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투자자의 주식 보유 기간이 늘었습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시장 상장사 주식 평균 보유 기간은 6.5개월, 코스닥시장 상장사의 경우 2.9개월이었습니다. 2021년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사 주식 평균 보유 기간이 각각 2.7개월, 1.1개월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2배 넘게 늘었습니다.

국내 투자자의 주식 보유 기간은 2019년까지는 6~10개월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뒤로 개인 투자자가 급증했고, 이른바 동학개미운동이 벌어지면서 ‘단타(단기 투자)’도 성행했습니다. 2021년이 주식 평균 보유 기간이 유달리 짧았던 면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제56기 삼성전자 정기주주총회'가 19일 오전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가운데 주주들이 주총장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다만 이것만으로 주식 평균 보유 기간이 늘어난 이유를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주식 보유 기간이 짧아지고 있는 것이 전 세계 추세이기 때문입니다.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으로 주식 거래가 편리해졌고, 주식 시장에서도 주도 종목이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금융투자업계에선 국내 투자자의 주식 평균 보유 기간이 늘어난 가장 큰 원인을 국내 증시의 부진으로 꼽았습니다. 주가가 하락하면서 평가손실 구간에 진입한 투자자들이 ‘강제 장기 투자’에 들어갔고, 주식 평균 보유 기간이 길어지는 결과를 만들었다는 취지입니다.

가장 많은 국내 투자자가 보유한 삼성전자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삼성전자 주식 소유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567만명입니다. 네이버페이 ‘내자산 서비스’와 연동한 삼성전자 투자자 29만명의 평균 매수가는 6만6962원입니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10%가 넘는 평가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국내 투자자가 많이 보유한 다른 종목들의 사정도 좋지 않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소유자가 169만명인 카카오는 평균 평가손실률이 50%대로 추산됩니다. 같은 기준 91만명이 보유한 NAVER와 80만명이 투자한 LG에너지솔루션 역시 평균 평가손실률이 20%가 넘는 상황입니다.

코스닥시장에서 소유자가 많은 종목들의 성적표도 처참합니다.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의 지난해 말 기준 소유자 수는 각각 55만명, 44만명입니다. 두 종목의 평균 평가손실률은 50% 안팎입니다. 24만명이 들고 있던 카카오게임즈는 평균 평가손실률이 70%에 육박합니다.

국내 증시가 지난해 극심한 부진을 딛고 올해 들어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는 ‘관세 전쟁’부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까지 불확실성이 산재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국내 투자자들이 올해는 강제 장기 투자에서 탈출할 수 있을까요. 최소한 장기 투자가 성공 확률이 높다는 교과서 같은 이야기만 할 상황이 아닌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주식 장기 보유에 따른 세제 혜택 등은 매번 논의에 그치고 있고,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기업은 21일 기준 전체 상장사의 5% 미만이라는 점이 애석합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26 "얼어붙은 호수 위 경비행기 날개서 12시간 버텼다"…일가족 기적의 생환 랭크뉴스 2025.03.29
45725 수상택시 전부 예약… 아마존 창립자 베이조스 재혼에 특수 기대하는 베네치아 랭크뉴스 2025.03.29
45724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 통보…뇌물 혐의 수사 랭크뉴스 2025.03.29
45723 트럼프 "푸틴과 '러의 北무기 구입'에 대해 논의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3.29
45722 트럼프 "캐나다 총리와 매우 생산적인 통화…많은 부분 동의"(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9
45721 '쓰레기통서 나온 찢긴 수표' 알고 보니…'보이스피싱' 조직원이 턴 '노후자금' 랭크뉴스 2025.03.29
45720 이재용 삼성 회장, '中 1주일 출장' 마지막날 시진핑 만나고 귀국 랭크뉴스 2025.03.29
45719 뉴욕증시, 관세 여파 우려·신규지표 실망감… 급락 출발 랭크뉴스 2025.03.29
45718 러 "우크라 지도부, 군 통제력 상실…에너지 공격 계속"(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717 제주·티웨이항공, 산불 지역 거주자 한시적 수수료 면제 랭크뉴스 2025.03.29
45716 "센스 있다"…지드래곤, 콘서트 앞두고 인근 주민에 깜짝 선물 랭크뉴스 2025.03.29
45715 트럼프 관세에 車업계·동맹국 울 때…中 BYD는 웃고 있다, 왜 랭크뉴스 2025.03.29
45714 "한국 산불,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로 악영향"…해외 기후전문가들 분석 보니 랭크뉴스 2025.03.29
45713 美 3월 미시간대 소비심리 3개월째 급락…기대 인플레 5%로 상승 랭크뉴스 2025.03.29
45712 의대생 ‘일단 복귀’ 기류 물꼬 텄나…서울대 이어 울산대 의대 ‘전원’ 복학 신청 랭크뉴스 2025.03.29
45711 "국민버거 맞나요?" 불고기버거 세트 배달시키니 가격에 '헉'…롯데리아, 3.3% 인상 랭크뉴스 2025.03.29
45710 지리산 산불, 일몰 전 주불 진화 못해…야간 진화 계속 랭크뉴스 2025.03.29
45709 "귀찮게 밥을 왜 먹어요?"…50일 만에 무려 '200만봉' 팔린 식사대용 스낵 랭크뉴스 2025.03.29
45708 "투표하면 200만달러 쏜다" 머스크, 이번엔 위스콘신 선거 지원 랭크뉴스 2025.03.29
45707 농담인줄 알았는데 갈수록 묘한 기류… 캐나다 기절초풍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