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5일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싱크홀(땅 꺼짐) 사고 발생으로 교통이 통제되고 있다. 뉴스1

25일 서울 강동구 도로 한복판에서 발생한 지름과 깊이 각 20m 싱크홀(땅꺼짐)에 매몰됐던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소방당국은 싱크홀 사고가 난 지 17시간 만인 이날 오후 12시36분 오토바이 운전자 30대 박모(33)씨를 구조했다. 박씨는 헬멧을 쓰고 바이크 장화를 착용한 상태로 발견됐다고 한다. 발견 장소는 싱크홀 하부, 지하철 9호선 공사장 터널 구간 바닥 부근으로 싱크홀 중심에선 50m 정도 떨어져 있었다.

앞서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1시 37분쯤 싱크홀 아래 지하철 9호선 공사장에서 운전자의 것으로 확인된 휴대전화를 발견했다. 이어 2시간 후인 오전 3시 30분에는 싱크홀 하부에 쌓인 토사 근처에서 번호판이 떨어진 오토바이가 발견됐다. 김창섭 강동소방서 소방행정과장은 “구조대상자가 핸드폰이 발견된 곳보다 더 앞쪽(싱크홀 쪽)에 있을 거라 예상했는데 오히려 그 반대였다”고 설명했다. 사고 소식을 접한 유가족은 “우리 애기 깨워야 해”, “확인을 다시 해달라”며 통곡했다.

박경민 기자

소방은 싱크홀에 매몰됐던 오토바이 운전자를 구조하는 데 상당한 난항을 겪었다. 사고 직후 구조 대원 30여명이 로프를 이용해 싱크홀 안으로 들어가 구조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단의 균열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소방 관계자는 “지하철 9호선 공사장에서 수직으로 내려가 싱크홀 사고 현장 쪽으로 나 있는 내부 터널로 우회했다”며 “토사를 일일이 파내는 방법밖에 없어 시간이 오래 걸렸다”고 말했다.

소방은 이날 밤샘 배수 작업을 통해 상수관이 터져 싱크홀 내부로 유출된 물 2000t을 빼내고 구조대원 17명과 인명구조견 1두를 투입했다. 물이 빠져나가 단단해진 흙을 포크레인 2대 등 중장비를 동원해 퍼내거나 사면화(경사면 안정화) 하면 이후 잠수복을 입은 구조대원들이 접근하는 식이었다. 현장엔 단단해진 흙을 퍼내느라 부러진 삽이 곳곳에 널려 있다고 한다.

25일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도로에서 전날 발생한 대형 땅꺼짐 현장의 모습. 연합뉴스

소방은 또 이날 오전 10시 40분부터 인근 주유소 지하 기름 탱크에서 기름을 모두 빼내는 작업을 병행했다. 김 과장은 “내부 작업을 하며 진동이 생길 수 있고, 지표면 안정화 공사도 필요해 탱크로리 5대로 기름을 모두 빼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싱크홀은 지난해 8월 장마철에 발생한 연희동 싱크홀과 달리 초봄에 발생했다. 지반 약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집중 호우와 폭염이 없었던 만큼 계절적 요인보다는 상·하수도나 가스, 통신 등 지하 매설물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전국 땅꺼짐 현황’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전국에서 805건의 싱크홀이 발생한 가운데 원인으로는 하수도 손상이 336건(41.7%)으로 가장 많았다.

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가 싱크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 소방당국은 싱크홀 중심부가 지하철 공사장 입구에서 약 80m 떨어진 곳에 있다고 밝혔다. 다만 지하철 공사장 관리 책임자는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공사 과정 중 (땅꺼짐) 조짐이 있었는지와 관련해 아는 바가 없다”며 “(사건 수습 후) 다시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이날 현장을 방문한 이재혁 서울도시기반시설본부 토목부장은 “지하철 공사와의 연관성을 배제하지 않고 고려하고 있다”며 “정밀 조사를 통해 원인을 분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예상치 못한 대형 싱크홀 사고에 주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했다. 이날 오전부터 거리에 나와 사고 현장을 지켜본 15~20명의 주민 중 일부는 “도로가 불안정한데 사고 지점에서 도보로 5분 떨어진 주택가에선 땅을 파는 공사가 진행 중”이라며 발을 동동 굴렀다. 인근 아파트 주민 박영덕(69)씨는 “평소 산책하며 걸어 다니는 곳이 이렇게 꺼질 줄 누가 알았겠느냐”며 ”아직 도로가 울퉁불퉁한데 같은 사고가 발생할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25 청송군, 부남면 일부 지역 주민에 대피명령‥"산불 재발화" 랭크뉴스 2025.03.30
46124 주한미군도 감축되나?…美, 전투사령부 통합·주일미군 확장 중단[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3.30
46123 한가인·홍진경 다이어트 비결은 '이것'…저속노화 열풍에 뜬다 [쿠킹] 랭크뉴스 2025.03.30
46122 ‘18억 CEO’의 스타일 변신, 북미 시장을 홀린 LG생활건강 이정애의 승부수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3.30
46121 "홍장원 응원" 만두차 "김용현 영웅" 옹호글…'내란 팬덤' 생겼다 랭크뉴스 2025.03.30
46120 ‘무죄’ 이후 여론 주도권 확보한 이재명[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3.30
46119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율 ‘전남 25.8%’···전국에서 가장 높아 랭크뉴스 2025.03.30
46118 ‘튀김 꽃이 피었습니다’…BBQ의 심장 ‘치킨대학’ 탐방기 랭크뉴스 2025.03.30
46117 이제 쿠팡 제주도·쓱 광주도 새벽배송…물류 인프라 사활 랭크뉴스 2025.03.30
46116 "라면부터 우유·맥주 미리 쟁이세요…4월부터 가격 다 오릅니다" [똑똑! 스마슈머] 랭크뉴스 2025.03.30
46115 尹 ‘탄핵 이슈’에 ‘관세 폭탄’까지...“한국이 위험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114 [Why]트럼프가 틱톡 살리기에 나선 이유 랭크뉴스 2025.03.30
46113 "장남 민주 잘못, 차남에게 기회 달라"…조국당 호남서 반전 노리나 랭크뉴스 2025.03.30
46112 감기인 줄 알았는데…"접촉 땐 90% 감염" 베트남發 홍역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111 “연금개혁 비판은 악질적인 세대 갈라치기…정치인들, 제도 이해부터 해야” 랭크뉴스 2025.03.30
46110 이준기 9억, 유연석 70억까지···연예인이 국세청 세금 추징당하는 이유는?[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3.30
46109 10일째 맞은 산청 산불…'마지막 화선' 지리산 밤샘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108 [당신의 생각은] 아파트 단지 옆에 상가 아닌 데이터센터? “전자파 피해” “보상금 달라” 랭크뉴스 2025.03.30
46107 웹스크래핑, 문서 추출… 데이터저널리즘의 도구를 어떻게 벼릴까? 랭크뉴스 2025.03.30
46106 맥주부터 라면·우유 미리 사세요…다음주부터 가격 오릅니다 [똑똑! 스마슈머]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