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의성군 옥산면 황학산에서 발생한 산불로 연기가 인근 마을을 뒤덮고 있다. 성동훈 기자


지난 22일 경북 의성 안평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시로 계속 확산되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이 있는 안동 풍천면도 산불 영향권에 들어갔다. 안동시가 전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린 가운데 산림청은 전국에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고 총력대응에 나섰다.

안동시는 25일 의성 산불이 안동 풍천면 등 관내로 급속도로 확산하자 이날 오후 5시5분 “관내 전역으로 산불 확산 중”이라면서 “전 시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달라”는 내용의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은 강풍을 타고 동진해 전날 안동 길안면으로 번진 데 이어 이날 오후들어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까지 직선거리로 10㎞ 앞인 안동 풍천면까지 확산했다. 이 지역에는 이날 오후 3시31분 대피 명령이 내려진 바 있다.

의성 산불의 확산세가 심상찮은 상황에서 이날 전북 고창에서 산불이 새로 발생했고, 진화가 끝났던 충북 옥천에서는 산불이 20시간 만에 되살아났다. 결국 산림청은 이날 오후 오후 4시 전국 모든 지역에 대해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했다.

산불위기경보가 ‘심각’으로 상향 발령된 지역에서는 소속 공무원(직원)의 4분의 1 이상과 소속 공익근무요원 2분의 1 이상이 배치 대기해야 한다. 군부대 사격훈련이 제한되고, 입산 통제구역에 대한 입산 허가도 중지된다.

의성 산불은 안동으로 확산하면서 진화에 어려움이 더해지고 있다. 이날 낮 12시 기준 의성 산불의 진화율은 60%에 머물고 있다. 전날과 비교해 진전이 없다.

의성 산불의 피해영향구역은 1만4483헥타르(㏊)로 추정된다. 전날밤인 24일 오후 8시 기준 의성 산불의 영향구역은 8490ha였다. 하룻밤 새 여의도 면적 20배에 달하는 6000ha 가량의 구역이 추가로 산불 영향권에 들어간 것이다.

산림당국은 이날 진화헬기 77대와 인력 3836명, 진화차량 457대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현장 브리핑에서 “지난 밤 1771명의 진화인력을 투입해 산불 확산 저지에 나섰지만 바람의 영향으로 진화율이 낮아졌다”고 말했다.

이날도 오후부터 초당 순간최대풍속 10∼20m의 바람이 불고, 낮 최고기온도 25도 정도까지 올라가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더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정오 기준 전국 산불영향구역은 총 1만6617㏊다. 2000년 4월 강원 강릉·동해·삼척·고성 산불(2만3913㏊)과 2022년 3월 강원 강릉·동해·삼척·경북 울진 산불(2만523㏊)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크다. 지난 1월 미국 LA 대형산불의 피해면적(2만2810ha)의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소방청은 의성 산불이 안동지역으로 확대된 전날 국가소방동원령 3호를 발령했다. 대규모 재난 시 발령되는 최고 단계의 소방동원령으로 현재까지 전국에서 총 320대의 펌프차와 소방공무원 506명이 투입됐다. 전남도와 강원도가 각각 헬기 8대, 17대를 지원하는 등 전국 여러 지역에서 힘을 보탰다.

경상 지역 산불로 지금까지 사망 4명을 포함해 15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주택과 창고, 사찰, 공장 등 건물 152곳이 산불 피해를 봤다. 이재민은 모두 2506세대·5489명으로 아직 1641세대·4244명은 여전히 임시 대피소 등에 머물고 있다.

의성 산불의 확산으로 고속도로 통행도 통제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이날 오후 3시30분부터 인근 산불 확산으로 인해 서산영덕고속도로 안동JC∼청송IC 양뱡한 통행을 전면 차단한다고 안내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
46059 프로야구 30일 NC-LG 창원 경기 취소…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 랭크뉴스 2025.03.29
46058 산불 피해 반려견 사료 2톤 도난…“청년 대여섯명이 실어가” 랭크뉴스 2025.03.29
46057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3.29
46056 창원NC파크서 철제구조물 추락… 여성 2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3.29
46055 ‘입꾹닫’하고 사는 세상, 용기 내볼까[이다의 도시관찰일기] 랭크뉴스 2025.03.29
46054 ‘고중량 운동’하는 남성, 이 병을 조심하자[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5.03.29
46053 보통 50~60km 깊이인데… 너무 얕은 '10km 진원'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52 “헌재 빨리 판단 내려야”…주말 탄핵 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6051 이재명 "국힘 '골프사진 조작' 비판…진실 직시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6050 일요일 아침 ‘꽃샘추위’ 영하권… 전국 건조하고 강풍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