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3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시천면의 한 마을에서 산불이 민가로 내려올까 김모(40대)씨가 우려하고 있다. 대구에 사는 김씨는 전날 부모가 사는 이 마을까지 산불이 확산한다는 소식을 듣고, 슬리퍼 차림으로 산청을 급히 찾았다. 안대훈 기자


민가 향하는 불길…“부모님 새 집 탈까 걱정”
23일 오전 8시쯤 경남 산청군 시천면 한 야산. 산림청 소속 산불 전문 공중진화대원 약 8명이 엔진톱으로 수목을 자르며 급경사인 산비탈을 올랐다. 일반인은 두 손 두 발을 모두 써야 오를 수 있을 만큼 가팔랐다. 이 야산에선 불길이 연기를 내뿜으며 산 아래 민가를 향해 내려고 있었다. 군인 약 20명도 산불진화용 등짐펌프를 메고 진화에서 나서고 있었다.

200m 떨어진 곳에서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마을 주민 몇몇이 이 광경을 지켜보고 있었다. 김모(40)씨는 “영화에서나 보던 현장을 실제로 보니 겁난다”고 했다. 여기서 102㎞ 떨어진 대구 달성군 현풍읍에 사는 김씨는 전날(22일) 밤 이 마을에 왔다. 60대 부모가 사는 이 마을까지 산불이 확산하고 있단 소식을 듣고서다. 정신없이 차를 몰고 온 그는 슬리퍼 차림이었다.

23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시천면 한 마을 인근 야산에서 불길이 연기를 내뿜으려 내려오고 있다. 안대훈 기자
김씨는 “부모님이 작년에 집을 새로 지었다. 고생해서 지으신 집이 불 탈까, 물이라도 뿌려야 하나 싶어 달려왔다”며 “영화에서 보던 산불 같아 겁이 났다”고 했다. 이어 “어제 오전까진 여기에 불이 안 왔는데, 오후부터 불이 강 건너편까지 넘어 왔다”며 “부모님이 인근 마을회관으로 대피하셨고, 저도 그곳에 잠을 잤다”고 했다.



수백m 연이어 틘 불똥…자욱한 연무 속 까맣게 탄 묘지
지난 21일 발생한 경남 산청 산불이 사흘째 이어지면서 조용하던 농촌은 아비규환이 됐다. 불이 난 산청군 시천면과 단성면은 해 뜬 오전 9시쯤에도 불길이 내뿜은 연무(煙霧·연기와 안개)가 자욱했다. 약 50m 떨어진 강 건너 마을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강한 연무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탓에 산림당국은 일출 이후 곧바로 진화 헬기를 띄우지 못했다. 오전 10시부터 차츰 헬기를 투입 중이다.

전날 몰아친 강풍으로 불똥이 짧게는 600m 멀게는 1㎞까지 날아갔다. 이런 비화(飛火)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면서 산불 범위가 크게 확산됐다. 화마가 할퀸 조상 묘와 과수원, 야산 곳곳은 새까맣게 탔다. 최초 불이 난 시천면 신천리의 야산에서 동남 쪽인 하동군 옥종면까지도 불이 번졌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산청 344명, 하동 117명 주민들이 13곳의 대피소로 피신했다. 산청에서 산불 진화에 나선 경남 창녕군 소속 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사상자 10명이 발생하는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23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시천면의 한 야산에 있는 묘지가 산불에 새까맣게 그을려 있다. 안대훈 기자
경남 산청 대형 산불이 사흘째로 접어든 23일 오전 산청군 시천면 일대에서 승용차가 산불로 인해 전소돼 있다. 뉴스1
이날 산림청·경남도 등에 따르면 오전 9시 기준, 산림당국은 산청 산불영향구역을 1340㏊로 추정했다. 전체 화선(火線)은 40㎞로 전날보다 2배 넘게 늘었다. 산림당국은 이 화선 중 절반(20㎞)가량을 진화했다고 했다. 현재 진화율은 50%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날 오전 진화율이 70%를 넘겼지만, 오후 강풍과 함께 산불이 재확산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산청 진화헬기 수 ↓…전국 산불에 장비·인력 분산
이날 산림당국이 산청 산불에 투입하려는 진화헬기는 총 33대다. 전날 낮 43대와 비교하면 10대 줄었다. 산림청 헬기 6대, 군 헬기 4대가 빠지면서다. 산청뿐만 아니라 경북 의성과 울산 울주에도 대응 최고 수위인 ‘산불 3단계’가 발령, 진화 장비와 인력이 분산됐기 때문이라고 산림청은 밝혔다. 현재 산청에는 진화차·소방차 등 장비 217대와 산림청 공중진화대, 소방·경찰, 산청군 등 2049명의 진화 인력이 투입해 불길을 잡고 있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3·4월은 건조하면서 바람이 가장 많이 불어 대형 산불이 잘 발생한다”며 “(산불 현장이) 건조하고 뜨거워 마치 드라이기 안에 들어와 있는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했다. 이어 “산불 구역안에서 꺼진 불이 바람에 다시 살아나기 때문에 내일 바람이 더 불기 전에 가용 재원을 투입해 신속히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전날 밤부터 이날 새벽까지 화재 현장에서 진화작업 중인 산림청 소속 진화대원들의 모습. 사진 산림청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48 “반트럼프, 반USA”…트럼프가 불지핀 분열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②] 랭크뉴스 2025.03.31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37 '챗GPT 지브리풍 그림' 유행 올라탄 백악관... "부적절"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3.31
46536 찰스 3세, 한국 산불피해 위로…여왕 안동 방문도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535 野 "마은혁 임명" 압박에…與 "그럼 문형배·이미선 후임도 뽑자" 랭크뉴스 2025.03.31
46534 대학 강의실에 부장님이?… 신용보증기금이 금융교육 나선 이유 랭크뉴스 2025.03.31
46533 “다 오릅니다” 라면·우유·버거 줄인상… 정국 불안 노렸나 랭크뉴스 2025.03.31
46532 [단독] ‘21년째 비정규직’ 노인 일자리사업 담당자를 아시나요···노조 첫 출범 랭크뉴스 2025.03.31
46531 [단독] 국내 위스키 1·2·3위 모두 매물로 나와 랭크뉴스 2025.03.31
46530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1
46529 트럼프 "휴전합의 안 하면 원유 25% 관세"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