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림 당국, 헬기 철수하고 지상 인력 위주의 야간 대응 체제로 전환
경북도소방본부 제공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서 발생한 산불은 인근으로 급격히 확산하는 바람에 일몰 전까지 불길을 잡는데 실패했다.

이에 따라 산림 당국은 헬기를 철수하고 지상 인력 위주의 야간 대응 체제로 전환했다.

앞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이번 산불과 관련, “산불이 강풍으로 인해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만큼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민대피에 만전을 기해 달라”며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일몰 전 진화에 총력을 다하고 진화 인력의 안전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 현재 진화율은 4% 수준이며 산림영향구역은 300㏊(축구장 420개)로 추산된다. 현장에는 초속 3.3m 수준의 바람이 불고 있다.

야간 진화 작업에는 전문진화대 등 인력 373명과 진화차 등 장비 36대를 투입하기로 했으며 진화 대원들은 방화선을 구축하고 주택 등 민가로 불이 번지는 걸 막는 데 주력하게 된다.

이어 23일 오전 해가 뜨는 대로 헬기 33대를 투입해 진화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

산림 당국은 산불 현장 일대에 초속 5m가 넘는 강풍이 불어 진화에 애를 먹었다.

의성군에 따르면 의성읍 철파리와 안평면 신월리 등에서 주민 484명(오후 6시 기준)이 의성실내체육관 등으로 대피했다. 또 의성읍 요양병원 환자 150명은 안동도립요양병원으로 옮겨졌다.

이번 괴산리 산불은 오전 11시 24분쯤 정상 부근에서 발생해 의성읍 방면으로 확산했다.

산림 당국은 대응 1단계와 2단계를 차례로 발령했고 오후 2시 10분쯤 최고 대응 수준인 3단계를 발령했다.

이번 대형 산불 원인은 성묘객 실화에 따른 것으로 확인됐다.

의성군 관계자는 “괴산리 야산 산불은 성묘객 실화에 따른 것으로 불이 나자 실화자는 직접 119에 ‘묘지를 정리하던 중 불을 냈다’고 신고했다”고 밝혔다.

경북도소방본부 제공


이날 의성군에서는 산불이 잇따라 발생했다.

오후 1시 57분즘엔 의성군 금성면 청로리, 오후 2시 36분쯤엔 안계면 용기리에서 각각 산불이 발생했다.

산림당국은 이 중 안평면 괴산리 산불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이날 오후 2시 10분쯤 최고 수준인 ‘산불 대응 3단계’를 발령했다.

산불 3단계는 초속 11m 이상 강풍이 불고, 진화 시간이 24∼48시간, 피해 면적이 100∼3000㏊로 예상될 때 발령된다.

이날 발생한 산불로 인한 영향 구역은 130㏊로 잠정 집계됐다.

의성군은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내 “의성읍 철파리, 원당2리, 후죽1리 등으로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며 “실내체육관으로 대피하라”고 안내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오후 6시 15분쯤 산불로 인해 안동~경주 간 열차 운행이 중단됐다며 다른 교통수단 이용을 당부했다.

산불진화에 투입됐던 헬기는 일몰 직후인 오후 6시 40분쯤 철수했으며 진화인력은 방화선을 구축하며 야간 진화작업에 들어갔다.

의성군 관계자는 “날이 어두워지면서 헬기는 모두 철수하고 공무원 등 산불진화 인력이 투입돼 방화선을 구축하며 야간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관련 부서는 의성군, 소방본부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산불 조기 진화에 최선을 다할 것”을 긴급 지시했다.

이 도지사는 또 “바람으로 인해 산불이 확산함에 따라 산불 헬기 등 진화 자원을 최대한 확보하고 산불 위험 우려 지역 주민은 신속히 대피시켜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24 [속보] 경남 산청·하동 산불, 오후 3시 현재 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23 테슬라 31점 VS 웨이모 87점…머스크 ‘자율주행 낙제점’ 왜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3.29
4592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미 지질조사국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21 윤택 "연락 닿지 않는 자연인 있다… 산불 피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3.29
45920 "천국에서 만나요"...의성 산불 끄다 숨진 헬기 기장 영원히 하늘로 랭크뉴스 2025.03.29
45919 경남 산청 산불 9일째, 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권역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29
45918 남부 지역엔 벚꽃, 중부 지역엔 눈보라…이상 현상에 시민들 “황당” 랭크뉴스 2025.03.29
45917 국군 장병 600명, 오늘도 산불 끄러 간다…“필요시 5100명 추가 투입” 랭크뉴스 2025.03.29
45916 머스크, 자신의 AI 기업 xAI에 2022년 인수한 X 매각 랭크뉴스 2025.03.29
45915 "살려줘요" 비명에 맨손 구조…사망자 1000명 '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29
45914 “즉각 인용” vs “원천 무효”… 尹 대통령 탄핵 찬반 단체 전국서 집결 랭크뉴스 2025.03.29
4591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 "1만 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12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서” 랭크뉴스 2025.03.29
45911 산불 예방 위해 팔공산 등 7개 국립공원 탐방로 추가 통제 랭크뉴스 2025.03.29
45910 민주, 윤석열 탄핵 선고 촉구…“지연된 정의는 정의 아냐” 랭크뉴스 2025.03.29
45909 진화율 97%…지리산 산불 잡기 총력 랭크뉴스 2025.03.29
45908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랭크뉴스 2025.03.29
45907 안동·의성 산불 재발화…이 시각 산불 현장 지휘소 랭크뉴스 2025.03.29
45906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 명, 부상 2천여 명 집계" 랭크뉴스 2025.03.29
45905 “수고 많았고 사랑해요”…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해 순직한 조종사 발인 엄수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