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하버드대, 성인 10만명 30년 추적 조사로 확인
트랜스 지방과 나트륨·가공육은 피해

건강한 노화를 위해서는 과일과 채소, 불포화 지방, 견과류, 저지방 유제품을 많이 먹고, 트랜스 지방과 나트륨, 설탕 음료, 붉은 고기와 가공육을 피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미국 연구진이 성인 10만명을 30년간 추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한 노화’를 이루는 최적의 식단을 제시했다. 뻔한 이야기지만, 과일과 채소, 올리브유 같은 불포화 식물성 지방, 견과류, 저지방 유제품을 많이 먹고, 가공식품에 많은 트랜스 지방, 나트륨과 설탕 음료, 붉은 고기와 가공육을 피하는 게 비결이다.

하버드대 공공보건대학원과 미국 농무부 산하 인간영양연구센터 연구진은 미국 성인 10만5015명을 30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연구 대상 중 7만91명은 여성, 3만4924명은 남성이었고, 추적 관찰을 시작할 때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53세였다.

연구진은 우선 조사 대상자의 노화 상태를 분석했다. 관찰한 지 30년이 지나 건강한 노화에 도달한 사람은 10만여명 중 9771명에 불과했다. 단 9.3%만이 건강하게 늙는 데 성공했다는 이야기다. 연구진은 건강한 노화의 기준을 11가지 주요 만성 질환 없이 70세에도 인지, 신체, 정신 건강 지표가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로 제한했다.

연구진은 건강한 노화를 달성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식습관을 비교했다. 그 결과 미국에서 건강한 식습관을 위해 장려하는 여덟 가지 식단을 따른 사람들이 대체로 건강한 노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특히 ‘대체 건강 식사 지수(AHEI)’가 건강한 노화와의 연관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 식단을 따른 사람들은 70세까지 건강을 유지할 확률이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 지중해식 식이 지수(aMED)’ 식단이 건강한 노화에 도달할 확률이 62% 증가해 뒤를 따랐다.

대체 건강 식사 지수를 포함해서 건강한 노화를 도와줄 식단은 대부분 과일과 채소, 도정하지 않은 전곡(全穀, 통곡물), 올리브유 같은 불포화 지방, 견과류, 콩류, 저지방 유제품 같은 특정 종류의 영양소가 풍부한 식단을 포함했다.

대체 건강 식사 지수는 0점(전혀 지키지 않음)부터 110점(완벽하게 준수)으로 나누고, 매일 섭취하는 음식에 따라 점수를 매긴다. 예컨대 채소를 전혀 먹지 않으면 0점, 하루에 5회 이상 채소를 섭취하면 10점, 설탕 음료를 1회 이상 섭취하면 0점, 전혀 섭취하지 않으면 10점이 부여되는 식이다. 건강한 노화를 경험한 사람들은 이 지수를 활용해 매일 식단을 관리한 사람이 많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반면 마가린, 쇼트닝 같은 트랜스 지방이나 나트륨, 설탕 음료, 붉은 고기, 가공육 섭취가 많은 식단은 건강하지 않은 노화로 이어졌다. 특히 초가공식품(URF)이 문제였다. 연구진은 초가공식품 섭취가 증가하면 건강한 노화를 경험할 확률이 32% 감소했다고 밝혔다. 초가공식품은 원재료를 여러 공정을 거쳐 가공한 식품으로 재료의 원형이 거의 남지 않는다. 냉동식품이나 패스트푸드가 대표적인 초가공식품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잘 알려진 대로 과일, 채소, 전곡, 불포화 지방, 견과류, 콩류의 섭취를 촉진하고, 트랜스 지방과 붉은 고기, 가공육의 섭취를 제한하는 식단이 건강한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건강한 노화를 위해 중요한 건 이런 식단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자료

nature medicine(2025), DOI : https://doi.org/10.1038/s41591-025-03570-5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89 최태원 SK 회장 “더 큰 사회적 문제 해결 위해 기업들 연대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7388 위기의 애경그룹…뿌리 ‘애경산업’  시장에 내놓는다 랭크뉴스 2025.04.01
47387 헌재, 사실상 결론 정해‥헌법학자들 "만장일치 파면"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7386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일 11시 선고…생중계 허용 랭크뉴스 2025.04.01
47385 용산 “차분하게 결정 기다릴 것”… 尹 직접 헌재 대심판정 나가나 랭크뉴스 2025.04.01
47384 생후 52일 신생아 두고 5시간 집 비운 엄마, 아기는 숨졌다 랭크뉴스 2025.04.01
47383 이재명 “대한민국 저력 전세계에 증명하자” 윤석열 파면 서명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7382 산불에 “할머니” 외치고 업고 뛴 외국인…장기체류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7381 말레이 쿠알라룸푸르 인근서 가스관 폭발… 최소 112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01
47380 법무부, 산불 덮친 영덕에서 할머니 업고 뛴 외국인에 장기거주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7379 尹 탄핵 선고일 방청 신청 폭주 중… 20석에 9만명 넘게 몰려 랭크뉴스 2025.04.01
47378 계엄부터 탄핵 선고까지‥122일 만에 결론 랭크뉴스 2025.04.01
47377 마은혁 뺀 '8인 체제' 결정‥"'5 대 3' 가능성 낮아" 랭크뉴스 2025.04.01
47376 尹 선고일 지정에 쏟아진 “승복” 메시지… 野선 “불복” 주장도 랭크뉴스 2025.04.01
47375 용산 “차분히 기다려” 여 “기각 희망” 야 “8 대 0 파면 확신” 랭크뉴스 2025.04.01
47374 중·러 대사관 “윤 선고일 극단적 사건 가능성” 자국민 유의 당부 랭크뉴스 2025.04.01
47373 도수치료 받고 실손 못 받는다…윤곽 드러낸 '5세대 실손보험' 랭크뉴스 2025.04.01
47372 장제원 前 의원 유서, 가족·지역구민에 메시지 랭크뉴스 2025.04.01
47371 외신 '만우절 기사' 찾기 어려워졌다…"가짜뉴스의 시대라서" 랭크뉴스 2025.04.01
47370 "새우버거 참 즐겨먹었는데"…롯데리아 패티 베트남서 '전량폐기',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