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AI 국가투자 ‘공산주의’라고 공격해”
하라리 “정부 적극적 역할 필요…신뢰가 열쇳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사피엔스\'의 저자이자 이스라엘의 세계적 석학인 유발 하라리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인공지능(AI)을 주제로 열린 대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케이(K)-엔비디아’ 등 에이아이(인공지능·AI) 산업 투자를 주장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세계적 석학인 유발 하라리 히브리대 교수를 만나 에이아이 시대의 윤리와 국가의 역할 등을 두고 대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대표는 “에이아이 산업에 대한 공공의 투자 참여를 말했다가 공산주의자라고 공격을 많이 받았다”고 말했고, 하라리 교수는 에이아이 시대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사피엔스’로 잘 알려진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 교수와 인공지능을 주제로 100분간 일대일 대담을 나눴다. 지난 대선을 앞둔 2021년에도 두 사람은 비대면 대담을 나눈 바 있다. 하라리 교수는 에이아이의 위험성을 경고한 책 ‘넥서스’를 최근 출간해 홍보차 방한했다.

이날 대담에서 이 대표는 “에이아이 시대에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만 엄청난 부를 누리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국가공동체가 산업 발전에 투자해서 이익의 상당 부분을 나눌 필요가 있지 않냐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그가 아이디어로 내놨다가 보수 진영으로부터 공세를 받은 ‘한국형 엔비디아’ 투자 논란을 거듭 언급한 것이다. 이 대표는 “얼마 전 제가 인공지능(산업)에 국부펀드가 투자하고 지분을 확보하는 게 어떨까, 세금을 걷는 것도 방법이지만 사업 자체에 공공이 참여하는 게 어떨까 말했다가 공산주의자라고 공격을 많이 받았다”며 하라리 교수에게 “어떻게 생각하시냐”고 물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세계적 석학인 유발 하라리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인공지능(AI)을 주제로 대담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에 하라리 교수는 에이아이 시대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하라리 교수는 “경제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며 “역사적으로 보면 (산업혁명 당시처럼 혁명적인 변곡점에서는) 대기업들의 저항을 극복해내야만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대표가 내놓은 투자 방식에 대한 답변이라기보다는 에이아이 혁명 가운데 소외되거나 배제된 이들을 위한 지원을 강조한 것에 가까웠다. 그는 “에이아이 혁명은 한번의 이벤트가 아니라 혁명이고 이제 시작일 뿐이다. 사람들은 계속해서 훈련받고 자기 계발을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단순히 재정적 지원을 넘어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큰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고 정신 보건에 대한 심리적 지원도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인공지능 시대에 ‘부의 독점’과 양극화에 대해 거듭 우려를 나타냈다. “기술 발전의 성과를 특정 부류가 독점하며 결국 더 나쁜 세상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는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사회에 생산성이 엄청나게 올라갈 텐데 결국 이 생산의 결과물을 특정 소수의 기업이 독점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겠느냐”고 하라리 교수에게 물었다.

이에 하라리 교수는 “신뢰가 단 하나의 열쇳말”이라며 “인공지능을 우리(인류)의 통제 아래 두기 위해 더 많은 신뢰를 쌓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불행하게도 중요한 세계 지도자들이 정반대로 하고 있다. 국가 간의 신뢰를 파괴하고, 국제 법과 협약에 대한 국가 간의 신뢰를 파괴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 대표는 인공지능이 가진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우려를 이어갔다. 그는 “알고리즘이 사람을 한쪽으로 몰아서 한쪽 사고만 하게 하는 게 문제”라며 “(이런 문제가) 윤리적으로 또는 규범적으로 통제되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 또 “기술 개발에는 유인이 여러 가지 있는데 가장 강력한 동기는 돈벌이고 그다음이 군사적 동기”라며 “윤리적 규제를 아무리 만들어내도 군사적 요인에 의한 개발 욕구는 막지 못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원자력 이용도 사실은 누구를 어떻게 대량으로 파괴해 볼까 여기서 출발한 거잖나. (에이아이 혁명이) 현실화되고 인간 사회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할 때, 그때는 또 우리가 충분히 합의한 조건으로 통제가 가능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17 울주 온양 산불 재확산…신기·외광 등 10개 마을 추가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5
44116 소방당국, 하회마을 지키려 유류탱크 불잡는 '초대형 소방포' 전진 배치 랭크뉴스 2025.03.25
44115 민주 "'윤석열 신속선고 결의안' 내일 법사위서 심사" 랭크뉴스 2025.03.25
44114 산불 오늘밤이 최대 고비, 죽은 불씨 살리는 110㎞ 강풍 온다 랭크뉴스 2025.03.25
44113 의성 천년고찰 삼킨 화마, 주왕산국립공원 넘어 영양·영덕까지 랭크뉴스 2025.03.25
44112 검찰이 "진품 의견 우세"라던 '미인도' 감정 결과… 9명 중 4명만 "진품" 랭크뉴스 2025.03.25
44111 길거리서 '콜록콜록'…초유의 '全시민 대피령' 내린 안동시 랭크뉴스 2025.03.25
44110 안동시 “모든 시민 대피하라”…산불, 하회마을·병산서원 근접 랭크뉴스 2025.03.25
44109 "안 넣은 교과서도 '다케시마' 넣어라" 수교 60주년 더 뻔뻔해진 日 역사 왜곡 랭크뉴스 2025.03.25
44108 삼성전자, 인도서 관세 회피 혐의로 9000억 과징금 폭탄 랭크뉴스 2025.03.25
44107 [속보] 울주 온양 산불 재확산…신기·외광 등 10개 마을 추가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5
44106 의성 산불 안동 넘어 청송·영양·영덕으로 확산···주왕산국립공원도 영향 랭크뉴스 2025.03.25
44105 홍명보호 '손톱 전술' 흔들리나…요르단과 전반 1대1 무승부 랭크뉴스 2025.03.25
44104 '괴물산불'에 갇힌 경북북부…일상이 멈췄다 "숨쉬기도 힘들어" 랭크뉴스 2025.03.25
44103 한덕수, ‘윤석열 헌재 선고’ 승복 당부…“어떤 결과 나와도 존중돼야” 랭크뉴스 2025.03.25
44102 안동·청송까지 불 번졌다…법무부 "재소자 3400여명 대피" 랭크뉴스 2025.03.25
44101 운전자 목숨 뺏은 20m 싱크홀… 작년 국토부 특별점검에선 '이상 없음' 랭크뉴스 2025.03.25
44100 [속보] 울주 온양 산불 재확산…신기ㆍ외광 등 10개 마을 추가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5
44099 [속보]법무부 “안동·경북북부교도소, 이감 절차 진행 중 랭크뉴스 2025.03.25
44098 산불 확산에 청송·안동 5개 교도소 재소자 3400명 대피 결정 랭크뉴스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