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20년을 채우지 못해 급여가 삭감된 감액 노령연금 수급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수급자의 비중이 절반을 넘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3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19년인 감액노령연금 수급자는 2014년 79만 명에서 2024년 259만 명으로 3.3배 증가했다.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 중 감액노령연금 수급자의 비율도 같은 기간 27.2%에서 44.0%로 상승했다.

특히 여성 수급자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2020년 41.9%였던 여성 비율은 올해 처음으로 50.3%를 기록했다.

또 가입 기간이 짧아 수급액이 낮은 경우가 많아 여성 감액 노령연금 수급자의 70.5%가 월 40만 원 미만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건의 남성 수급자는 34.3%에 불과해 격차가 크다.

남성 감액 노령연금 수급자 중 매월 40만원 미만을 받는 경우는 2020년 45.6%, 2021년 44.8%, 2022년 42.3%, 2023년 37.8%, 2024년 34.3%로 줄어, 여성의 절반 수준이다.

이는 감액노령연금 수급자 내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열악한 급여를 받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여성의 가입 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출산 크레디트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출산 크레디트는 출산과 육아로 인해 국민연금 보험료를 일시적으로 납입하지 못하는 국민에 대해 일정 기간까지 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국민연금 가입 기간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다.

현재 출산 크레디트는 연금 수급 시점에 부여돼 대부분 남성이 혜택을 받고 있으며 실제 여성 수혜자는 2%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출산 시점에 크레디트를 부여해 여성의 연금 가입 기간을 늘리고 노동시장 복귀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422 이재명, 한덕수에 “최고 책임자가 최고 규범 어겨” 마은혁 임명 촉구 랭크뉴스 2025.03.26
44421 [속보]산청 산불, 지리산 경계 넘었다 랭크뉴스 2025.03.26
44420 [속보] 산림당국 “의성 신평면 헬기 추락…확인중” 랭크뉴스 2025.03.26
44419 [속보] 산림당국 "경북 의성서 산불 진화 헬기 추락" 랭크뉴스 2025.03.26
44418 상황 전파·대응도 부실…재난문자가 대피장소로 알려준 곳에 30여분만에 산불 랭크뉴스 2025.03.26
44417 [속보] 의성 신평서 산불 진화하던 헬기 추락 랭크뉴스 2025.03.26
44416 이복현 금감원장 “삼부토건, 4월 중 처리… 현재로선 김건희 연관성 없다” 랭크뉴스 2025.03.26
44415 신학대학 안 나온 전광훈, 어떻게 극우 기독교 행동대장 됐나 랭크뉴스 2025.03.26
44414 [속보] 안동 산불, 하회마을과 직선거리로 5.4㎞까지 접근 랭크뉴스 2025.03.26
44413 ‘51억 펜트하우스’ 압류됐던 임영웅…“고의 체납 아냐” 랭크뉴스 2025.03.26
44412 회색 연기로 뒤덮인 세계유산 안동 하회마을…초긴장 상태(종합) 랭크뉴스 2025.03.26
44411 채팅방서 군사작전 짠 미국 안보라인‥"작은 결함일 뿐"이라는 트럼프 [World Now] 랭크뉴스 2025.03.26
44410 [속보] 영양군 “산불 영양읍 방향으로 확산 중, 안전한 곳으로 사전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409 안동대 학생 "강의 중 재난문자 100개 실화인가" 산불 확산에 SNS 목격담 이어져 랭크뉴스 2025.03.26
44408 경북 산불 희생자 대부분 60~70대…“지역 고령화 실태 보여” 랭크뉴스 2025.03.26
44407 美 "한국? 지금 의사 부족해"‥'의료 선진국' 어쩌다 이리 랭크뉴스 2025.03.26
44406 권영세 “산불 피해 복구에 여야 없어”… ‘국가재난극복 여야정 협의’ 제안 랭크뉴스 2025.03.26
44405 [단독] 서울대 의대생, 26일 밤 ‘복귀 여부’ 투표 진행한다 랭크뉴스 2025.03.26
44404 안동 산불, 하회마을과 직선거리로 5.4㎞까지 올라와 랭크뉴스 2025.03.26
44403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에서 5.4㎞ 떨어진 곳까지 산불 접근 랭크뉴스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