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서 완성차 120만대 생산체제 구축
루이지애나주, 270만톤 제철소도 건립
전기차 핵심부품 현지 조달 추진

대규모 투자로 관세리스크 해소
트럼프 "현대차 관세 안 내도 돼"
도널드 트럼프(왼쪽 둘째) 미국 대통령과 만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왼쪽)이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국경제신문


210억 달러.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부터 4년간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금액이다. 한화로 약 30조8000억원에 달한다. 이번 대규모 투자로 현대차는 미국에서 관세를 부과받지 않게 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이 같은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정 회장은 이 자리에서 “우리가 미국에 진출한 이래 가장 큰 규모의 투자”라고 소개했다.

정 회장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은 1986년 미국에 진출한 이후 그간 2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왔다. 50개 주 전역에서 57만개 이상의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투자를 계기로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확대해 미국에서 톱티어 기업으로서 위상을 강화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는 ‘자동차’, ‘부품·물류·철강’, ‘미래산업·에너지’ 등 세 개 부문으로 나뉜다.
“현지 톱티어 기업으로 도약”자동차 부문에서 현대차그룹은 총 86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 현지 생산 120만대 체제를 구축한다.

현재 현대차그룹은 2004년 가동을 시작한 현대차 앨라배마공장(36만대)을 시작으로 2010년 기아 조지아공장(34만대), 올해 HMGMA(30만대)를 완공하며 미국에서 100만대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앨라배마와 조지아공장 등도 고품질 신차를 지속 생산할 수 있도록 생산설비의 현대화, 효율화 등 보완 투자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향후 120만대 생산 체제 기반을 확실히 다진다는 계획이다.

부품·물류·철강 부문에서는 완성차-부품사 간 공급망 강화를 위해 현대차·기아와 동반 진출한 부품·물류·철강 그룹사들이 총 61억 달러를 집행한다.

HMGMA 생산능력 확대에 맞춰 설비를 증설해 부품 현지화율을 높이고, 배터리팩 등 전기차 핵심부품의 현지 조달을 추진한다.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270만톤 규모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한다. 저탄소 자동차 강판 특화 제철소로, 고품질 자동차 강판의 현지 공급을 통해 관세 등 불확실한 대외 리스크에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또 견고한 철강 수요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해 철강 분야 신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산업·에너지 부문에서는 63억 달러를 투입한다. 자율주행, 로봇, AI,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신기술과 관련된 미국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고 현대차그룹 미국 현지 법인인 보스턴 다이내믹스, 슈퍼널, 모셔널의 사업화에 속도를 낸다.

미래 기술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선제적 투자도 집행한다.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분야와 전기차 충전소 확충에도 힘을 보탠다. 현대건설은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과 올해 말 미국 미시간주에 소형모듈형원전(SMR)을 착공을 추진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해 미국 텍사스주 태양광발전소 사업권을 인수한다. 2027년 상반기 상업 운전을 가동하는 것이 목표다. 미국 내 자동차기업들과의 전기차 초고속 충전 서비스 연합체인 아이오나(IONNA)를 통해 충전소 설치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의 대규모 투자에 트럼프 대통령도 화답했다.

그는 “현대는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 것이다. 그 결과 관세를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며 “이번 투자는 관세가 매우 강력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현대차그룹의 투자로 한국과 미국의 경제 활성화가 촉진되고, 양국 간의 경제협력이 더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가 일고 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87 '산불 추경'마저 여야 합의 공전…韓경제 2분기도 안갯속 랭크뉴스 2025.03.30
46186 화상·굶주림... 동물도 피해 심각... 우리 갇혀 떼죽음 위기도 랭크뉴스 2025.03.30
46185 홈플러스, 이달 회생 개시 전 사흘 치 임원 급여 4천여만 원 지급 랭크뉴스 2025.03.30
46184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183 식물도 ‘조기 건강검진’…잎에 찌르는 진단용 주사기 개발 랭크뉴스 2025.03.30
46182 3월 마지막 날까지 춥다··· 산불 위험도 계속 랭크뉴스 2025.03.30
46181 최상목 가고 그가 오니 용산도 활력... 다시 정국 중심에 선 한덕수 [정치 도·산·공·원] 랭크뉴스 2025.03.30
46180 [중년 여성의 알바 생활] 외제차 끌고 나온 ‘알바’ 여사님들 랭크뉴스 2025.03.30
46179 '유흥 성지' 오명 벗어던지고…휴가철 인구 무려 30배 불어난 '이곳' 어디? 랭크뉴스 2025.03.30
46178 “미안합니다” 600년 넘게 젊었던 느티나무도 화마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0
46177 이재명 '골프사진 조작' 비판한 국힘 겨냥, SNS 올린 사진 한 장 랭크뉴스 2025.03.30
46176 [속보]10일째 맞은 산청 산불 진화율 99%…“진화 총력” 랭크뉴스 2025.03.30
46175 [속보] 경찰 '경북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산림보호법 위반" 랭크뉴스 2025.03.30
46174 세계적 투자 대가 짐 로저스, 美 주식 팔고 새로 산 종목은[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랭크뉴스 2025.03.30
46173 '이민 천국'이던 뉴질랜드…"헬이다" 자국 청년들 탈출 급증, 왜 랭크뉴스 2025.03.30
46172 "트럼프, 관세 더 세게 나가라 주문"… 자동차 가격 인상에는 "신경 안 써" 랭크뉴스 2025.03.30
46171 민주당, 文 전 대통령 소환 통보에 격앙…“무도한 칼춤” 랭크뉴스 2025.03.30
46170 관세에 내일부터는 공매도까지…개미는 어찌 할까요 [선데이 머니카페] 랭크뉴스 2025.03.30
46169 트럼프 "관세 의한 車값 상승 신경안써…소비자들 미국차 살것" 랭크뉴스 2025.03.30
46168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98%로 낮아져,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