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유발 하라리 대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인문학 베스트셀러 사피엔스의 작가 유발 하라리와 대담에 앞서 인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이스라엘의 세계적인 석학 유발 하라리 히브리대 교수를 만나 인공지능(AI) 시대 사회 불평등을 두고 대화를 나눴다. 이 대표는 이 자리에서 “계엄령을 선포하는 윤석열 대통령이 가짜(위조) 인간인 줄 알았다”고 했다. ‘K엔비디아 지분 공유론’을 두고 “AI 산업에 대한 공공의 투자 참여를 말했다가 공산주의자라고 공격을 많이 받았다”고도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베스트셀러 사피엔스의 저자인 유발 하라리와 인공지능(AI)을 주제로 대담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공산주의자 공격", 하라리 "정부 개입 필요"



이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역사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사피엔스’의 저자인 유발 하라리 교수와 인공지능을 주제로 100분간 대담을 가졌다. 하라리 교수는 AI의 위험성을 경고한 책 ‘넥서스’를 최근 출간해 홍보 차 방한했다. 지난 대선을 앞둔 2021년에도 두 사람은 비대면 대담을 나눈 바 있다.

이 대표는 “얼마 전 제가 AI 기업에 국부펀드가 투자하고 지분을 (정부가) 확보하는 게 어떨까, 아예 사업 자체에 공공이 참여하는 건 어떠냐고 말했다가 ‘공산주의자’라는 공격을 많이 받았다”며 “어떻게 생각하시냐”고 물었다. 이에 하라리 교수는 “역사적으로 보면 대기업, 재벌의 저항을 극복해내야 한다”며 “결국 정부가 투자를 많이 해야 한다.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 개입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국부 기업’에 대해서는 명확히 답하지 않았지만 ‘정부 개입’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나타낸 것이다. 하라리 교수는 "AI가 점점 똑똑해지며 인간을 대체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계속 재활하고 스스로를 만들고 새로운 직업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했다. 복지와 재교육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인문학 베스트셀러 사피엔스의 저자인 유발 하라리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인공지능(AI)을 주제로 대담을 하고 있다.뉴스1


이재명 "AI로 거대 쏠림 나타날 것", 하라리 "신뢰가 필요"



이 대표는 일부 기업이 AI 시대 부를 독점하게 될 가능성에 우려를 드러냈다. 그는 “기술 발전의 성과를 특정 부류가 독점하며 결국 더 나쁜 세상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AI이 지배하는 사회의 결과물을 특정 소수의 기업이 독점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했다. 하라리 교수에게 “이 엄청난 쏠림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겠느냐”고도 했다.

이에 하라리 교수는 “키워드는 신뢰”라며 “사람들 사이에 신뢰가 쌓여야 AI를 통제할 수 있다”고했다. 그는 “문제는 지금 정반대로 가고 있다. 국가 간의 신뢰를 파괴하고, 국제 법과 협약에 대한 국가 간의 신뢰를 파괴하고 있다”고 짚었다. AI 위험성을 통제하기 위해 각 정부와 기업이 경쟁을 자제하고 협력을 이뤄내야 한다는 뜻이다.

하라리 교수는 "AI로 사회 안의 불평등이 나타날 수 있고, 뭔가 행동하지 않으면 불평등이 더 크게 벌어질 수 있다"라며 "이 대표 같은 정치인이 이런 자리를 갖고 정책적 해결을 생각하는 것은 굉장히 긍정적 사인"이라고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272 [속보] “경북 북부권 산불 사망 15명…일가족 3명 대피중 차량서 숨져” 랭크뉴스 2025.03.26
44271 [속보] 경찰, 서십자각 농성장서 전농 트랙터 1대 견인…일부 충돌 랭크뉴스 2025.03.26
44270 산림당국 "경북 북부 휩쓴 의성산불 사망자 15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6
44269 "음모론 난무, 진실 외면, 가짜뉴스 돈벌이… 15년 전 천안함과 요즘 비슷" 랭크뉴스 2025.03.26
44268 [속보] 당국 “경북 북부권 휩쓴 산불로 사망자 15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6
44267 "1시 이후에 오세요"... 공직사회 뜨거운 감자 '점심시간 휴무제'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5.03.26
44266 무섭게 번진 산불… 안동·청송 전 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6
44265 민가 방화선 구축에 총력‥이 시각 산청 랭크뉴스 2025.03.26
44264 요구 수용돼도 의대생은 미복귀…저학년들 “유령과 싸우는 기분” 랭크뉴스 2025.03.26
44263 [속보]경북 북동부권으로 확산된 산불로 12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6
44262 정부 대신 총대 멘 정의선...현대차, 대미 투자 31조 원 '관세 승부수' 랭크뉴스 2025.03.26
44261 경북 영양에서 시신 4구 발견‥'의성산불' 사망자 6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6
44260 여도 야도 장외 투쟁만...3월 한 달 '일하는 국회법' 지킨 상임위는 '0' 랭크뉴스 2025.03.26
44259 경북북부 휩쓴 산불로 12명 사망…미숙한 당국 대처 도마(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6
44258 [속보]경북 안동·청송·영양 등지서 산불로 12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6
44257 '韓 기각' 불똥에 '尹 인용' 불안해진 野... 한덕수 재탄핵, 의원직 총사퇴까지 랭크뉴스 2025.03.26
44256 [속보] 산림당국 "의성산불 피해 사망자 12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6
44255 윤석열 파면 촉구, 작가 414명의 목소리[인터랙티브] 랭크뉴스 2025.03.26
44254 올해 산불 97% 시작은 '사람'... 강풍보다 무서운 안전불감증 랭크뉴스 2025.03.26
44253 진화헬기, 다 떠도 모자랄 판에… 주력 기종 3분의 1 가동 불가 랭크뉴스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