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후통첩도 무시… 복귀거부 논리는

‘편입 충원’ 현실성 낮다는 판단에다
정부 향한 강한 불신도 작용하는듯
작년과 상황 달라져 강경파 입지 ↓
한 학생이 23일 서울 의과대학 건물에서 걸어가고 있다. 교육부는 대학별 복귀 시한까지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에 대해 제적 처분을 한다는 방침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뉴시스

의대생들의 복귀 흐름이 확산하고 있지만 학생 상당수는 여전히 ‘복귀 불가’ 입장을 고수한다. 강경한 입장의 배경에는 지난해 ‘미복귀 시 제적’ 조치가 거의 없었다는 학습 효과가 크게 작용했다. 여기에 편입을 통한 충원이 어려울 것이라는 믿음, 정부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정부는 “1년 전과는 다르다”며 압박 수위를 한층 높이고 있다. 지난해와는 확연히 상황이 달라진 만큼 갈수록 강경파 입지는 더 좁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복귀 의대생들은 대규모 제적 사태는 없을 거라고 믿는 분위기다. 서울 소재 의대생 A씨는 23일 “지난해에도 정부는 똑같이 미복귀 의대생들을 제적한다고 했지만 실제로 제적된 의대생은 거의 없다”며 “이번에도 또 속으면 바보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다른 의대생 B씨도 “아직 별다른 복귀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국 의대 재적생 1만9048명 중 휴학생은 1만7812명으로, 이 중 미복귀로 제적된 학생은 5명에 불과했다. 정부의 잇따른 경고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의 머릿속에 ‘제적은 없을 것’이란 논리가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는 분석이다.

미복귀 의대생들은 일부 의대가 검토하는 ‘편입’ 카드에 대해서도 현실성이 없다고 본다. 특수한 의료지식을 다루는 의대 특성에다 본과 2~4학년의 경우 중간 편입이 어렵게 규정한 학교별 학칙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일괄적인 제적을 밀어붙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들은 정부에 대한 불신을 여전히 거두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론이 변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씨는 “이제는 다들 탄핵심판 선고만 기다리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의 흐름을 보면 미복귀 의대생들이 지금 같은 태도를 고수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기준으로 목소리를 높이는 강경파들의 주장이 이번엔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도 있다. 주요 의대를 중심으로 복귀 흐름이 확산하고, 학교와 정부 모두 1년 전과 달리 미복귀 시 제적이라는 원칙적 입장을 강조하고 있어서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업 미복귀 의대생의 경우 제적 등 원칙대로 처리한다는 입장은 바뀔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저학년 의대생의 경우 편입을 통해 빈 인원을 채우는 게 가능하다는 전망도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대학에서 보통 편입을 중도 탈락 대비 30% 정도 뽑은 사례를 비춰볼 때, 의대 1·2학년 정원 7500명 중 절반 이상이 제적된다고 가정하면 이번에는 각 대학에서 1000명가량의 편입생을 뽑을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교육부 관계자도 “편입학 추진은 대학 자율”이라며 “학교마다 결원 발생 시 편입을 통해 충원하는 것이 절차”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86 李, 재판부에 90도 인사… 법정 밖 50여명 민주 의원들 환호 랭크뉴스 2025.03.26
44585 안동 산불확산에 긴박한 대피령…온종일 짙은 연기 뒤덮어(종합) 랭크뉴스 2025.03.26
44584 검찰, 이재명 2심 무죄에 즉각 상고 방침‥"대법원서 시정하겠다" 랭크뉴스 2025.03.26
44583 거세진 산불 지리산·주왕산까지 덮쳐… 사망 26명으로 랭크뉴스 2025.03.26
44582 [속보] 안동시, 남선면 주민 안동중학교로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6
44581 ‘尹 탄핵’ 트랙터 시위 합류한 2030 ‘분필 낙서’… 경복궁 옆 도로 종일 점거 랭크뉴스 2025.03.26
44580 헌재, 윤석열 탄핵선고일 오늘도 공지 안 해…4월 가능성 커져 랭크뉴스 2025.03.26
44579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경찰조사 받던 소방관 숨져 랭크뉴스 2025.03.26
44578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사법리스크 부담 덜었다 랭크뉴스 2025.03.26
44577 매캐한 불냄새, 희뿌연 연기… 전쟁터와 다름없는 영덕 랭크뉴스 2025.03.26
44576 "이제는 尹 파면의 시간"... 서초동에서 한숨 돌린 野, 헌재 앞으로 랭크뉴스 2025.03.26
44575 [단독] 미래에셋, ‘수익률 -70%’ 대체육 업체 임파서블푸드 매각 수순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26
44574 의대생 무더기 제적 D-2···다급해진 선배들 "일단 돌아오라" 랭크뉴스 2025.03.26
44573 李 2심 무죄에 韓 “법원이 ‘거짓말 면허증’ 발부” 吳 “정의 바로 세우길” 랭크뉴스 2025.03.26
44572 尹 구속취소도 이 논리…이재명 재판부 꺼내든 무죄 원칙 랭크뉴스 2025.03.26
44571 이재명, 벼랑 끝 기사회생... 선거법 무죄 선고에 재판부에 '90도 인사' 랭크뉴스 2025.03.26
44570 검찰, 이재명 2심 무죄에 "상고해 대법원서 위법 시정" 랭크뉴스 2025.03.26
44569 이재명, 선거법 2심서 전부 무죄… “허위사실 공표 아냐” 랭크뉴스 2025.03.26
44568 산불 진화 핵심 '대형헬기' 부족…"동시다발 산불 대비해야" 랭크뉴스 2025.03.26
44567 포켓몬빵 제친 ‘크보빵’ 인기… 뭐길래? 랭크뉴스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