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등록=제적, 집단휴학 승인 불가 원칙 재확인
휴학계 반려 이번 주 중으로 마무리
27일 등록 마감 서울대 학장단 복귀 호소
"망설일 시간 없어···용기 내 복귀해달라"
연세대 의대가 학생 881명 중 1학기 등록을 하지 않은 학생 398명(45%)에게 '미등록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 24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모습. 연세대는 미등록자를 오는 28일 제적 처리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의대를 운영하는 40개 대학이 미복귀 의대생 제적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점이 되는 등록일 마감일을 모두 지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휴학계 반려 절차를 마무리한 의대도 37곳으로 늘었다. 학칙에 따라 미등록 시에는 제적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의대 정원 철회를 위한 집단 휴학 승인 불가 원칙을 재확인함으로써 1년여간 지속되고 있는 의대 교육 파행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25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40개 의대는 의대생들이 돌아와야 하는 ‘복귀 데드라인’을 설정했다. 지난 21일 이미 마감을 한 5곳(연세대·연세대원주·고려대·경북대·차의과대)을 포함해 총 25곳만 마감일을 정했는데, 15곳 역시 최근 이번 달로 복귀 시한을 모두 설정한 것이다.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반려한 대학도 늘었다. 중앙대 등 2곳이 전날 휴학계를 반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총 37곳의 대학이 휴하계 절차를 마무리했다. 당초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지난 19일 영상 간담회를 갖고 21일까지 휴학계 반려를 완료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대학마다 수업 일수가 다르고, 학칙에 따라 수업 일수에 맞물려 휴학계 반려 시점을 정해야 하는 점 등을 고려해 일부 대학들은 휴학계 반려 시점을 고심해왔다. 실제 의총협이 휴학계 반려 시점을 21일로 합의한 지 하루가 지난 22일 기준 35개 대학이 휴학계를 반려했다. 그러나 이달 말인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이 다가오자 휴학계를 반려하지 않았던 대학들도 의대생들의 복귀를 독려하기 위해 휴학 미승인 대열에 동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중으로 의대 한 곳이 휴학계를 반려할 방침이고, 나머지 2곳은 학생들 설득 작업을 조금 더 진행한 후 이번 주 중으로 휴학계를 반려할 예정이라 이달 말이면 40개 의대가 집단 휴학 승인 불가 ‘단일대오’를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총장들과 의대 학장들은 대규모 제적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데드라인 전까지 의대생 설득에 집중하고 있다.

양오봉 의총협 회장은 “학칙대로 갈 수밖에 없다"며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을 경우 얻을 수 있는 게 하나도 없다. 너무 안타깝다”며 학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학장들 역시 학생들의 복귀를 거듭 호소했다.

서울의대 학장단은 이날 '학생 여러분과 학부모님께 드리는 글'을 통해 "더 이상 망설일 시간이 없기에 이 편지를 통해 마지막으로 간곡히 말씀드린다"며 "이제 용기를 내 부디 복귀해주시길 다시 한번 간절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서울대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은 이달 27일 오후 5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97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랭크뉴스 2025.03.29
45996 산불 속 봄 축제 고심…‘축소 진행’ 진해군항제 두고 갑론을박도 랭크뉴스 2025.03.29
45995 권성동 "'내각총탄핵'은 내란음모, 이재명·김어준·野 초선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94 미얀마 강진 사망자, 하루만에 1000명 넘었다…부상자 2376명 랭크뉴스 2025.03.29
45993 검찰, 천하람 소환… 명태균, 이준석 만난 '칠불사 회동' 확인 랭크뉴스 2025.03.29
45992 미얀마 혈액 턱없이 부족…"사망 1만명 이상, 여진 몇달 갈수도" 랭크뉴스 2025.03.29
45991 명태균 수사팀, ‘칠불사 회동’ 천하람 원내대표 참고인 조사 랭크뉴스 2025.03.29
45990 권성동 “‘내각 총탄핵’ 예고 민주당 초선의원·이재명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9 부동산 계약 체결 후 잔금지급기일 이전 매도인이 사망하면?[이철웅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랭크뉴스 2025.03.29
45988 권성동 "'내각 줄탄핵 경고' 민주당 초선·이재명 등 72명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7 [속보] 산림청, 경남 산청·하동 오늘 주불 진화 어려워…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86 경찰, 의성 산불 발화 추정 지점 현장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3.29
45985 "한국 0% 성장" 충격 전망 나와…관세·계엄 여파에 성장률 줄하향 랭크뉴스 2025.03.29
45984 권성동 "이재명·김어준·野초선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었다…외교부 “30억원 인도적 지원 결정” 랭크뉴스 2025.03.29
45982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랭크뉴스 2025.03.29
45981 점복 대신 에이, 레몬 대신 귤…'폭삭',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
45980 권성동 "'내각총탄핵' 이재명·김어준·野초선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79 효성 故조석래 회장 1주기 추모식… "혜안·도전정신 이어받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978 효성 故조석래 회장 1주기 추모식…“혜안·도전정신 이어받아 격랑 헤쳐 가겠다”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