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SM엔터테인먼트의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Hearts2Hearts) 카르멘이 지난 2월 24일 서울 광진구 예스24 라이브홀에서 가진 첫 싱글 '더 체이스(The Chase)' 발매 쇼케이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카르멘은 한국 4대 대형 기획사에서 처음으로 데뷔한 인도네시아 출신 아이돌이다. 뉴스1


"23%에서 35%로".

최근 3년간(2021~2024년) 인도네시아에서 소비된 자국 가요의 비중이다. 현지 연예기획사들이 디지털 시스템을 효율화하면서 노래의 제작과 유통에 드는 비용을 절감한 덕분에 가능했다. 또 구매력을 갖춘 중산층이 늘면서 인도네시아인들은 자국 가수에게 지갑을 활짝 열고 있다. 반면 K팝 인기는 예전 같지 않다. 이에 한국 연예기획사들은 신인 아이돌 그룹에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멤버를 적극 기용하는 등 K팝에 대한 관심을 되찾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최근 보도했다.

미국 음악 정보업체 '루미네이트'와 일본 '한신콘텐츠링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와 태국의 경우, 인터넷에서 자국 가요를 소비하는 비중이 상승했다. 반면 과거 인기였던 미국 팝송이나 한국 K팝의 점유율은 낮아졌다. 인도네시아에서 미국 팝송의 점유율은 2021년 31%에서 2024년 26%로 5%포인트 낮아졌다. K팝 점유율도 같은 기간 12%에서 8%로 4%포인트 낮아졌다. 닛케이는 "태국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닛케이는 중산층이 늘어난 것이 음악 소비에도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보면 인도네시아는 지난 20년간 5.5배(4810달러), 태국은 3.3배(7200달러) 늘었다.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걸그룹 JKT48. 일본 아이돌 그룹인 AKB48의 자매 그룹으로, 인도네시아 현지 기업의 협업 제의로 탄생했다.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동남아, 같은 TV프로그램 시청"

인도네시아와 태국 노래는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베트남 등 인근 동남아 국가에서도 사랑받고 있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언어가 비슷하거나 같은 TV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국가들"이라고 짚었다. 미 온라인 뉴스 플랫폼 서브스택은 "노래가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고 분석했다.

인도네시아에선 최근 일본 걸그룹 'AKB48'의 자매그룹인 'JKT48'가 현지 젊은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쉬운 가사로 인기를 끌었다. 태국에서는 K팝과 유사하지만 태국어를 쓰는 'T팝'(태국 가요)이 인기다.

동남아시아 국가 출신 K팝 아이돌 멤버들. 왼쪽부터 뉴진스(NJZ) 하니(베트남), 블랙핑크 리사(태국). 뉴스1



동남아 성공 열쇠는 현지화

이런 가운데, 한국 연예기획사들은 동남아시아 멤버를 적극적으로 기용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최근 SM엔터테인먼트가 내놓은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의 멤버 카르멘(18)이 있다. 카르멘은 한국 4대 대형 기획사의 첫 인도네시아 출신 아이돌이다. 뉴진스(NJZ) 하니(베트남), 블랙핑크 리사(태국) 등 동남아 출신 아이돌이 일부 있었지만 인도네시아 출신은 처음이다.

하츠투하츠는 데뷔 직후 X(옛 트위터)에서 인도네시아 실시간 트렌드 1위에 카르멘이 올라가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JKT48'의 운영 책임자인 미조라는 "동남아 시장 성공의 열쇠는 현지화"라고 강조했다. 회계법인 PwC에 따르면 아시아 음악 시장은 오는 2028년까지 20% 성장한 208억 달러(약 30조 1392억원)이 될 전망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66 의성 산불, 강풍에 청송·주왕산국립공원·영양·영덕까지 확산 랭크뉴스 2025.03.25
44065 김상욱, 尹 복귀하면 2차 계엄?‥"살기 위해 충분히 가능" [포커스] 랭크뉴스 2025.03.25
44064 의성 '괴물산불' 강풍타고 청송 주왕산국립공원·영양·영덕까지 랭크뉴스 2025.03.25
44063 집에서 가야시대 유물이 와르르…유적 발굴하며 30여년간 유물 빼돌렸다 덜미 랭크뉴스 2025.03.25
44062 의상대사가 세운 '천년고찰 고운사', 의성 산불에 모두 불에 타 랭크뉴스 2025.03.25
44061 전한길에게 '쓰레기'라고 욕한 절친 "내 장례식에 오지 마라" 랭크뉴스 2025.03.25
44060 서울의대도 “27일 이후론 돌이킬 수 없다” 통첩 랭크뉴스 2025.03.25
44059 "이번엔 무죄" 뒤집기 외친 野, 유죄 나면 '어대명' 버틸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3.25
44058 [속보] 국가유산청 "전국에 국가유산 재난 국가위기 경보 '심각' 발령" 랭크뉴스 2025.03.25
44057 ‘천경자 미인도는 진짜’라던 검찰, 수사기록엔 “감정인 9명 중 4명만 진작 의견” 랭크뉴스 2025.03.25
44056 [속보]‘천년 사찰’ 의성 고운사 산불로 전소…‘미스터 션샤인’ 촬영지 만휴정도 소실 추정 랭크뉴스 2025.03.25
44055 [속보]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까지 산불 번져 랭크뉴스 2025.03.25
44054 초속 20m 강풍에 진화율 역주행… “비 오기만 바라야 하나” 랭크뉴스 2025.03.25
44053 [단독] 30대 가장 싱크홀 비극…"주7일 일" 배달 부업 뛰다 참변 랭크뉴스 2025.03.25
44052 日법원, ‘고액 헌금 문제’ 통일교에 해산 명령 랭크뉴스 2025.03.25
44051 [속보] 의성 산불, 영덕까지 확산… 주민대피 랭크뉴스 2025.03.25
44050 한강 "윤석열 파면은 보편가치 지키는 일" 작가 414명 한 줄 성명 랭크뉴스 2025.03.25
44049 정의선 “31조 투자” 트럼프 “관세 효과” 랭크뉴스 2025.03.25
44048 日법원, ‘고액 헌금’ 논란 이단 통일교 해산명령 랭크뉴스 2025.03.25
44047 현대차, 31조 투자...美 '톱티어 기업' 도약 선언 랭크뉴스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