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88%
울주 산불은 98%, 김해 산불은 99%

24일 오후 어둠이 짙게 내린 경상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 야산에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뉴스1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경계를 접한 안동으로 번지면서 피해 규모가 국내 산불 중 역대 3번째로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진화 작업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지만, 진화율은 55%에 그친다.

산림당국은 25일 날이 밝자 의성 산불 현장에 헬기와 소방차, 진화대원 등을 대거 투입해 진화 작업에 나섰다. 산불 현장에는 현재 초속 3.5m쯤의 바람이 불고 있다. 낮에는 최대 초속 10m 안팎의 강한 바람이 불어 진화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불은 지난 22일 오전 11시25분쯤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발생했다. 강한 바람을 타고 현재 동쪽 방면으로 확산한 상태다. 24일 오후 4시10분쯤 이웃한 지자체인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야산으로까지 불이 번졌다.

24일 경북 의성 고운사에서 산불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불상, 불화 등 문화유산을 옮기는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불길이 현장지휘본부가 차려진 안평면사무소 인근까지 확산되면서 당국은 지휘본부를 의성군 제2청사가 있는 의성읍 철파리로 긴급히 옮겼다. 당국은 ‘산불 대응 3단계’를 발령해 대응 중이다.

밤사이 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2700여명이 주요시설과 민가 주변을 중심으로 방화선을 구축해 확산 저지에 힘을 쏟았다. 그러나 산불 영향 구역은 전날 오후 8시 8490㏊였으나, 이날 오후 5시 기준 1만2565㏊로 넓어졌다. 이는 역대 국내 산불 세 번째 피해 규모로 파악되고 있다. 진화율도 60%에서 55%로 떨어졌다.

의성 산불로 발생한 인명 피해는 없지만 주택 등 92개 시설이 불에 탔다. 현재 의성군 주민 1200여명이 의성읍 체육관 등으로 대피해 있다. 안동에서도 길안면 등 주민과 요양원 입소자 등 1000여 명이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산불과 함께 연기가 많이 발생해 한국도로공사는 이날 0시15분부터 중앙고속도로 의성IC~남안동JCT 양방향을 전면 차단했다가 오전 5시40분쯤 통행을 재개했다.

24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 뒤로 산불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경남 산청에서 지난 21일 발생한 산불은 닷새 째인 이날 오전 5시 기준 진화율 88%를 기록 중이다. 산불 영향 구역은 1557㏊(산청 928㏊, 하동 629㏊)이다.

산림당국은 밤새 1500여명 안팎의 인력과 장비 200여 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산림당국은 이날 오전 일출 직후부터 헬기 32대를 차례로 투입해 공중 진화에 나선다. 다만 산불 현장에 초속 10m 안팎의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 산청 화재로 4명이 숨지고 5명이 중상, 3명이 경상을 입는 등 총 12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지난 22일 발생한 울산 울주군 산불은 나흘 째인 이날 오전 6시 진화율이 98%에 도달했다. 산불 영향 구역은 435㏊이고, 불을 꺼야 할 잔여 화선은 0.4㎞다. 현장에 바람은 현재 초속 2m 정도로 부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후가 되면 바람은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림 당국은 이날 날이 밝으면서 오전 6시20분쯤부터 헬기 15대를 동원해 주간 진화 작업을 재개했다. 울산 지자체 공무원과 산림청 직원 등 지상 인력 2400여 명이 투입될 예정이다 울산시·울주군·산림청 직원 등 200명으로 구성된 특별 진화대도 투입된다. 특별 진화대는 불이 번지고 있는 대운산(해발 742m) 정상까지 올라가 진화에 나선다. 울주 화재로 2명이 경상을 입었다.

지난 22일 발생한 김해 산불은 오전 5시 기준 진화율 99%로 집계됐다. 산불 영향 구역은 97㏊이고, 전체 화선 6㎞ 중 진화해야 할 불 길이는 0.06㎞가 남았다. 산림당국은 이날 중 주불 진화를 목표로 세웠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63 경북 산불 3만 5천ha 피해…역대 최대 규모 랭크뉴스 2025.03.28
45262 산업차관, 車생산·수출 현장 점검…업계 "관세 불리한 대우 없게" 랭크뉴스 2025.03.28
45261 美 생산 늘리는 현대차… 각자도생 꾀하는 계열사 랭크뉴스 2025.03.28
45260 물수건만 두른 채 불길 막은 교도관들 "다음엔 무사할지 모르겠다" 랭크뉴스 2025.03.28
45259 "암 온 더 넥스트 레벨"…올 43% 넘게 오르며 신고가 경신 중인 '이 종목'[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3.28
45258 교회 파고든 혐오·선동… 근본주의 신학 병폐 랭크뉴스 2025.03.28
45257 보험사도 ‘꼬마 아파트’ 대출 시세 평가 쉬워진다 랭크뉴스 2025.03.28
45256 문형배·이미선 퇴임까지 3주…尹탄핵심판 선고 초읽기 랭크뉴스 2025.03.28
45255 현금 112조 있는데, 한국엔 1.6조뿐…"국내 50조 투자" 삼전의 고민 랭크뉴스 2025.03.28
45254 의대생 ‘복귀 도미노’ 가시화… ‘복학 후 투쟁 방식’ 촉각 랭크뉴스 2025.03.28
45253 우리아이들의료재단 임직원 5명, 서울특별시의회 의장 표창 랭크뉴스 2025.03.28
45252 자동차 관세 승자로 꼽힌 테슬라·페라리…“최대 피해자는 소비자” 랭크뉴스 2025.03.28
45251 [단독] 상호관세 압박 수순? 美유력단체 "한국 공정위, 美기업 표적 제재" 주장 랭크뉴스 2025.03.28
45250 李 지지율보다 높은 부동층… 여야 “우리의 우군” 김칫국 랭크뉴스 2025.03.28
45249 [단독] 한덕수, 4대그룹 총수 만난다…"트럼프 상호관세 대응" 랭크뉴스 2025.03.28
45248 태풍급 속도 '영남 산불', 1주일새 산지·해안 초토화…최악피해 랭크뉴스 2025.03.28
45247 '중증외상센터' 이낙준 일침 "힘없는 레지던트도 소송…누가 가겠나" [더 인터뷰] 랭크뉴스 2025.03.28
45246 삼성전자 팔고 엔비디아 샀다…의원들도 '국장' 대신 '미장' 랭크뉴스 2025.03.28
45245 4m 불쓰나미 덮치고 방호복 녹아도 뛰어든다, 산불특전사 그들 랭크뉴스 2025.03.28
45244 "한미동맹 조용한 위기…美,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압박할 듯" 랭크뉴스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