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 2월19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1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는 모습. /뉴스1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선고일(24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무총리실은 헌법재판소의 선고 결과를 차분하게 기다리면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총리실 관계자는 23일 “헌재의 선고 결과를 예단하지 않고 통상적인 업무를 하면서 기다리고 있다”며 “기각, 인용 중 어떤 결과가 나오든 대처할 수 있도록 잘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탄핵이 기각되면, 한 총리는 즉시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직무에 복귀한다. 반면, 탄핵이 인용되면 한 총리는 총리직에서 파면되고,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총리실은 이에 관해 말을 아끼면서도, 탄핵 기각 시 즉각 업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모양새다.

한 총리는 탄핵·각하 결정이 나올 경우, 당일 오전 곧바로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해 복귀에 임하는 각오를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탄핵소추가 기각돼 업무에 복귀한 최재해 감사원장도 지난 13일 헌재 결정 직후, 서울 종로구 감사원에 출근해 소회를 밝힌 바 있다.

한 총리는 또 자신의 직무 정지 기간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한 최 권한대행으로부터 현안과 관련한 업무 보고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 총리가 국무위원 간담회나 임시국무회의를 소집할 가능성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이 자리에서 국민 통합의 뜻을 담은 ‘대국민 담화’를 발표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총리는 지난해 12월 14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 직무가 정지되자, 대통령 권한대행 첫 업무로 임시국무회의를 소집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해 안보 상황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한 총리는 지난해 12월 14일에도 임시국무회의 이후 NSC를 소집해 “빈틈없는 대비 태세”를 지시했다.

한 총리는 미국의 안보·통상 압박 속 ‘정상 외교 정상화’에도 힘쓸 것으로 보인다. 한 총리는 김대중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부총리와 총리를 지냈다. 이명박 정부에선 주미 대사를 지냈고, 이 기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미 의회 비준 등에 대처했다. 트럼프 대통령 측근들과도 소통 채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통상 전문가인 한 총리는 직무 정지 기간에도 미국의 관세 부과와 글로벌 무역전쟁 이슈에 관한 연구보고서 등의 내용을 파악하는 등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할 방안을 심사숙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복귀할 경우, 한 총리에 대한 경호는 대통령에 준하는 수준으로 강화된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72 한국인 기대수명은 83.5세...세계 최고 기대 수명 국가는 어디? 랭크뉴스 2025.03.26
44371 이재명, “천재지변 같은 당선무효형” 넘어 대세론 날개 달까 랭크뉴스 2025.03.26
44370 2심 선고 앞둔 이재명 “헌재, 뭐 그리 어렵나…이해 안돼” 랭크뉴스 2025.03.26
44369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2심’ 오늘 선고 랭크뉴스 2025.03.26
44368 도로 덮치고 어느새 '활활'‥취재진도 긴급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367 70대, 검찰 사칭 전화사기에 노후자금 9억7천만원 빼앗겨 랭크뉴스 2025.03.26
44366 주변 다 탔는데 안동 만휴정 화마 피했다…직원들 안도 눈물(종합) 랭크뉴스 2025.03.26
44365 이재명 측 "골프 안쳤다 한 사실 없다"…정치 운명 오늘 갈린다 랭크뉴스 2025.03.26
44364 [속보][영양군] 입암면 흥구리 일대 산불 급속 확산…주민 대피명령 랭크뉴스 2025.03.26
44363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병산서원 연기 접근…다시 초긴장 랭크뉴스 2025.03.26
44362 산청 산불, 지리산국립공원 200m 앞까지 접근 랭크뉴스 2025.03.26
44361 '의성 산불'로 경북서만 18명 사망… 5개 시군 주민 2만3400명 긴급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360 MBK 비판 수위 높이는 이복현 “변제 약속, 거짓… 남의 뼈 깎는 행위” 랭크뉴스 2025.03.26
44359 ‘분무기’ 비·‘태풍급’ 바람, 산불 진화 정말 어쩌나…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6
44358 [속보]안동2·청송3·영양6·영덕7명···경북 북부 산불 사망 18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6
44357 중대본 “영남지역 산불로 사망 18명·중상 6명·경상 13명” 랭크뉴스 2025.03.26
44356 한덕수 "이제까지 경험 못 한 산불 피해‥모든 역량 집중해야" 랭크뉴스 2025.03.26
44355 화마 속 뛰어 든 영양군 이장 가족 숨져…“주민 구하려 한 듯” 랭크뉴스 2025.03.26
44354 노년기 '조용하지만 무서운 위협'... 낙상을 예방하는 이 운동은? [長靑年, 늘 푸른 마음] 랭크뉴스 2025.03.26
44353 [속보] '최악 산불'에 한덕수, 대국민담화 "불법 소각 행위자 엄정 조치" 랭크뉴스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