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경남 산청 산불 현장에 투입됐던 인력 4명이 불길에 고립됐다 숨졌습니다. 4명 중 3명은 창녕군 소속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이었습니다.

앞서 또다른 산불전문예방진화대 관련 사고가 지난 1월에 있었습니다. 전남 장성군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에 지원한 70대 유 모 씨가 체력 시험을 치르다 숨진 겁니다. 유 씨는 쓰러지기 전 무게가 10kg 나가는 펌프를 등에 메고 아파트 10층 높이의 계단 2백여 개를 올랐습니다.

[연관 기사]반복되는 사고…‘사람 잡는’ 산불예방진화대 체력 검정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58994&ref=A

■겨울철 야외서 격렬 운동 …구급차, 제세동기 미배치

유 씨의 유족들은 장성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소홀히 했다며 장성군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유족들은 장성군이 현장에 구급차와 제세동기를 배치하지 않았던 점을 문제삼고 있습니다. 또 지원자 대부분이 고령인데도 준비운동 같은 예방 조치가 없었고 사고 대처도 부실했다고 주장합니다.

당시 시험은 체감온도 영하의 겨울철 야외에서 진행됐습니다. 지원자 76명 중 대부분이 60세 이상, 70세 이상은 27명이 있었습니다. 지원자들은 추운 날씨에 준비운동도 없이 계단을 빨리 오르는 체력 시험을 치렀고 한 명이 쓰러졌습니다. 현장에는 보건소 보건행정팀 소속인 간호사 1명만 대기했을 뿐입니다.

타 시군과 비교했을 때 장성군이 조치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고 볼 대목이 있습니다. 노동안전지킴이가 전남 22개 시군에 질의한 결과, 22개 시군 가운데 제세동기 없이 시험을 치른 곳은 장성군이 유일했습니다. 지원자 나이 제한이 없는 지역 중 구급차를 대기시키지 않은 곳도 장성군뿐이었습니다. 광양시과 강진군은 체력 검정을 치르지 않았고 신안, 구례, 완도, 고흥은 나이 제한을 뒀습니다.

■체력 좋아야 하지만 사실상 노인일자리

문제는 이런 사고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겁니다. 산불을 예방하고 진화하는 비슷한 일자리 사업인 산불감시원까지 넓혀 보면, 지난 2020년 대구 군위와 창원, 울산에서 체력 시험 중 지원자가 숨지는 사고가 잇따랐고, 2021년과 2022년에도 전북 장수와 대구에서 비슷한 사망 사고가 있었습니다.

각 사고의 원인에는 개인의 병력 등 여러 요소가 작용하겠지만, 분명한 건 사망한 지원자가 모두 60대 이상 고령이었다는 사실입니다. 지난해 전국 진화대원의 평균 나이는 61세입니다.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은 하루에도 여러 번 산을 올라야 할 수 있으니 좋은 체력은 필수입니다. 젊을수록 진화 업무를 더 잘 수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산불전문예방진화대는 사실상 '노인일자리'로 여겨집니다. 하루 일당 8만여 원의 최저임금을 받고 봄철과 여름철 4~6개월만 일하는 한시직이라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노인들 사이에선 농한기에 할 수 있는 좋은 부업으로 인식돼 대체로 모집 인원보다 지원자가 많습니다.

■ 반복되는 사망 사고…개선책 없나

체력 검정 시험 중 반복되는 사망 사고를 관할 부처인 산림청이 줄일 순 없을까? 산림청에 적절한 체력 검정이나 안전 조치 방법이 뭔지 물었습니다. ' 직접일자리사업 종합지침'을 어기지 않았다면 각 지자체 사정에 맞게 운영하면 된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체력검정 실시방법>
-각 기관이 응시인력 등을 감안하여 자체적(체력검정 기준 포함)으로 결정・시행
-( 예시) 물 채운 등짐펌프(15kg)를 지고 4km를 1시간에 들어온 자 등 지구력 위주
-순발력, 근력 등을 테스트하는 단거리 달리기, 무거운 중량(40kg이상) 들기는 하지 말 것
-상해보험 가입 및 위급상황에 대비 보건소 또는 119구급대 등 응급의료 인력 및 장비를 현장배치 후 실시

해당 지침에 따르면 최대한 빨리 계단 200개를 올라야 했던 장성군의 체력 시험 기준은 '지구력 위주'의 시험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사망 사고 이후 장성군은 체력 시험 난도를 확 낮췄습니다. 사고가 발생하면 개선하는 처방보단 산림청이 선제적으로 사고를 예방할 순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물론, 진화대의 고령화 문제도 해결해야 합니다. 진화대원 고령화는 선발 과정의 안전 사고 위험뿐 아니라, 실제 진화 활동을 할 때 사고 위험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경남 산청 산불 현장에 투입됐다 사망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3명도 모두 60대였습니다. 반복되는 사망 사고의 원인을 찾고 근본적으로 개선할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24 김새론 유족 "김수현, 미성년 교제 입증자료 공개" 기자회견 연다 랭크뉴스 2025.03.27
44723 대장동·대북송금…이재명 사법리스크, 선고 12번 남았다 랭크뉴스 2025.03.27
44722 '트랙터 견인' 대치 18시간 만에 종료…짧은 행진 후 '귀향'(종합) 랭크뉴스 2025.03.27
44721 국방비 대폭 증액·병력 2배 증원…유럽 '재무장' 속도전 랭크뉴스 2025.03.27
44720 산등성이마다 시뻘건 불길‥"지리산이 불탄다" 랭크뉴스 2025.03.27
44719 "천년고찰 지켰어야…정말 죄송하다" 눈물 쏟은 고운사 스님 랭크뉴스 2025.03.27
44718 산불 북상에 하회마을·병산서원 주변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7
44717 "누가 나체로 다녀요" 놀란 대학생들…40대 남성 현행범 체포 랭크뉴스 2025.03.27
44716 잇단 불길에 고택·측백나무숲도 불에 타…국가유산 피해 15건 랭크뉴스 2025.03.27
44715 트럼프 “공영방송도 불공정…지원 끊고 싶다” 랭크뉴스 2025.03.27
44714 "불길 코앞인데 골프 강행, 죽을뻔 했다" 극적탈출 캐디 폭로 랭크뉴스 2025.03.27
44713 "지방분권" 외치더니…시도지사 절반, 수도권에 아파트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랭크뉴스 2025.03.27
44712 블룸버그 "트럼프, 이르면 26일 자동차 관세 발표 가능성" 랭크뉴스 2025.03.27
44711 美의회예산국 “부채한도 조치없으면 8월에 디폴트” 랭크뉴스 2025.03.27
44710 경복궁역 ‘트랙터 대치’ 18시간 만에 끝…시동 걸고 “윤 파면” 행진 랭크뉴스 2025.03.27
44709 기밀 없다더니…美국방, 對후티반군 타격시간·공격무기 적시(종합) 랭크뉴스 2025.03.27
44708 국내 연구진, 보행 장애 부르는 ‘척추이분증’ 원인 세계 첫 규명 랭크뉴스 2025.03.27
44707 [재산공개] 대권 주자 재산은 얼마?... 이재명 30억8000만원·김문수 10억7000만원 랭크뉴스 2025.03.27
44706 서학개미 요즘 엔비디아 말고 '이 것' 3800억 순매수했다 랭크뉴스 2025.03.27
44705 산불 연기 자욱한 하회마을…“여기는 지켜야” 방어 총력전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