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한울 1, 2호기 시공 도면, 울진 민가서 발견
시공사 직원들이 버리고 간 듯... 한수원 조사
정보관리지침 C등급 자료... 국정원도 조사 중
유기되고도 시간 한참 지난 듯... 심각성 더해
경북 울진군 북면 인근에서 발견된 신한울 1·2호기 시공 관련 자료. 박스와 마대자루에 담긴 자료들이 쓰레기와 섞여있다. 독자제공


경북 울진군의 신한울 1, 2호기 시공 도면이 일반인들도 접근 가능한 쓰레기 더미에 내팽겨쳐져 있던 사실이 뒤늦게 파악
됐다.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은 경찰로부터 이같은 사실을 전달 받은 뒤 사태 파악에 나섰는데 해당 원전들이 건설은 물론 상업 운전에 들어간 뒤 시간이 꽤 흐른 점을 고려하면 버려지고도 한참이 지나서야 드러난 것으로 추정된다. 원전 기술 보안에 구멍이 뚫린 것 아니냐는 논란이 나온다.

25일 한수원에 따르면
한수원은 14일 신한울 1, 2호기 시공에 필요한 자료가 시공사 직원들이 사용하던 숙소 인근인 울진군 북면 인근 민가에 있다는 사실을 경찰로부터 전해 듣고 자체 조사 중
이다. 그 결과 일부는 야외에 노출 돼있었고 나머지는 마대 자루와 박스 속에 들어 있었다고 한다.
한수원은 시공사 직원들이 이를 버렸다고 보고 시기와 이유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
하고 있다.

버려진 서류는 원전 시공 도면으로 2012~2014년 버전
이다. 한수원은 업데이트를 해서 쓸모 없어진 도면을 시공사 직원들이 숙소로 가져갔다가 버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수원은 "이런 자료는 작업 장소에서만 쓸 수 있어 숙소로 가지고 나간 것 자체가 문제"라면서 "버전이 바뀌면 이전 것들은 폐기해야 하는데 이 역시 지키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수원은 해당 업체에 대한 법적 제재도 검토 중이다.

일반인 공개 불가 도면... 유기, 최소 1~5년 됐을 듯

경북 울진군 북면 인근에서 발견된 신한울 1·2호기 시공 관련 자료. 독자 제공


문제는
이 서류가 일반인에 공개돼선 안 되는 보안 자료였다는 점
이다.
A(특별관리)~D등급(일반인 공개)으로 나뉘는 한수원의 기술정보관리 지침 중 사내 공개로 제한하는 C등급에 해당
한다. 여기에는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술 문서나 도면, 절차서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해당 자료에 비밀 자료가 섞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국가정보원까지 현장을 찾는 등 따로 살피고 있다.

처음 버려진 시점이 특정되지는 않았지만
1년 이상 시간이 흘렀을 것으로 보는 것도 심각성을 더한다
. 신한울 1, 2호기가 각각 2022년과 2024년에 상업 운전에 들어간 점을 고려하면 건설은 그보다 몇 해 전에 끝났을 수밖에 없어서다. 한수원 관계자는 "
2020년대 초반쯤 시공이 끝났을 것으로 추정돼 (버려진 지) 최소 1년은 지났을 것
"이라고 설명했다. 즉 관리망을 벗어난지 수년이 지나도록 한수원은 이 같은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던 것이다.

경북 울진군 북면 인근에서 발견된 신한울 1·2호기 시공 관련 자료. 독자 제공


원자력계는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보통의 절차대로라면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서다.
한국원자력학회장인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는 "시공 도면이라 기기 배치 등은 구체적 내용은 담기지 않은 걸로 보인다"라면서도 "
(보통) 시스템 개선을 위해서 자료를 받더라도 한시적으로만 이용하고 끝나면 폐기하도록 돼있는데 이걸 버리고 가는 것은 분명한 잘못
"이라고 했다.

관리에 부실했던 한수원도 책임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박종운 동국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
는 "시공사가 이런 식으로 서류를 파기했다는 것은 (보안) 의식이 전면적으로 부족했던 것"이라며 "
한수원은 외부 전문가나 환경 단체 등이 설계 도면 등을 제공해달라는 요청을 받고도 보안 서류라는 이유로 주지 않으면서 정작 자신들은 얼마나 부실하게 관리하는지 고스란히 드러난 것
"이라고 비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27 꽃샘추위에도 "탄핵무효"…탄핵반대 광화문 대규모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926 "해고된 직원이 가게 인스타 삭제, 분통터져요"…보복성 행위에 법원이 내린 판결 랭크뉴스 2025.03.29
45925 90년 삶이 알려준 것...“용서하고 베풀고 사랑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24 [속보] 경남 산청·하동 산불, 오후 3시 현재 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23 테슬라 31점 VS 웨이모 87점…머스크 ‘자율주행 낙제점’ 왜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3.29
4592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미 지질조사국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21 윤택 "연락 닿지 않는 자연인 있다… 산불 피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3.29
45920 "천국에서 만나요"...의성 산불 끄다 숨진 헬기 기장 영원히 하늘로 랭크뉴스 2025.03.29
45919 경남 산청 산불 9일째, 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권역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29
45918 남부 지역엔 벚꽃, 중부 지역엔 눈보라…이상 현상에 시민들 “황당” 랭크뉴스 2025.03.29
45917 국군 장병 600명, 오늘도 산불 끄러 간다…“필요시 5100명 추가 투입” 랭크뉴스 2025.03.29
45916 머스크, 자신의 AI 기업 xAI에 2022년 인수한 X 매각 랭크뉴스 2025.03.29
45915 "살려줘요" 비명에 맨손 구조…사망자 1000명 '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29
45914 “즉각 인용” vs “원천 무효”… 尹 대통령 탄핵 찬반 단체 전국서 집결 랭크뉴스 2025.03.29
4591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 "1만 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12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서” 랭크뉴스 2025.03.29
45911 산불 예방 위해 팔공산 등 7개 국립공원 탐방로 추가 통제 랭크뉴스 2025.03.29
45910 민주, 윤석열 탄핵 선고 촉구…“지연된 정의는 정의 아냐” 랭크뉴스 2025.03.29
45909 진화율 97%…지리산 산불 잡기 총력 랭크뉴스 2025.03.29
45908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