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5 KBO리그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VS KIA 타이거즈 시범경기/사진=한국경제신문


“일반예매권은 남겨두셨어야죠. 돈에 미친 것 같다. 솔직히 야구 이 정도까진 아니었는데, 이제는 진짜 못보겠다.” '피켓팅'(피가 튈 정도로 치열한 티켓팅) 후기 블로그에 올라온 반응이다.

KBO리그 역사상 처음으로 개막 시리즈 2경기 전 구장 매진을 기록하며 자연스레 예매 경쟁이 치열해졌다. 각 구단이 유료 시즌권·멤버십 판매에 돌입하며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과도한 ‘급 나누기’에 대한 팬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이전에도 추가로 돈을 내고 먼저 표를 살 수 있는 권한 등을 받았던 ‘멤버십’(선예매권)이 있었다. 하지만 올 시즌 등장한 ‘선선예매권’은 이 멤버십을 등급별로 세분화해 최대 한 시간 단위로 예매 시작 시간까지 나눈 것이다.

구단들은 2010년대부터 VIP 회원권을 판매해 30분~1시간, 또는 며칠 먼저 예매할 수 있는 우선권 멤버십 제도를 도입했다. 현재는 국내 프로야구 10개 구단 모두 ‘선예매권’을 주는 유료 회원제를 운영하고 있다.

프로야구 인기가 높아지면서 KIA 타이거즈 등 5곳은 이보다 비싼 회원제 혜택인 ‘선선예매’를 도입했고, 삼성 라이온즈·KT 위즈 등 2곳은 ‘선선선예매’ 제도도 도입했다. 가입 시 내는 비용에 따라 순차적으로 예매 우선권을 얻을 수 있다. LG 트윈스는 올해 초 표 선예매를 혜택으로 하는 회원권 가격을 2만원에서 10만원으로 5배 인상했다. 일부 구단의 경우 경기장 좌석 수보다 멤버십 가입자 수가 더 많아 모든 좌석을 선예매자만 구매하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문제는 멤버십 제도를 악용한 암표거래다. 멤버십 권한으로 인기 좌석을 미리 예매한 뒤 웃돈을 받고 되파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온라인 티켓거래 사이트인 티켓베이, 중고나라 등에서 개막전 경기 표가 정가의 최대 10배 가격에 판매됐다.

다음주 금요일인 28일 예정된 경기의 1매당 정가 4만 5000원짜리 테이블석은 이날 기준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35만원에 판매 중이다. 7배나 높은 가격이다.

뿐만 아니라 ‘신규 팬 줄이기 운동하냐’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신규 팬들이 피켓팅을 뚫고 예매에 성공하더라도 시야가 좋지 않은 자리에 갈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선수와 룰에 익숙하지 않은 신규 팬들이 야구에 대한 흥미가 떨어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팬들의 원성이 커지자 차등 회원제 도입을 철회한 구단도 나왔다. 지난달 22일 SSG 랜더스는 가장 비싼 회원제 ‘프론티어’ 구매자에게 다른 유료 등급보다 1시간 빠른 선예매 권한을 준다고 발표한지 하루 만에 철회했다.

여전히 선선예매권을 도입한 대부분의 구단들은 경영 방침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 구단 관계자는 “작년 KBO리그가 1000만 관중을 달성한 뒤 구단 입장에선 인기를 계속 이어가기 위한 방안으로 로열티 있는 관중을 모으기 위한 방법을 치열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52 중대본 “사망 26명… 산불 시속 8~10㎞ 확산” 랭크뉴스 2025.03.27
44851 서해안고속도로서 벤츠 차량 추락…외국인 4명 숨져 랭크뉴스 2025.03.27
44850 트럼프 車관세 25% 현실화…'대미 투자' 현대차도 타격 불가피 랭크뉴스 2025.03.27
44849 [속보] 경북 강우량 5㎜ 전망…“오늘 비, 진화에 큰 도움 안 돼” 랭크뉴스 2025.03.27
44848 기다리던 비는 오는데, 고작 5㎜…산림청장 "큰 도움 안될 듯" 랭크뉴스 2025.03.27
44847 [광화문 약국] 대치동 휩쓴 ‘공부 잘하는 약’…非ADHD 복용시 “충동·폭력성↑” 랭크뉴스 2025.03.27
44846 시험대 오른 이재용, 실적 부진에 CEO 부재까지… “삼성 부활 위한 결단력 절실” 랭크뉴스 2025.03.27
44845 [속보] 중대본 "산불 사태로 사망 26명·중상 8명·경상 22명" 랭크뉴스 2025.03.27
44844 [속보] 산림청 “오늘 비, 진화에 큰 도움 안 돼” 랭크뉴스 2025.03.27
44843 ①해외 사업 강화 ②비핵심 부문 매각...롯데의 위기 탈출 열쇳말 랭크뉴스 2025.03.27
44842 [속보] 중대본 “산불 사망 26명·중상 8명·경상 22명” 랭크뉴스 2025.03.27
44841 고위법관 평균 재산 38억7520만원…가상자산 매매 움직임도 랭크뉴스 2025.03.27
44840 [속보] 중대본 "산림 피해면적 3만6천㏊…역대 최대 피해" 랭크뉴스 2025.03.27
44839 정부 재산공개서 심우정 검찰총장 121억 원 신고‥공직자 평균 20억 6천만 원 랭크뉴스 2025.03.27
44838 미 나사 위성이 찍은 산불 상황…선명한 연기 기둥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3.27
44837 [속보] 산림청 "오늘 비, 진화에 큰 도움 안돼…경북 북부 산불영향구역 3만3204㏊ 추정" 랭크뉴스 2025.03.27
44836 영남 이어 무주서도 산불, 옥녀봉으로 확산…시작은 주택 화재 랭크뉴스 2025.03.27
44835 [속보]경북 산불지역 3만3000㏊ 넘어 역대 최대···서울 면적 절반 이상 랭크뉴스 2025.03.27
44834 ‘제적’ 경고에도 복귀 않는 의대생들…“굴복 싫어서” “낙인 두려워” 랭크뉴스 2025.03.27
44833 진에어 항공기, 김해공항 '엉뚱한' 활주로 착륙…"국토부 조사 중"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