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천L급 러시아 카모프 기종, '러·우 전쟁' 여파로 부품 수급에 어려워 1/3가량이 멈춰
임차 헬기 78대 중 34대 진화 지원…산불 나면 어쩌나 전국 지자체 '불안'


치솟는 의성산불 불기둥
(의성=연합뉴스) 24일 오후 경북 의성군 점곡면 청송군과의 경계지에 있는 야산에서 화염이 치솟고 있다. 산림당국 관계자는 "육안상 6m 높이 불기둥으로 헬기가 접근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2025.3.24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전국종합=연합뉴스) 영남권을 덮친 대형산불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으나 산불 진화의 주력인 헬기가 충분히 가동되지 못해 공중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불 진화의 주력인 KA-32 카모프(3천L급) 기종의 대형 헬기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부품 수급에 어려워 1/3가량이 멈춰선 상태다.

가뜩이나 산불 초기 초속 15m 달하는 강풍으로 초동 진화에 실패한 데 이어 100㎞ 달하는 화선에서 뿜어지는 연무로 진화율은 더딜 뿐만 아니라 헬기 조종사 등 진화인력의 피로도마저 가중돼 공중진화 전력이 한계에 달했다는 지적이다.

'러·우 전쟁' 주력 진화 헬기 29대 중 8대 가동 불가…28% 전력 손실
2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산림청 등에 따르면 산림청이 보유한 진화 헬기는 모두 50대다.

이 중 산불 진화 주력 기종인 KA-32 헬기는 29대지만 28%인 8대는 러·우 전쟁으로 부품을 교체하지 못해 지난해 상반기부터 사실상 멈춰 서 진화 전력에서 제외됐다.

사실상의 산림청 소속 산불 진화 전력은 42대인 셈인데 이마저도 7대는 전국 각지 산불 취약지역에 전진 배치돼 이동할 수 없다.

의성 산불 현장에 투하되는 '산불지연제'
(의성=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발생 사흘째인 24일 의성군 옥산면 정자리에서 산림청 헬기가 산불지연제(리타던트)를 투하하며 산불 진화를 하고 있다. 2025.3.24 [email protected]


이 때문에 경남 의성·산청, 울주 등 대형 산불 현장에는 현재 33대가 투입돼 진화 중이다. 하지만 산불이 나흘째로 이어지면서 일시 정비 등으로 이날 하루에만 9대가 전력에서 제외됐다.

전국의 임차 헬기도 대형산불 지역에 투입돼 진화에 힘을 보태고 있지만 언제 공중 진화 전력에서 빠질지 모르는 상황이다.

전국 각 지자체가 봄철 산불 조심 기간 운영 중인 임차 헬기는 총 78대다. 이 중 43%인 34대가 영남지역 대형산불 진화에 투입됐다. 국가재난지역 선포에 따라 지원된 공중 진화 전력이다.

문제는 임차헬기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인 데다 산불이 더 장기화해 해당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복귀할 수밖에 없어 우려를 더 하고 있다.

영남 대형 산불이 임차헬기를 지원한 지자체뿐만 아니라 나머지 지자체 역시 해당 지역에 산불이라도 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전북도의 경우 산림청 헬기가 경남과 경북, 울진 등에 동원되다 보니 지난 23일 발생한 2건의 산불은 3대의 임차 헬기를 이용해 진화했다.

지난 22일에도 무주와 인접한 충북 옥천에서 난 산불에 전북도 임차 헬기가 동원되기도 했다.

안동으로 번진 산불
(안동=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으로 번진 가운데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 일대 야산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2025.3.25 [email protected]


영남 산불 초동진화 실패…연무와 화선 확대로 '악전고투'
산불 진화의 골든타임은 첫 신고부터 현장 도착 후 물 투하까지 '임차 헬기 30분, 산림청 헬기 50분'이다

그만큼 산불 현장 가장 가까이서 가장 먼저 투입되는 지자체 소속 임차 헬기와 추가 투입되는 산림청 헬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영남 대형산불은 발생 초기 초속 15m의 강풍으로 헬기 투입이 지체됐다.

3건의 3단계 대형산불과 2단계 산불 1건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다 보니 초기진화에 어려움을 겪은 데다 가용한 헬기 자원이 여러 곳으로 분산되다 보니 집중적인 공중 살수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여기다 산불 장기화로 연기가 다량 발생하면서 가용한 헬기마저도 시계 불량으로 뜨지 못하는 악전고투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산림청 헬기 산불 지연제 살포
(산청=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25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산림청 헬기가 산불 지연제를 살포하며 산불 확산 방지에 집중하고 있다. 2025.3.25 [email protected]


실제로 지난 23일 오전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 투입된 진화 헬기들은 산불 지역에 연무가 짙어 진화에 나서지 못했다고 산림청은 설명했다.

이렇다 보니 경북 의성 산불의 경우 전체 화선이 228㎞이고 남은 화선은 102.8㎞로 화선이 진화율이 더딜 수밖에 없다.

국립산림과학원 이병두 박사는 "산불 장기화로 화선마저 길어지면서 공중 진화에 어려움이 상당하다"며 "헬기를 이용한 공중 진화의 가장 큰 효과는 집중력이지만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은파 손형주 김혜인 김근주 이우성 신민재 우영식 이성민 이재현)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79 ‘울며 겨자 먹기’ 건설사 부채, 주식으로 떠안는 기업들…2000원대 주식 16만원에 인수 랭크뉴스 2025.03.30
46278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큰가…국민 불신 목소리도 커져” 랭크뉴스 2025.03.30
46277 김수현 영화 '리얼' 노출신·오디션 논란... 前 감독이 밝힌 입장 랭크뉴스 2025.03.30
46276 ‘최장기간 산불’ 경신 10분전 “산청산불 진화 완료” 선언한 산림청 랭크뉴스 2025.03.30
46275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274 "종일 헬스장서 살았는데"…'운동광' 20대, 갑자기 '이 암' 진단받은 사연 랭크뉴스 2025.03.30
46273 산불 진화 핵심 역할한 軍...누적 7500명 투입, 헬기·의료 지원도 랭크뉴스 2025.03.30
46272 [단독]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271 [속보] 경북도지사 “산불 잔불정리 오늘 마무리…뒷불감시 전환” 랭크뉴스 2025.03.30
46270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랭크뉴스 2025.03.30
46269 "화장실서 매일 쓰는 건데 어쩌나"…비누 속 꽃향기가 뇌세포 손상 시킨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8 발생 213시간 만에 꺼진 산청 산불… 산림 1,858㏊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7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컸나…불신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6 방콕서 지진에 왜 '건설 중' 33층 건물만 붕괴?‥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265 국민의힘, '줄탄핵' 경고에 "명백한 내란 자백‥정당해산 심판 대상" 랭크뉴스 2025.03.30
46264 혁신당, 헌재에 ‘화병’ 위자료 집단소송 추진…“4일까지 선고일 지정” 랭크뉴스 2025.03.30
46263 한부모 월평균 양육비 58만 원인데…10명 중 7명 “한 푼도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3.30
46262 [가족] "내일 안락사 확정"… 봉사자 다급한 전화로 구조된 강아지 '빵떡이' 랭크뉴스 2025.03.30
46261 핵무장론 부추기는 외교부의 '민감국가' 해명... 논란은 끝나지 않았다 [문지방] 랭크뉴스 2025.03.30
46260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민주당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