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진화율 경북 의성 60%, 경남 산청 71%, 울산 울주 72%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발생 이틀째인 23일 의성군 산불 현장에서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영남권 산불이 나흘째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24일 날이 밝으면서 진화 작업이 재개됐다. 낮 동안 최대 초속 15m의 강한 바람이 예상돼 불이 쉽게 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4일 산림청과 경북도, 경남도, 울산시 등에 따르면 산림당국은 오전 6시30분쯤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 진화 헬기 59대와 진화대 등 인력 2600명, 장비 377대 등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현재 산불 현장에는 바람이 초속 1m 정도로 불고 있다. 낮에는 최대 초속 15m에 이르는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의성 산불 전체 진화율은 60%이다.

한국전력 경북본부는 산불 피해 예방을 위해 지난 22일 오후 1시40분쯤 안계변전소~의성변전소 구간에 있는 송전철탑 55기 가운데 20기에 전력공급을 중단했다. 전력공급은 전날 오후 7시36분쯤 재개됐다.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 사흘째인 23일 헬기가 야산에 물을 뿌리며 산불을 진압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남 산청군 산불 진화율은 71%이다. 헬기는 전날 해가 지면서 모두 철수했고, 당국은 특수진화대원 1500여명을 투입해 밤새 불길이 민가로 확산하지 않도록 진화 작업을 벌였다. 산림청은 해가 뜨는 대로 전날보다 4대 많은 헬기 36대를 투입할 예정이다.

산림청은 이날 오전 중 주불을 진화한다는 계획이지만 바람이 강해 어려움이 예상된다. 산청에는 이날 최대 초속 15m의 강풍이 불 것으로 예보됐다. 건조주의보도 발효돼 있다.

산림당국은 울산 울주군에서는 밤 사이 공무원 등 1000명을 현장 인근 마을에 배치해 산불이 민가로 확산되지 않도록 했다. 이날 오전 바람이 오후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불 것으로 예상돼 한낮이 되기 전 장비와 인력을 집중해 진화 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현재 진화율은 72%다.

당국은 오전 6시30분쯤 헬기 12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재개했다. 울산시와 울주군 공무원뿐만 아니라 울산의 다른 기초자치단체 공무원 등 약 1700명을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인다. 해병대 등 군부대에서도 지원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 울주군에서 지난 23일 산불진화대원들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경북 의성군 산불은 지난 22일 오전 11시25분쯤 안평면 괴산리 야산 정상에서 성묘객 실화로 발생했다. 초속 5.6m 정도의 강한 바람을 타고 동쪽 방면으로 20여㎞ 떨어진 지점까지 번졌다. 피해가 예상되는 산불 영향 구역은 6078㏊이다. 주택 등 94동이 불에 탔으나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경남 산청 시천면에서는 지난 21일 오후 3시28분쯤 산불이 발생했다. 예초기에서 튄 스파크가 원인으로 추정되며, 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산불 영향 구역은 1379㏊이다.

산불 진화작업에 투입된 창녕군 소속 진화대원 3명과 공무원 1명이 숨졌고, 5명은 중상, 1명은 경상을 입는 등 총 10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주택 등 46동이 불에 타는 재산 피해도 발생했다. 창녕군은 이날부터 나흘간 숨진 이들을 추모하는 합동분향소를 운영한다.

울산 울주 화재는 지난 22일 낮 12시 12분쯤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야산에서 났다. 화재는 농막 용접 작업 중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당국은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산불 영향 구역은 192㏊이다.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고, 재산 피해는 확인 중이다.

경남 김해 한림면에서는 지난 22일 오후 2시3분쯤 쓰레기 소각 중 산불이 발생했다. 산불 영향 구역은 90㏊로, 진화율은 96%이다. 인명 피해는 없고, 재산 피해는 확인 중이다.

충북·옥천·영동에서는 전날(23일) 오전 11시53분쯤 산불이 발생했다. 전답 소각 중 불이 난 것으로 추정되며, 100% 진화된 상태다. 전답을 소각한 것으로 추정되는 1명이 경상을 입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26 美국방부 "北이 7년 전 넘긴 유해상자서 100번째 미군 신원확인" 랭크뉴스 2025.03.27
44725 우크라 "자포리자 원전 디젤저장고 파손"…러는 "거짓"(종합) 랭크뉴스 2025.03.27
44724 김새론 유족 "김수현, 미성년 교제 입증자료 공개" 기자회견 연다 랭크뉴스 2025.03.27
44723 대장동·대북송금…이재명 사법리스크, 선고 12번 남았다 랭크뉴스 2025.03.27
44722 '트랙터 견인' 대치 18시간 만에 종료…짧은 행진 후 '귀향'(종합) 랭크뉴스 2025.03.27
44721 국방비 대폭 증액·병력 2배 증원…유럽 '재무장' 속도전 랭크뉴스 2025.03.27
44720 산등성이마다 시뻘건 불길‥"지리산이 불탄다" 랭크뉴스 2025.03.27
44719 "천년고찰 지켰어야…정말 죄송하다" 눈물 쏟은 고운사 스님 랭크뉴스 2025.03.27
44718 산불 북상에 하회마을·병산서원 주변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7
44717 "누가 나체로 다녀요" 놀란 대학생들…40대 남성 현행범 체포 랭크뉴스 2025.03.27
44716 잇단 불길에 고택·측백나무숲도 불에 타…국가유산 피해 15건 랭크뉴스 2025.03.27
44715 트럼프 “공영방송도 불공정…지원 끊고 싶다” 랭크뉴스 2025.03.27
44714 "불길 코앞인데 골프 강행, 죽을뻔 했다" 극적탈출 캐디 폭로 랭크뉴스 2025.03.27
44713 "지방분권" 외치더니…시도지사 절반, 수도권에 아파트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랭크뉴스 2025.03.27
44712 블룸버그 "트럼프, 이르면 26일 자동차 관세 발표 가능성" 랭크뉴스 2025.03.27
44711 美의회예산국 “부채한도 조치없으면 8월에 디폴트” 랭크뉴스 2025.03.27
44710 경복궁역 ‘트랙터 대치’ 18시간 만에 끝…시동 걸고 “윤 파면” 행진 랭크뉴스 2025.03.27
44709 기밀 없다더니…美국방, 對후티반군 타격시간·공격무기 적시(종합) 랭크뉴스 2025.03.27
44708 국내 연구진, 보행 장애 부르는 ‘척추이분증’ 원인 세계 첫 규명 랭크뉴스 2025.03.27
44707 [재산공개] 대권 주자 재산은 얼마?... 이재명 30억8000만원·김문수 10억7000만원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