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포장 도입 후 무료 수수료, 유료 전환
픽업 시장 커지면 새로운 수익원으로
할인쿠폰 등 연 300억 원 마케팅 투자
상생안 후 수수료 부과, 식당은 불만
서울의 한 음식점에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 스티커가 붙어 있다. 뉴스1


배달의민족(배민)이 4월부터 식당 점주에게 배달 주문처럼 포장 주문에도 중개 수수료를 받는다
.
배민이 5년 가까이 무료였던 포장 수수료를 매기는 건 배달에 비해 규모가 작은 픽업 시장을 키우기 위해서다.
하지만
점주 사이에선 배달 수수료도 버거운데 포장 수수료까지 내야 한다며 불만이 나온다
.

배민은 2020년 5월 포장 주문 서비스를 시작했을 당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영업에 타격을 입은 식당을 위해 수수료 '0' 정책을 실시했다.
그러다 2024년 7월 신규 가입 업체를 대상으로 도입한 데 이어 4월 14일부턴 기존 업체에 수수료를 내게 한다.
경쟁사 중에선
요기요가 포장 수수료를 최대 7.7% 받고
있다.
쿠팡이츠는 2021년 10월부터 적용 중인 포장 수수료 무료를 2025년 3월까지 1년 연장한다
고 했다.

그래픽=강준구 기자


이번 포장 수수료 부과는 배민이 지난해 신규 입점 업체에 받겠다고 밝힐 때부터 예고했다.
배민은 지난해 4월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한 배달 플랫폼 자율 규제에서 포장 수수료를 유료로 전환한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
포장 역시 배달처럼 배민을 거쳐 이뤄지는 주문에 대해선 서비스 이용료를 받겠다는 얘기다.


배민이 포장 수수료 부과를 결정한 다른 배경으론 픽업 시장 활성화가 거론된다.
업계에선 포장 주문 비율이 배달에 비해 훨씬 작은 5% 정도라 성장성이 있다고 평가
한다.
코로나19 때 급성장한 배달 부문이 다소 주춤한데 포장 주문량이 늘면 배민엔 든든한 수익원이 생긴다.


픽업 시장이 발달한 해외에선 포장 주문이 식당 점주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미국 배달 플랫폼 1위인 도어대시가 지난해 8월 발간한 2024년 온라인 주문 보고서를 보면 포장 주문은 전년 대비 9% 늘었다.
소비자가 현장 대기 없이 바로 음식을 가져가고 식당 점주와 만나 소통할 수 있는 게 포장 주문을 찾는 이유로 분석됐다.





점주 반발, 가격 인상 가능성도






온라인플랫폼법제정촉구공동행동 소속 자영업자와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12일 서울 송파구 우아한형제들 본사 앞에서 열린 배달의민족 울트라콜 폐지 불공정 행위 신고 및 상생협의 촉구 농성 총력전 선포 기자회견에서 배달앱 수수료 인하와 상생협의를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배민은 식당 점주와 함께 성장하기 위해 포장 수수료를 재투자한다는 방침이다. 해마다 300억 원을 투입해 포장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는 게 대표적인 예다.
또 소비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배달 주문' 옆에 '포장 주문'을 둔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포장 주문에 대한 적절한 과금과 활성화 정책이 조화를 이루면 배달 플랫폼은 새로운 수익원을, 업주는 주문 수 증가 등 경제적 이익을, 소비자는 배달비 부담 없는 가격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식당 점주는 기존에 없던 수수료 부담이 생겼다며 울상이다. 아울러 수수료 부과 시점을 두고도 아쉬운 목소리를 낸다.
배민이 식당 점주 부담을 줄이기 위해 2월 말 도입한 상생 요금제가 자리 잡기도 전에 매기는 포장 수수료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상생 요금제는 배민이 지난해 6.8%에서 9.8%로 높인 배달 수수료를 다시 2.0~7.7%로 내리는 게 뼈대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는 "포장 수수료는 어느 정도 이해가 가긴 하나 상생 요금제를 막 개시한 지금 하는 건 전국 요식업자의 마음을 무겁게 한다"
고 말했다.

식당이 포장 수수료에 드는 비용을 채우기 위해 음식 가격을 높일 가능성도 작지 않다. 배달가와 포장가를 매장가보다 올려 받는 이중가격제가 굳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포장 주문량이 늘지도 장담하기 어렵다. 당장 배민은 배달에 이어 포장 주문에서도 쿠팡이츠와 더 치열하게 경쟁할 전망이다. 식당 점주가 포장 수수료 무료인 쿠팡이츠에서 할인 등을 진행할 수 있어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21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휴게소 산불에 전소… 안동 시내로 불길 확산 랭크뉴스 2025.03.27
45020 [단독] '강동구 싱크홀' 원인 밝힐 공사장 CCTV 녹화 안됐다..."사고 전부터 고장" 랭크뉴스 2025.03.27
45019 "실탄 발포 경찰관은 정당방위"‥흉기난동범 숨졌지만 '면책' 랭크뉴스 2025.03.27
45018 불이 갈라놓은 80대 잉꼬부부…“아내 요양원 안 보내고 돌봤는데” 랭크뉴스 2025.03.27
45017 지리산 덮친 괴물 산불 잡으려…'5배 물폭탄' 미군헬기 대기중 랭크뉴스 2025.03.27
45016 산불 대피소 앞 붕어빵 줄 늘어섰다…장사 접고 온 '무료 푸드트럭' 랭크뉴스 2025.03.27
45015 “김수현 거짓말, 종지부”…김새론 16세때 나눈 문자 공개 랭크뉴스 2025.03.27
45014 “할 수 있는 게 없으니 기부라도”···산불 바라보며 복잡한 심경에 기부 행렬 랭크뉴스 2025.03.27
45013 [속보] 러시아 외무차관 "올해 김정은 방러 준비중" 랭크뉴스 2025.03.27
45012 당국 “의성산불 확산 속도 시간당 8.2㎞…역대 최고” 랭크뉴스 2025.03.27
45011 "전두환 때와 같은 모욕감 느낀다"…尹모교 서울대 '파면 촉구' 집회 랭크뉴스 2025.03.27
45010 산불에 끝까지 사찰 지키다... 영양 법성사 주지 스님도 희생 랭크뉴스 2025.03.27
45009 의성 산불 확산 속도 역대 최고…“시속 60㎞ 차만큼 빨라” 랭크뉴스 2025.03.27
45008 정의선 "美관세 협상 정부·기업 함께 해야" 랭크뉴스 2025.03.27
45007 [속보] 우원식 “헌재, 신속히 尹 탄핵심판 선고 내려달라” 랭크뉴스 2025.03.27
45006 [속보] 울산시장 “울주 산불, 육안으로 봤을 땐 주불 100% 진화” 랭크뉴스 2025.03.27
45005 찔끔 온다던 비도 무소식…“산불 지역 열흘 넘게 비 예보 없다” 랭크뉴스 2025.03.27
45004 의성 산불, 시간당 8.2㎞ 역대 최고 속도로 영덕까지 번져 랭크뉴스 2025.03.27
45003 'ㅇㄹ,야' 의문의 문자에 위치추적한 경찰…물 빠진 30대 구했다 랭크뉴스 2025.03.27
45002 테마주 판치는 증시…조회 공시에 75%는 "왜 오르는지 몰라"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