘었다. 순이익도 전년 대비 34% 증가한 403억 위안(55억 달러)으로, 월가 예상치(395억 위안)을 넘어섰다.

BYD는 지난해 176만대의 전기차를 출하해 테슬라(179만대)보다 적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승용차를 포함한 차량 인도량은 427만대를 기록했다. BYD는 올해 첫 두 달 동안 판매량이 전년 대비 93% 증가한 62만 3300대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5개월째 중국 출하량이 전년 대비 감소하고 있지만 BYD는 중국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71 [속보] 경북도지사 “산불 잔불정리 오늘 마무리…뒷불감시 전환” 랭크뉴스 2025.03.30
46270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랭크뉴스 2025.03.30
46269 "화장실서 매일 쓰는 건데 어쩌나"…비누 속 꽃향기가 뇌세포 손상 시킨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8 발생 213시간 만에 꺼진 산청 산불… 산림 1,858㏊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7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컸나…불신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6 방콕서 지진에 왜 '건설 중' 33층 건물만 붕괴?‥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265 국민의힘, '줄탄핵' 경고에 "명백한 내란 자백‥정당해산 심판 대상" 랭크뉴스 2025.03.30
46264 혁신당, 헌재에 ‘화병’ 위자료 집단소송 추진…“4일까지 선고일 지정” 랭크뉴스 2025.03.30
46263 한부모 월평균 양육비 58만 원인데…10명 중 7명 “한 푼도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3.30
46262 [가족] "내일 안락사 확정"… 봉사자 다급한 전화로 구조된 강아지 '빵떡이' 랭크뉴스 2025.03.30
46261 핵무장론 부추기는 외교부의 '민감국가' 해명... 논란은 끝나지 않았다 [문지방] 랭크뉴스 2025.03.30
46260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민주당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259 [속보]산림청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발생 213시간 만에 꺼졌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8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진화‥역대 2번째 오래 탄 산불 랭크뉴스 2025.03.30
46257 [산불 속보 (오후)] 경남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213시간 여 만 랭크뉴스 2025.03.30
46256 남편이 성폭행한 10대, 60대 아내는 4번이나 찾아가 "합의를" 랭크뉴스 2025.03.30
46255 [단독] 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4 尹탄핵 정국에 文 소환 통보…전주지검장 "어떻게 처분 안하냐"[이슈추적] 랭크뉴스 2025.03.30
46253 [속보] 213시간만에 꺼진 산청 산불, 축구장 2602개 면적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2 교민 인명피해 아직 없어‥"구조 기다리는 중"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