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세대학교 측이 등록하지 않은 의대생들 중 제적 대상 학생들에게 제적 통지서를 보내기로 예정된 24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학생들이 오가고 있다. 정효진 기자


연세대 의대와 고려대 의대가 올해 1학기 등록을 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제적 예정 통보를 했다. 의대생들의 대규모 제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교육부와 대학들은 “올해는 학칙대로 적용한다”며 수업을 들어야 복귀로 인정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대규모 제적이 임박하자 일부 의대 교수들은 학생들에게 복귀를 호소하고 나섰다.

이날 연세대 의대는 약 400명에게 올해 1학기 미등록에 따른 제적 예정 통보서를 우편으로 보냈다고 밝혔다. 전체 의대생 중 약 50% 수준이다. 고려대는 문자메시지와 e메일로 먼저 제적 통보를 했고 25일 중 우편으로 통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차의과대(의학전문대학원)도 이날 우편으로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대는 이미 가정통신문으로 안내를 했기 때문에 별도 제적 예정 통보서는 보내지 않는다고 했다.

경북대, 고려대, 연세대, 차의과대는 지난 21일까지 의대생들의 1학기 등록을 받았다. 연세대는 제적 예정 통보서 발송 이후 28일 미등록자를 제적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는 지난 21일까지 등록을 한 뒤 26일까지 복학 원서를 제출해야 제적을 피할 수 있다. 전남대와 제주대는 이날까지 1학기 등록 신청을 받았고, 건양대의 수업 복귀 데드라인도 이날이었다.

일부 대학들은 등록 기한이 지난 뒤 복학 신청을 하려는 의대생들을 받아줄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학들은 최대한 학생들의 복귀를 유도한다는 취지에서 등록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수도권 대학 관계자는 “마감 이후 추가 등록 의사를 밝히는 학생의 행정처리는 검토해봐야 할 사항”이라고 했다. 또 다른 수도권 대학 관계자도 “확정된 것은 없지만 학생들의 복귀가 최우선이라는 원칙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고 했다.

정부와 대학은 “올해는 학칙대로 적용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등록 이후 수업을 들어야 복귀로 인정된다는 입장도 다시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올해는 학칙대로 할 수밖에 없다”며 “등록금만 냈다고 해서 복학 의사를 밝혔다고 보긴 어렵다”고 했다. 양오봉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전북대 총장) 회장은 “학칙에 나온 일정대로 원칙대로 간다는 걸 확고하게 말한다”고 했다.

정부와 대학이 ‘학칙대로’라는 입장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강경파 의대생들을 중심으로 “실제 복귀자는 많지 않다”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학칙상 등록을 한 뒤 군입대를 하려는 이들을 제외하면 실제 복귀 학생은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는 주장이다. 의대생들 간에 “대학과 정부가 의료인력수급 때문에 대규모 제적을 시키긴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공유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일부 의대 교수들은 대규모 제적이 현실화할 가능성을 우려하며 의대생들에게 복귀해달라고 했다. 강석훈 강원대 의대 교수는 이날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연 포럼에서 “(현 상황은) 어른들이 책임을 져야 하지, 왜 무고한 학생들이 피해를 봐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며 “투쟁은 교수가 할 테니 학생들은 이제는 돌아와 실리를 챙겨야 한다”고 했다.

[단독] 복귀 의대생 실명인증이 ‘연대의 의미’?…연세대 의대 입장문에 ‘부당한 압제’, ‘저항의 대상’까지연세대 의대 비상시국대응위원회(비대위)가 지난 21일 의대 등록 마감 시한을 앞두고 의대생들에게 보낸 입장문에서 ‘부당한 압제’ ‘저항의 대상’ ‘연대의 의미’ 등의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력을 통해 억지로 누르는 행위를 뜻하는 ‘압제’와 어떤 힘에 굽히지 않고 버티는 ‘저항’, 함께 책임을 지는 ‘연대’는 주로 민주화운동이나 목소리를 낼 ...https://www.khan.co.kr/article/202503231136001

[단독] 고려대 의대서 “미복귀 인증해달라” 압박 정황…수업 복귀 우회적 방해지난 21일 의대 등록 마감시한을 앞두고 고려대 의대생들 사이에서 단체 대화방 내 ‘미등록 인증’으로 올해 1학기 복학 신청 학생을 압박한 정황이 확인됐다. 연이은 의대생들의 수업 방해 사례에 경찰 수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미등록 인증을 통해 우회적으로 수업 복귀를 방해하는 행위가 재차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22일 기자가 입수한 고대 의대 재학생들...https://www.khan.co.kr/article/202503221856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09 불씨 덮치더니… 3분 만에 동네 전체가 불바다 랭크뉴스 2025.03.27
45108 "사진 찍으러 왔제!" 산불 피해 주민의 분노…이재명 반응은 랭크뉴스 2025.03.27
45107 이재명, 산불 현장서 옷 휘두르며 달려든 이재민에게 위협…“선처 요청” 랭크뉴스 2025.03.27
45106 ‘콘서트 선동금지 서약서 부당’ 이승환 헌법소원, 헌재서 각하 랭크뉴스 2025.03.27
45105 “의성에 비 온다!”…기다리고 기다리던 엿새 만의 굵은 빗방울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7
45104 최악 대형산불 7일째…지쳐가는 60대 고령 예방진화대원들 랭크뉴스 2025.03.27
45103 [단독] 尹 선고 늦어지자 피로 누적된 경찰... 숙박비만 13억 원 랭크뉴스 2025.03.27
45102 "피처폰은 받지도 못해"… '괴물 산불' 속 재난문자, 대피에 도움 안 됐다 랭크뉴스 2025.03.27
45101 자고 있던 70대 노모 흉기로 찌른 아들 현행범 체포 랭크뉴스 2025.03.27
45100 여 “우리법연구회 편파 판결”…야 “판결 승복해야” 랭크뉴스 2025.03.27
45099 “‘정치 선동 금지’ 서약서 강요는 부당” 이승환 헌법소원, 헌재서 각하 랭크뉴스 2025.03.27
45098 기밀 유출 ‘시그널 단톡방’ 일파만파…트럼프식 ‘공격이 최선의 방어’ 통할까 랭크뉴스 2025.03.27
45097 천둥 칠 땐 환호했지만…의성 산불에 단비, 10분만에 그쳤다 랭크뉴스 2025.03.27
45096 이재명, 옷 휘두른 남성에 ‘봉변’…경찰에 선처 요청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7
45095 "'폭싹 속았수다' 재밌게 보던 중 뚝 끊겼다"…그래도 2명 중 1명 '이 요금제' 쓰는 이유 랭크뉴스 2025.03.27
45094 [전문]곽종근 “대통령님, 정녕 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한 적 없으십니까” 랭크뉴스 2025.03.27
45093 [단독] 국토부, 4개월 전 명일동 싱크홀 주변서 ‘노면 침하’ 확인 랭크뉴스 2025.03.27
45092 ‘여직원 많아 산불현장 보내기 어렵다’ 울산시장 성차별 발언 랭크뉴스 2025.03.27
45091 3000억 원과 맞바꾼 창업자의 뚝심 [기자의 눈] 랭크뉴스 2025.03.27
45090 이재명 “검찰 국력 낭비” 사실이었다…2심 판결문에 검사 10명 이름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