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4일 저녁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교 사거리 인근에서 대형 땅꺼짐 사고가 발생해 도로 한가운데가 크게 파손돼 있다.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 강동구 명일동 도로 한복판에 차로 4개 너비에 이르는 대형 땅꺼짐(싱크홀)이 발생해 오토바이 운전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 강동구청 설명을 종합하면, 24일 오후 6시29분께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사거리 도로에 가로 18m, 세로 20m에 이르는 대형 땅꺼짐이 발생했다. 이 너비로 땅꺼짐이 발생한 부분만 깊이 20m 이상으로 추정되며, 그 규모 또한 커지고 있다.

사거리 도로 복판에서 돌연 발생한 땅꺼짐으로 오토바이 1대와 운전자가 추락했다. 사고 발생 5시간여가 지난 이날 밤 11시30분께에도 오토바이 운전자는 구조되지 못했다. 김창섭 강동소방서 소방행정과장은 이날 밤 11시 현장 브리핑에서 “현재로선 구조에 수십시간까지 걸릴 수 있다. 싱크홀 안에는 2천톤의 토사와 물이 섞여있다”며 “(싱크홀 안쪽에) 5m 정도의 구멍이 있는데 구조대원 30명이 잠수복을 입고 (구멍 안으로)로프를 타고 내려가 추락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토사와 물에 잠긴 곳을 더듬어가며 확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함몰 직전 도로를 통과한 카니발 차량 운전자 1명은 경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사고 현장 인근에선 이날 오전 배수구 주변에 작은 구멍이 났다는 신고가 접수돼 복구 작업이 오후 5시30분께 완료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복구 작업 약 1시간 뒤 대형 땅꺼짐이 발생한 것이다.

이날 저녁 찾은 땅꺼짐 현장은 실제 그 바닥이 보이지 않을 만큼 깊고 넓은 모습이었다. 도로 주변 가로수들은 반쯤 뽑혀 나간 채 싱크홀 주변에 걸쳐져 있었고, 수도관에선 지속해서 물이 쏟아지는 소리가 들렸다. 인근 주민 50여명은 걱정스러운 모습으로 사고 현장을 지켜봤다. 주변 아파트에 사는 김아무개(42)씨는 “땅이 점점 내려가는 것 같다. 주변 아파트들은 다 정전이 됐고 학교와 학원들도 아이들을 모두 귀가 시켰다”고 전했다. 땅꺼짐 발생 뒤 고압선 폭발이 발생하며, 한국전력 등은 추가 사고를 우려해 일대를 단전했다. 상수도에서 물이 쏟아지며 싱크홀로 흘러드는 것을 막기 위해 단수 조처도 이뤄졌다. 주변 일부 학교는 사고 위험을 우려해 재량 휴업을 공지하기도 했다. 주변 빌라에 사는 김은주(72)씨는 “주변에 지하철도 들어오고 재건축도 하고 있고 고속도로 공사도 하고 있어 땅꺼짐 우려가 있을만했다”며 안타까워했다.

24일 저녁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교 사거리 인근에서 대형 땅꺼짐 사고가 발생해 경찰과 소방이 현장을 통제하고 있다.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

소방 당국은 땅꺼짐 원인을 도로 밑을 지나던 상수도관 파열로 보고 있다. 특히 사고 발생 지점 지하에서는 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가 이뤄지고 있었다고 한다. 소방 관계자는 “싱크홀 아래에서 지하철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인부 5~6명이 누수되는 것을 보고 탈출했다”고 설명했다. 관계기관은 지하철 공사와 싱크홀 발생 사이의 인과관계 등 사고 원인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날 밤 9시50분께 현장을 방문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땅이 꺼진 면적이 커지고 있어 (추락 지점에) 접근이 제한되고 있다”며 ”최선을 다해 구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66 [단독] 천안함 유족 "이재명, 서해수호의 날 참석하려면 사과부터 해야" 랭크뉴스 2025.03.27
45165 할머니 통곡에 무릎 꿇은 이재명 "국가가 다 책임질 테니 걱정 마시라" 랭크뉴스 2025.03.27
45164 '대형 산불 사태' 사망자 1명 더 늘어…사상자 60명 랭크뉴스 2025.03.27
45163 해달·쥐캥거루 사라지니 폭풍, 산불 거세져... 동물 멸종은 결국 인류에 위협 랭크뉴스 2025.03.27
45162 지리산 확산 저지에 사활‥하동 주불 잡기에 총력 랭크뉴스 2025.03.27
45161 산불 사망자 28명으로 늘어…“역대 최대 산림 피해” 랭크뉴스 2025.03.27
45160 ‘작은 힘이 아닌 큰 힘’…산불대피소 안내지도 만든 이화여대생들 랭크뉴스 2025.03.27
45159 北 두만강에 다리 놓는 러시아... "김정은 올해 내 방러 준비됐다” 랭크뉴스 2025.03.27
45158 [속보]‘의성 산불’ 사망자 1명 추가···사망자 28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7
45157 JY 전세기 다시 베이징 안착…시진핑과 회동 '초읽기' 랭크뉴스 2025.03.27
45156 울산 울주군 온양읍 산불 엿새 만에 진화 완료 랭크뉴스 2025.03.27
45155 [속보] 중대본 “산불 사망 28명으로 늘어…사상자 60명” 랭크뉴스 2025.03.27
45154 김문수 “‘이 잔을 피할 수는 없습니까’ 심정···내 맘대로 되는 건 아냐” 랭크뉴스 2025.03.27
45153 "하늘이여 제발"‥하루 종일 기다렸는데 저녁에서야 찔끔 랭크뉴스 2025.03.27
45152 [속보]‘산불피해’ 경북 의성서 사망자 1명 추가···사망자 28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7
45151 야간에도 인력 3700명 투입…“안동시내로 불길 접근 못하게” 랭크뉴스 2025.03.27
45150 울주 산불, 6일 만에 완전히 꺼졌다…‘축구장 1300개’ 규모 피해 랭크뉴스 2025.03.27
45149 '역대 최악' 의성 산불에 가랑비‥진화 도움엔 한계 랭크뉴스 2025.03.27
45148 울주 산불 엿새 만에 꺼졌다…산림청 “주불 진화 완료” 랭크뉴스 2025.03.27
45147 국난의 연속인 이 와중에도… [그림판]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