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3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운람사가 전날 발생한 산불로 불에 탔다. 운람사 건물이 불에 타 전소한 모습. 김정석 기자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로 신라시대 창건한 사찰인 운람사도 상당한 피해가 났다. 운람사 건물 7채 중 6채가 소실되거나 반파됐지만, 산불에 휩싸이기 전 이 사찰에서 보유하고 있던 중요 문화유산은 안전한 곳으로 옮겨졌다.



운람사 건물 7채 중 6채 불에 타

23일 오후 찾은 경북 의성군 안평면 운람사는 처참한 광경이었다. 운람사로 들어가는 길목부터 탄내가 가득하고, 뿌연 연기가 걷히지 않은 상태였다.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모신 보광전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고, 주지 스님이 불자들을 접견하는 청어당도 완전히 무너졌다.

23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운람사가 전날 발생한 산불로 불에 탔다. 운람사 건물이 불에 타 전소한 모습. 김정석 기자
23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운람사가 전날 발생한 산불로 불에 탔다. 운람사 경내에 세워진 석탑이 불에 그을려 있다. 김정석 기자

군데군데 그을음이 묻어 있는 석탑 옆으로는 다 쓴 휴대용 소화기가 여러 개 쌓여 있어 전날의 다급함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듯했다.

법당과 공양간도 뼈대만 남아 있거나 내부가 모두 탄 상태였다. 운람사를 둘러싸고 있는 소나무숲마저 대부분 불에 타거나 나무 둥치 부분이 새카맣게 불에 그을려 있었다.

운람사 주지인 등오 스님은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근처 벤치에 앉아 잿더미로 변한 운람사를 바라보고 있었다. 운람사가 불에 탔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온 불자들이 등오 스님에게 위로를 건네며 합장을 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빠르게 옮겨

운람사는 국내 불교를 대표하는 신라 승려 의상(625~702) 대사가 창건한 천년고찰이다. 경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28호로 지정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등을 보유하고 있고, 보물 제1648호인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도 이곳에서 발견됐다. 운람(雲嵐)이라는 사찰의 이름은 아지랑이가 마치 구름같이 피어오른다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구름과 바람의 뜻으로 지어졌다는 설이 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을 피해 운람사 스님과 보살들이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안전한 곳으로 급히 옮기고 있다. 사진 고운사 도륜스님

전날 산불이 시작되자 등오 스님과 보살들은 화염이 운람사를 덮치기 전 빠르게 문화유산부터 옮기는 작업에 뛰어들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에 담요를 뒤집어 씌운 뒤에 화물차 짐칸에 실었다. 다른 문화유산들도 빠르게 차에 옮겨싣고 직선거리로 10여km 떨어져 있는 의성군 금성면 의성조문국박물관으로 이송했다.

스님과 보살들이 문화유산을 옮기는 동안 운람사를 지키러 온 산불진화대원들이 총력을 다해 불길을 향해 물을 쏘며 불을 끄려했지만 삽시간에 번지는 산불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강풍을 타고 날아다니던 불길은 운람사 목조건물 곳곳으로 내려앉으며 화염을 일으켰다.

산불이 시작된 다음날인 23일 오전까지도 운람사 주변에는 매캐한 연기가 끊이지 않았다. 운람사에서 내려다보이는 산등성이 아래에서도 여전히 커다란 불길이 치솟고 있었다. 이날 경북도와 산림당국은 헬기 52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펼쳤다. 하지만 워낙 화선이 길어 산불을 완전히 잡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역사 가치 깊어…조속히 복원을”

운람사의 본사인 대한불교조계종 의성 고운사 총무국장 도륜 스님은 “의상대사가 창건해 오랜 세월을 이어온 운람사는 역사적·종교적 가치가 뛰어난 곳”이라며 “지역 신도들을 위한 신앙생활의 터전이기도 했던 운람사를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복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을 피해 운람사 스님과 보살들이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등 문화유산을 안전한 곳으로 급히 옮기고 있다. 사진 고운사 도륜스님

한편 경북도와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기준 진화율은 51%로 집계됐다. 산림당국은 이날 오전 6시30분부터 소방헬기 52대, 진화인력 3777명, 진화차량 453대를 투입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현재까지 주택 74채가 전소됐으며, 실내체육관 등으로 대피한 인원은 35개 마을 1365명으로 집계됐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69 "화장실서 매일 쓰는 건데 어쩌나"…비누 속 꽃향기가 뇌세포 손상 시킨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8 발생 213시간 만에 꺼진 산청 산불… 산림 1,858㏊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7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컸나…불신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6 방콕서 지진에 왜 '건설 중' 33층 건물만 붕괴?‥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265 국민의힘, '줄탄핵' 경고에 "명백한 내란 자백‥정당해산 심판 대상" 랭크뉴스 2025.03.30
46264 혁신당, 헌재에 ‘화병’ 위자료 집단소송 추진…“4일까지 선고일 지정” 랭크뉴스 2025.03.30
46263 한부모 월평균 양육비 58만 원인데…10명 중 7명 “한 푼도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3.30
46262 [가족] "내일 안락사 확정"… 봉사자 다급한 전화로 구조된 강아지 '빵떡이' 랭크뉴스 2025.03.30
46261 핵무장론 부추기는 외교부의 '민감국가' 해명... 논란은 끝나지 않았다 [문지방] 랭크뉴스 2025.03.30
46260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민주당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259 [속보]산림청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발생 213시간 만에 꺼졌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8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진화‥역대 2번째 오래 탄 산불 랭크뉴스 2025.03.30
46257 [산불 속보 (오후)] 경남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213시간 여 만 랭크뉴스 2025.03.30
46256 남편이 성폭행한 10대, 60대 아내는 4번이나 찾아가 "합의를" 랭크뉴스 2025.03.30
46255 [단독] 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4 尹탄핵 정국에 文 소환 통보…전주지검장 "어떻게 처분 안하냐"[이슈추적] 랭크뉴스 2025.03.30
46253 [속보] 213시간만에 꺼진 산청 산불, 축구장 2602개 면적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2 교민 인명피해 아직 없어‥"구조 기다리는 중" 랭크뉴스 2025.03.30
46251 산림청장 "30일 오후 1시 경남 산청 산불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50 "요즘 누가 밥을 먹어요, 빵 먹지" 확산에…CU 또 일냈다 '샐러드빵' 3종 출시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