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에서 주민이 집 주변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불을 가리키며 안타까워하고 있다. 김정석 기자
“의성에서 난 산불이 여기까지 올 줄 누가 알았겠니껴. 밤새도록 한숨도 못잤니더.”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 이 마을에 살고 있는 이영희(65)씨는 집 뒷산에서 지금도 일렁이고 있는 불꽃을 바라보며 말했다. 그는 “여기서 40년 넘게 살고 있지만 이렇게 지독한 산불은 처음”이라며 “산불진화대원들이 불을 꺼도 꺼도 계속 되살아난다”고 했다.

이씨는 전날 오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는 명령에도 집을 떠나지 못했다. 그는 “산에서 시뻘건 불이 능선을 타고 내려오고 있는데 집을 버리고 대피했다가 모두 다 타버리면 누가 책임져 주나”라며 “농기계와 각종 자재는 멀리 옮겨두고 집 주변에 계속해서 물을 뿌리면서 집을 지켰다”고 말했다.



“여기까지 산불 넘어올 줄 몰랐다”
전날 오후부터 의성을 넘어 안동까지 산불이 번지면서 경계지역인 길안면에 화선이 형성됐다. 문제는 여전히 산불 확산이 멈출 기미가 없다는 점이다. 바람이 잦아드는 주간에는 연기가 짙게 내려앉아 헬기가 뜨기 어렵고, 헬기가 뜨지 못하는 야간에는 다시 강한 바람이 불어 산불이 확산되는 악순환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에서 주민이 집 뒷산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불을 지켜보고 있다. 김정석 기자

산림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은 바람을 타고 동쪽으로 번지고 있다. 산불피해영향구역은 1만2565㏊로 추정되며 총 화선은 214.5㎞로 늘어났다. 이 중 118.2㎞를 진화해 잔여 화선은 96.3㎞로 파악됐다. 진화율은 전날 약 70%까지 올랐다가 이날 오전 5시 기준 55%로 내려앉았다.

이번 의성 산불의 피해 규모는 국내 산불 중에서 역대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2000년 4월 발생한 강원 강릉·동해·삼척·고성 산불(2만3913㏊), 2022년 3월 경북 울진·강원 강릉·동해·삼척 산불(2만523㏊)에 이어 큰 규모다.

산림당국은 25일 일출과 동시에 진화헬기 62대를 투입하고 진화인력 2673명, 진화차량 453대 등을 동원해 진화 작업에 총력을 쏟고 있다.
경북 의성 산불이 안동 길안면으로 번져 25일 이틀째 확산하는 가운데 진화대원들이 불을 끄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오전 현재 산불 현장 인근의 바람은 평균 초속 1m 안팎의 잠잠한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이 때문에 산불이 뿜어내는 연기도 흩어지지 않아 헬기가 뜨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후에 또 강풍…산불 확산 우려
실제 화선이 형성된 안동시 길안면 일대는 매캐한 연기가 안개처럼 자욱하게 내려앉은 모습이었다. 연기 탓에 중앙고속도로 의성나들목에서 안동분기점 사이 20㎞ 구간 양방향이 차단됐다가 5시간 25분 만에 풀리기도 했다.

오후부터는 다시 강하게 바람이 불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부터 경북권 전역에 순간풍속이 초속 15m 이상, 산지의 경우 초속 20m 이상으로 강하게 불겠다고 예고했다. 산불이 났을 때 강풍이 불면 확산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피해 구역이 더욱 넓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안계리에서 발생한 산불의 불씨가 강풍을 타고 북동쪽으로 20여㎞ 이상 떨어진 안동시 길안면까지 덮쳤다. 연합뉴스

산불 진화가 더디게 진행되면서 대피한 주민 수도 늘어나고 있다. 현재 안동과 의성 주민 2816명(의성 1552명·안동 1264명)이 실내체육관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주택 23곳과 공장 1곳, 창고 30곳 등 모두 92곳의 시설물에 산불 피해가 났다. 아직 산불 진화가 끝나지 않아 축사나 과수 피해는 집계조차 시작하지 못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야간동안 지상 진화인력을 배치해 민가로 향하는 산불을 최대한 저지한 데 이어 일출과 동시에 진화헬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있다”며 “진화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진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06 의대생 복귀 행렬… “팔 한 짝 내놔야” vs “면허 걸어야” 갈등도 랭크뉴스 2025.03.31
46505 "도대체 언제 결론 내나"… 尹 선고일 안 잡히자 헌재에 따가운 시선 랭크뉴스 2025.03.31
46504 "속도가 생명" 돌변한 최상목…10조원 '필수 추경' 꺼냈다[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3.31
46503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결 여부 주목 랭크뉴스 2025.03.31
46502 늘어지는 헌재 선고… 여야 강경파만 득세 랭크뉴스 2025.03.31
46501 평의 한달 넘긴 尹탄핵심판 최장기록…이르면 내달 3~4일 선고 랭크뉴스 2025.03.31
46500 경북 휩쓴 '최악의 산불'… 실화자 징역·손해배상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5.03.31
46499 마은혁 임명에 달린 野 '내각 총탄핵'... 한덕수 버티면 '국정 마비' 랭크뉴스 2025.03.31
46498 힘든 일은 로봇이…현대차 미국공장의 비밀 랭크뉴스 2025.03.31
46497 "믿고 수리 맡겼는데"…90대 할머니 도용 명의해 2억 빼돌린 휴대폰 대리점 직원 랭크뉴스 2025.03.31
46496 핀란드 대통령 "트럼프에 휴전일 설정 제안…4월20일 좋을듯" 랭크뉴스 2025.03.31
46495 과거 행적 캐고 집 앞서 시위… 사법 수난시대 랭크뉴스 2025.03.31
46494 “배달음식 잘못 먹었다가 죽을 수도”…요즘 유행한다는 무서운 '이 병' 뭐길래 랭크뉴스 2025.03.31
46493 "전도 받아 집 드나들어, 내연 관계인 줄"…스토커 오해받은 남성 무죄 랭크뉴스 2025.03.31
46492 미얀마 잔해 밑 ‘SOS’ 들려도 장비가 없다…“맨손으로라도 땅 파” 랭크뉴스 2025.03.31
46491 트럼프 "농담 아니다"…'美헌법 금지' 3선 도전 가능성 또 시사 랭크뉴스 2025.03.31
46490 “맨손으로 잔해 파헤쳐”···필사적 구조에도 ‘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31
46489 미얀마 군정, 지진 구호 중에도 공습…7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488 이란 대통령 ‘트럼프 서한’에 “핵 직접 협상은 안돼…간접 협상은 열려” 공식 답변 랭크뉴스 2025.03.31
46487 ‘1만명 사망 추정’ 미얀마 강진…“재난 타이밍, 이보다 더 나쁠 수 없다”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