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에서 주민이 집 주변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불을 가리키며 안타까워하고 있다. 김정석 기자
“의성에서 난 산불이 여기까지 올 줄 누가 알았겠니껴. 밤새도록 한숨도 못잤니더.”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 이 마을에 살고 있는 이영희(65)씨는 집 뒷산에서 지금도 일렁이고 있는 불꽃을 바라보며 말했다. 그는 “여기서 40년 넘게 살고 있지만 이렇게 지독한 산불은 처음”이라며 “산불진화대원들이 불을 꺼도 꺼도 계속 되살아난다”고 했다.

이씨는 전날 오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는 명령에도 집을 떠나지 못했다. 그는 “산에서 시뻘건 불이 능선을 타고 내려오고 있는데 집을 버리고 대피했다가 모두 다 타버리면 누가 책임져 주나”라며 “농기계와 각종 자재는 멀리 옮겨두고 집 주변에 계속해서 물을 뿌리면서 집을 지켰다”고 말했다.



“여기까지 산불 넘어올 줄 몰랐다”
전날 오후부터 의성을 넘어 안동까지 산불이 번지면서 경계지역인 길안면에 화선이 형성됐다. 문제는 여전히 산불 확산이 멈출 기미가 없다는 점이다. 바람이 잦아드는 주간에는 연기가 짙게 내려앉아 헬기가 뜨기 어렵고, 헬기가 뜨지 못하는 야간에는 다시 강한 바람이 불어 산불이 확산되는 악순환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에서 주민이 집 뒷산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불을 지켜보고 있다. 김정석 기자

산림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은 바람을 타고 동쪽으로 번지고 있다. 산불피해영향구역은 1만2565㏊로 추정되며 총 화선은 214.5㎞로 늘어났다. 이 중 118.2㎞를 진화해 잔여 화선은 96.3㎞로 파악됐다. 진화율은 전날 약 70%까지 올랐다가 이날 오전 5시 기준 55%로 내려앉았다.

이번 의성 산불의 피해 규모는 국내 산불 중에서 역대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2000년 4월 발생한 강원 강릉·동해·삼척·고성 산불(2만3913㏊), 2022년 3월 경북 울진·강원 강릉·동해·삼척 산불(2만523㏊)에 이어 큰 규모다.

산림당국은 25일 일출과 동시에 진화헬기 62대를 투입하고 진화인력 2673명, 진화차량 453대 등을 동원해 진화 작업에 총력을 쏟고 있다.
경북 의성 산불이 안동 길안면으로 번져 25일 이틀째 확산하는 가운데 진화대원들이 불을 끄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오전 현재 산불 현장 인근의 바람은 평균 초속 1m 안팎의 잠잠한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이 때문에 산불이 뿜어내는 연기도 흩어지지 않아 헬기가 뜨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후에 또 강풍…산불 확산 우려
실제 화선이 형성된 안동시 길안면 일대는 매캐한 연기가 안개처럼 자욱하게 내려앉은 모습이었다. 연기 탓에 중앙고속도로 의성나들목에서 안동분기점 사이 20㎞ 구간 양방향이 차단됐다가 5시간 25분 만에 풀리기도 했다.

오후부터는 다시 강하게 바람이 불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부터 경북권 전역에 순간풍속이 초속 15m 이상, 산지의 경우 초속 20m 이상으로 강하게 불겠다고 예고했다. 산불이 났을 때 강풍이 불면 확산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피해 구역이 더욱 넓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안계리에서 발생한 산불의 불씨가 강풍을 타고 북동쪽으로 20여㎞ 이상 떨어진 안동시 길안면까지 덮쳤다. 연합뉴스

산불 진화가 더디게 진행되면서 대피한 주민 수도 늘어나고 있다. 현재 안동과 의성 주민 2816명(의성 1552명·안동 1264명)이 실내체육관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주택 23곳과 공장 1곳, 창고 30곳 등 모두 92곳의 시설물에 산불 피해가 났다. 아직 산불 진화가 끝나지 않아 축사나 과수 피해는 집계조차 시작하지 못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야간동안 지상 진화인력을 배치해 민가로 향하는 산불을 최대한 저지한 데 이어 일출과 동시에 진화헬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있다”며 “진화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진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67 SKY 의대생 "복귀 후 투쟁" 선회…'수업거부' 파행 우려는 남아 랭크뉴스 2025.03.27
45066 SKY 의대생 "복귀 후 투쟁" 선회…24·25·26학번 동시 수업 듣나 랭크뉴스 2025.03.27
45065 [속보] 의성 산불 현장에 '기다리고 기다리던' 굵은 빗방울 랭크뉴스 2025.03.27
45064 전대미문 산불에 여론도 들썩‥"봄철 성묘문화 바꿔야" 랭크뉴스 2025.03.27
45063 20년 베테랑도 치 떨었다…물 막고 불씨 숨기는 '고어텍스 낙엽' 랭크뉴스 2025.03.27
45062 [속보] 검찰,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 무죄판결에 상고 랭크뉴스 2025.03.27
45061 [속보] 경북 의성에 천둥소리 섞인 빗방울…산불 진화 도움되나 랭크뉴스 2025.03.27
45060 "어허‥무슨 관계가 있어요?" 실실 웃던 '낙하산' 급정색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27
45059 "야! 사진 찍으러 왔나? 불 꺼!" 고성에 이재명 반응이‥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27
45058 [단독]의성에 산불CCTV '제로'…괴물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7
45057 안창호 인권위원장 “경향·한겨레·MBC 이런 매체 보지마라” 랭크뉴스 2025.03.27
45056 LS, 중복상장 우려에 "소통 부족했다…호반 지분 매입 유심히 볼 것" 랭크뉴스 2025.03.27
45055 이제 친한도 "尹파면 불가" 외친다…이재명 무죄에 전략 수정 랭크뉴스 2025.03.27
45054 [단독] 안창호 인권위원장 “한겨레·MBC 이런 거 보지 마라” 랭크뉴스 2025.03.27
45053 서울대·연세대 의대생 대다수 등록할 듯…고려대 80% 복귀 의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7
45052 집 안에서도 탄내가, 마스크는 품절···꺼지지 않는 산불에 고통받는 시민들 랭크뉴스 2025.03.27
45051 검찰,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 신풍제약, 메리츠증권·삼성증권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3.27
45050 [단독] 공정위, ‘쿠팡·컬리·이마트·홈플러스’ 등 직접배송 첫 실태조사 나서 랭크뉴스 2025.03.27
45049 흉기난동범 제압 경찰관 정당방위 인정…"대퇴부 이하 조준 어려웠다" 랭크뉴스 2025.03.27
45048 "기승전 치킨집” 50대 자영업자 절반 최저임금도 못 번다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