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하버드대, 성인 10만명 30년 추적 조사로 확인
트랜스 지방과 나트륨·가공육은 피해

건강한 노화를 위해서는 과일과 채소, 불포화 지방, 견과류, 저지방 유제품을 많이 먹고, 트랜스 지방과 나트륨, 설탕 음료, 붉은 고기와 가공육을 피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미국 연구진이 성인 10만명을 30년간 추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한 노화’를 이루는 최적의 식단을 제시했다. 뻔한 이야기지만, 과일과 채소, 올리브유 같은 불포화 식물성 지방, 견과류, 저지방 유제품을 많이 먹고, 가공식품에 많은 트랜스 지방, 나트륨과 설탕 음료, 붉은 고기와 가공육을 피하는 게 비결이다.

하버드대 공공보건대학원과 미국 농무부 산하 인간영양연구센터 연구진은 미국 성인 10만5015명을 30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연구 대상 중 7만91명은 여성, 3만4924명은 남성이었고, 추적 관찰을 시작할 때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53세였다.

연구진은 우선 조사 대상자의 노화 상태를 분석했다. 관찰한 지 30년이 지나 건강한 노화에 도달한 사람은 10만여명 중 9771명에 불과했다. 단 9.3%만이 건강하게 늙는 데 성공했다는 이야기다. 연구진은 건강한 노화의 기준을 11가지 주요 만성 질환 없이 70세에도 인지, 신체, 정신 건강 지표가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로 제한했다.

연구진은 건강한 노화를 달성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식습관을 비교했다. 그 결과 미국에서 건강한 식습관을 위해 장려하는 여덟 가지 식단을 따른 사람들이 대체로 건강한 노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특히 ‘대체 건강 식사 지수(AHEI)’가 건강한 노화와의 연관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 식단을 따른 사람들은 70세까지 건강을 유지할 확률이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 지중해식 식이 지수(aMED)’ 식단이 건강한 노화에 도달할 확률이 62% 증가해 뒤를 따랐다.

대체 건강 식사 지수를 포함해서 건강한 노화를 도와줄 식단은 대부분 과일과 채소, 도정하지 않은 전곡(全穀, 통곡물), 올리브유 같은 불포화 지방, 견과류, 콩류, 저지방 유제품 같은 특정 종류의 영양소가 풍부한 식단을 포함했다.

대체 건강 식사 지수는 0점(전혀 지키지 않음)부터 110점(완벽하게 준수)으로 나누고, 매일 섭취하는 음식에 따라 점수를 매긴다. 예컨대 채소를 전혀 먹지 않으면 0점, 하루에 5회 이상 채소를 섭취하면 10점, 설탕 음료를 1회 이상 섭취하면 0점, 전혀 섭취하지 않으면 10점이 부여되는 식이다. 건강한 노화를 경험한 사람들은 이 지수를 활용해 매일 식단을 관리한 사람이 많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반면 마가린, 쇼트닝 같은 트랜스 지방이나 나트륨, 설탕 음료, 붉은 고기, 가공육 섭취가 많은 식단은 건강하지 않은 노화로 이어졌다. 특히 초가공식품(URF)이 문제였다. 연구진은 초가공식품 섭취가 증가하면 건강한 노화를 경험할 확률이 32% 감소했다고 밝혔다. 초가공식품은 원재료를 여러 공정을 거쳐 가공한 식품으로 재료의 원형이 거의 남지 않는다. 냉동식품이나 패스트푸드가 대표적인 초가공식품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잘 알려진 대로 과일, 채소, 전곡, 불포화 지방, 견과류, 콩류의 섭취를 촉진하고, 트랜스 지방과 붉은 고기, 가공육의 섭취를 제한하는 식단이 건강한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건강한 노화를 위해 중요한 건 이런 식단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자료

nature medicine(2025), DOI : https://doi.org/10.1038/s41591-025-03570-5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89 "자동차 25% 관세" 초유의 위기 현실로...부품사도 도미노 위기 랭크뉴스 2025.03.28
45288 백종원보다 더하네... 주가 80% 폭락했는데 5억대 연봉 챙긴 새내기株 오너 랭크뉴스 2025.03.28
45287 [현장의 시각] ‘갈등 1년’ 투쟁심만 남은 민희진과 뉴진스 랭크뉴스 2025.03.28
45286 [속보] 경북 의성 지역 산불 진화율 95%…"주불 진화 총력" 랭크뉴스 2025.03.28
45285 밤샘 진화에 안간힘‥총 사망자 28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8
45284 명일동 싱크홀 지역 "침하량 크다"…서울시 용역보고서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28
45283 울주 산불 엿새만에 주불 진화…비가 도왔다 랭크뉴스 2025.03.28
45282 ‘사상 최장기간 중단’ 깨고 공매도 재개 코앞…어떤 종목 영향? 랭크뉴스 2025.03.28
45281 'AI 대부' 제프리 힌튼에 "노망났다"는 머스크, 왜?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랭크뉴스 2025.03.28
45280 단순 ‘경험’을 ‘경력’으로?…꼬리 무는 심우정 딸 채용 특혜 의혹 랭크뉴스 2025.03.28
45279 광화문 ‘불법 천막’ 앞에 두고도 종로구청은 “계도 중” 랭크뉴스 2025.03.28
45278 [단독]명태균, ‘오세훈 비공표 여론조사’ 13건 중 최소 12건 조작했다 랭크뉴스 2025.03.28
45277 기업은행 ‘882억 부당대출’ 연루 20명 중 14명 현업 근무중 랭크뉴스 2025.03.28
45276 서울대 의대생 복귀…'단일대오' 깨졌지만 수업 거부 우려는 여전 랭크뉴스 2025.03.28
45275 국수야? 파스타야? 이탈리안 셰프가 만드는 한국 전통 '난면' [장준우가 만난 셰프들] 랭크뉴스 2025.03.28
45274 트럼프, 정권 주요 사건 연달아 맡은 판사 대놓고 '좌표 찍기' 랭크뉴스 2025.03.28
45273 [단독] 국토장관 車도 1분만에 당했다…'가짜 당근' 색출법 발의 랭크뉴스 2025.03.28
45272 중국 환구시보가 '폭싹 속았수다' 극찬... 한한령 완화 청신호? 랭크뉴스 2025.03.28
45271 시진핑, 글로벌 CEO 만남 유력…이재용 삼성 회장도 참석할 듯 랭크뉴스 2025.03.28
45270 “계단·편의점 떠나…따뜻하게 ‘콜’ 기다려요” 랭크뉴스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