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3일 산불로 주택이 전소된 경북 의성군 신월리 한 마을 모습. 백경열 기자


“조금만 대피가 늦었으면 큰일 날 뻔했다 아닌교.”

23일 오전 10시반쯤, 경북 의성군 안평면 신월리에서 만난 김호철씨(57)는 불에 타 형체도 알아보기 힘든 집터를 바라보며 이렇게 말했다. 이 집은 아흔살 된 노모가 홀로 살던 곳이었지만, 전날 이 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인해 모두 불에 탔다.

안채와 바깥채는 무너졌고 슬레이트 지붕은 아무렇게나 찌그러진 채 방치돼 있었다. 집의 경계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벽돌과 흙 등이 집터 주변에 쓰러진 채였다. 밥솥이나 선풍기 등 가전제품과 각종 가재도구 등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었다.

산불로 주택 5채가 전소되는 등 피해가 큰 경북 의성군 신월리 한 마을에서 23일 김삼한 어르신(78)이 불에 탄 곳을 가리키고 있다. 백경열 기자


김씨는 산불이 난 지난 22일 다른 두 형제와 함께 어머니를 찾아뵙고 함께 식사를 하기로 예정돼 있었다. 한 달에 3~4번 이뤄지던 가족모임이었다.

당시 김씨는 모친을 뵙기 전 이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소식과 안전을 위해 집에 설치해 뒀던 2대의 폐쇄회로(CC)TV를 보며 크게 당황했다. 비교적 멀리 떨어진 마을 뒷산에서 확인되던 불길이 갑자기 집 앞에서 목격된 것이다. 다행히 김씨의 어머니는 마을 사람들의 안내를 받아 인근 중학교로 몸을 피한 뒤였다.

김씨는 “조금만 (대피가) 늦었어도 큰일날 뻔했다. 인근 산에서의 불씨가 바람을 타고 갑자기 날아와 집을 덮쳤다”면서 “불길의 방향을 CCTV로 확인하고 있었는데 전혀 다른 방향으로 번졌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그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급히 어머니 집을 찾아 가스통을 분리하고 전기를 차단한 뒤 우리도 대피했다. 급박한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23일 산불로 주택이 전소된 경북 의성군 신월리 한 마을 모습. 백경열 기자


경북도가 현재까지 안평면에서 피해를 확인한 전소 가구 9곳 중 신월리에만 5곳이 있다. 김씨 어머니의 집와 앞집이 모두 불에 탔고, 옆집이 부분적으로 피해를 입었다.

주목할 점은 김씨 집과 직선거리로 가깝게는 약 50m, 멀게는 100~150m 쯤 떨어진 이웃의 집 3채도 산불 피해를 봤다는 것이다. 산불 때 강한 바람을 타고 불씨가 여기저기 퍼진 것이다.

23일 산불로 주택이 전소된 경북 의성군 신월리 한 마을 모습. 백경열 기자


실제 김씨 이웃인 김삼한 어르신(78)은 “전날 이른 오후쯤 마을 인근의 산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확인했지만 그 불씨가 갑자기 날아다녔다”고 전했다. 김 어르신 가족의 집은 바깥채가 모두 타고 마당 일부가 그을리는 피해를 입었다. 불길이 조금만 더 번졌으면 그의 집도 피해가 클 뻔했다.

김 어르신은 “불이 나고 얼마 되지 않아서 낮 12시쯤에 대피하라는 통보가 와서 아내와 함께 황급히 몸을 피했다”며 “귀중품 등 아무 것도 챙길 생각을 못하고 입고 있는 그대로 대피했는데 집을 다시 찾아보니 (불에 탄 광경에) 서글프다”고 말했다.

이날 비슷한 시각, 신월리 마을에서 약 10㎞ 떨어진 의성군 의성읍 한 농업회사법인은 그야말로 쑥대밭이 돼 있었다.

23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한 농업회사법인 건물이 불에 탄 채 방치돼 있다. 백경열 기자


23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한 농업회사법인 건물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백경열 기자


법인 사무동과 생산동, 창고동 등 건물 3곳의 외벽은 엿가락처럼 휘어 있었다. 건물 내부에서는 검고 매캐한 연기가 계속 뿜어져 나오고 있었다.

건물 내부도 심하게 그을려 있었다. 소방관들이 건물을 향해 물줄기를 계속 쏴댔지만 연기는 사그라들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현장 관계자에 따르면 과일과 채소 도매업을 하는 이 업체는 약 1주일 전쯤 준공됐다. 화재보험도 들지 못한 상황에 변을 당했다고 한다. 피해 금액은 약 70억원으로 추산된다.

23일 소방대원들이 경북 의성군 의성읍 한 농업회사법인 건물에서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백경열 기자


이곳 설비를 담당하는 남모씨(50대)는 “전날 산불에서 시작된 불씨가 양쪽에서 공장을 덮친 것으로 안다. 모든 게 불에 탔다고 보면 된다”면서 “피해 복구를 어떻게 할지 막막한 상황이다. 의성이 특별재난지역으로 분류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72 한국인 기대수명은 83.5세...세계 최고 기대 수명 국가는 어디? 랭크뉴스 2025.03.26
44371 이재명, “천재지변 같은 당선무효형” 넘어 대세론 날개 달까 랭크뉴스 2025.03.26
44370 2심 선고 앞둔 이재명 “헌재, 뭐 그리 어렵나…이해 안돼” 랭크뉴스 2025.03.26
44369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2심’ 오늘 선고 랭크뉴스 2025.03.26
44368 도로 덮치고 어느새 '활활'‥취재진도 긴급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367 70대, 검찰 사칭 전화사기에 노후자금 9억7천만원 빼앗겨 랭크뉴스 2025.03.26
44366 주변 다 탔는데 안동 만휴정 화마 피했다…직원들 안도 눈물(종합) 랭크뉴스 2025.03.26
44365 이재명 측 "골프 안쳤다 한 사실 없다"…정치 운명 오늘 갈린다 랭크뉴스 2025.03.26
44364 [속보][영양군] 입암면 흥구리 일대 산불 급속 확산…주민 대피명령 랭크뉴스 2025.03.26
44363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병산서원 연기 접근…다시 초긴장 랭크뉴스 2025.03.26
44362 산청 산불, 지리산국립공원 200m 앞까지 접근 랭크뉴스 2025.03.26
44361 '의성 산불'로 경북서만 18명 사망… 5개 시군 주민 2만3400명 긴급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360 MBK 비판 수위 높이는 이복현 “변제 약속, 거짓… 남의 뼈 깎는 행위” 랭크뉴스 2025.03.26
44359 ‘분무기’ 비·‘태풍급’ 바람, 산불 진화 정말 어쩌나…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6
44358 [속보]안동2·청송3·영양6·영덕7명···경북 북부 산불 사망 18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6
44357 중대본 “영남지역 산불로 사망 18명·중상 6명·경상 13명” 랭크뉴스 2025.03.26
44356 한덕수 "이제까지 경험 못 한 산불 피해‥모든 역량 집중해야" 랭크뉴스 2025.03.26
44355 화마 속 뛰어 든 영양군 이장 가족 숨져…“주민 구하려 한 듯” 랭크뉴스 2025.03.26
44354 노년기 '조용하지만 무서운 위협'... 낙상을 예방하는 이 운동은? [長靑年, 늘 푸른 마음] 랭크뉴스 2025.03.26
44353 [속보] '최악 산불'에 한덕수, 대국민담화 "불법 소각 행위자 엄정 조치" 랭크뉴스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