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 측 변호인 윤갑근 변호사가 2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 대통령 내란수괴 혐의 2차 공판준비기일에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켜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 측이 구속 취소 결정 후 열린 첫 재판에서 혐의를 모두 부인했다. 윤 대통령 측에선 ‘공수처 수사는 위법’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검찰이 ‘불법 기소’를 했다는 주장을 계속했다. 본격적인 재판은 다음 달 14일 시작될 예정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24일 윤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사건 2차 공판준비기일을 44분간 진행했다. 공판준비절차는 본격적인 재판에 앞서 쟁점을 정리하고 증거조사 방법을 논의하는 자리다. 피고인 출석 의무는 없어 윤 대통령은 법정에 나오지 않았다.

윤 대통령 측은 지난 준비기일에서 밝히지 않은 ‘공소사실과 검찰 측 증거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윤 대통령 측은 “내란죄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의 수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불법적 공소제기”라면서 “계엄은 정당한 국가긴급권 행사이므로 내란죄가 성립될 수 없다”는 등 취지로 공소사실을 모두 부인했다. 김홍일 변호사는 “검찰의 공소장은 방대한 배경사실과 정황만 나열할 뿐, 어느 시점부터 누구와 어떤 공모를 했는지 공소사실은 전혀 특정되지 않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검찰이 재판에 활용하려는 자료들이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라는 취지의 주장도 이어갔다. 윤 대통령 측은 “여러 수사기관에서 조사를 했던 만큼 검찰이 증거기록을 각각 어떤 경위로 수집했는지 밝혀야 한다”며 “증거 수집 경위가 명확히 드러나야만 수사진행에 문제가 있었던 부분까지 감안해 의견을 밝힐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공수처 수사기록의 증거능력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다.

검찰은 “공수처에서 받은 기록은 수사보고 10여개 정도뿐이었다”며 “법원이 수차례 발부한 영장 등을 통해 ‘공수처에 수사권이 없다’는 변호인단 주장을 배척한 만큼 위법 수집 증거라는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양측의 논쟁에 대해 재판부는 “위법 수집 증거는 재판 진행 과정에서 계속 논란이 될 여지가 있다”며 “이와 관련한 양측의 주장을 모두 종합해보고 나중에 증거 배제를 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준비절차를 마무리하고 첫 공판을 오는 4월14일 오전 10시에 열기로 했다. 윤 대통령 측은 “탄핵절차가 진행 중이니 준비기일을 한 번 더 열어달라” “증거 기록을 검토할 시간이 필요해 (다음달) 21일을 첫 기일로 지정해달라”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불구속 상태라 방어권도 보장되는 만큼 (재판을 시작해) 우선 증인신문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첫 공판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검찰은 “사건의 주요 증인 38명에 대한 신문을 계획하고 있다”며 추후 재판 진행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증인을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사건과 같은 재판부에 배당된 군과 경찰 간부들에 대한 재판과 병합할지는 나중에 결정하기로 했다. 재판부는 윤 대통령 형사재판 역시 다른 주요 재판과 마찬가지로 2주에 세차례 정도씩 재판을 진행하며 신속하게 심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구속 때는 꼬박꼬박 출석하던 윤석열···석방 이후엔 침묵, 이유는?12·3 비상계엄 사태로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24일 열리는 형사재판의 두 번째 공판준비기일에 출석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앞서 체포·구속된 이후에는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과 공판준비기일에 꼬박꼬박 출석했던 것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석방 이후 눈에 띄게 조용해진 윤 대통령에 대해 탄핵심판이 임박해진 상황에서 향후 형사재판까지...https://www.khan.co.kr/article/20250323153501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81 아르헨 대 브라질 ‘인생 축구 경기’ 보러 갔다가…이 남자들이 쫓겨난 이유 랭크뉴스 2025.03.27
44880 나사 "한국 두 곳서 연기 기둥 솟았다" 산불 초기 위성사진 공개 랭크뉴스 2025.03.27
44879 “회 쳐먹고, 찜 쪄먹고···”세월호 막말 차명진, 항소심도 패소 랭크뉴스 2025.03.27
44878 1000도 화마도 버틴다…만휴정 살린 '방염포 기적' 랭크뉴스 2025.03.27
44877 [속보] 하동군 “지리산국립공원 인근 산불 확산 중…탐방객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7
44876 추성훈이 김새론 장례비 전액 지원?… "근거 없는 가짜뉴스" 랭크뉴스 2025.03.27
44875 [속보] 안동시 “산불, 시내로 확산 중”…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7
44874 “자식죽음 회 쳐먹고, 찜 쪄먹고···”세월호 막말 차명진, 항소심도 패소 랭크뉴스 2025.03.27
44873 [속보]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에서 시내 방면으로 산불 확산 중…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7
44872 권영세 “李 무죄 준 판사들 문해력 의심” 랭크뉴스 2025.03.27
44871 [속보] 한덕수, 중대본부장에 "산불 진정될 때까지 경북에 상주해 지휘하라" 랭크뉴스 2025.03.27
44870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애초 이게 수사할 사항이었나? [3월27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3.27
44869 1000도 화마 덮쳐도 버틴다…만휴정 살린 '방염포 기적' 랭크뉴스 2025.03.27
44868 산불 현장 찾은 이재명 "미안할 건 없어요. 평생 세금 냈는데 당당히" 랭크뉴스 2025.03.27
44867 "다른 직업 해볼까"···월급쟁이 열에 아홉은 "직무 전환 원해" 랭크뉴스 2025.03.27
44866 "수미야 어디야?" 53년 절친 김혜자의 문자…며느리 서효림 울었다 랭크뉴스 2025.03.27
44865 [단독]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유산취득세 도입시···500억 이상 자산가 감세효과 20배 ↑ 랭크뉴스 2025.03.27
44864 장갑차만 물속서 찾았다…훈련 중 사라진 미군들, 리투아니아 뭔일 랭크뉴스 2025.03.27
44863 [속보] 산불로 26명 사망·30명 부상... 산림 피해 3만6000㏊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3.27
44862 "징하게 해 처먹어"…차명진, 세월호 유족 1명당 100만원 배상 명령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