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애니멀피플
뉴질랜드에서 2023년 촬영돼…‘샥토푸스’ 별명
해저에 사는 문어와 상어의 만남 여전히 미스터리
지난 2023년 뉴질랜드 하우라키 만 인근 바다에서 마오리문어가 청상아리의 등에 타고 이동하는 모습이 해양생물학자들의 현장 조사에서 관찰됐다. 오클랜드대학 SNS갈무리

겁을 상실한 걸까, 자신만만한 걸까. 문어가 포식자인 상어의 머리에 당당히 달라붙어 이동하는 희귀한 장면이 뉴질랜드에서 포착됐다.

지난 2023년 뉴질랜드 하우라키 만 인근 바다에서 마오리문어가 청상아리의 등에 타고 이동하는 모습이 해양생물학자들의 현장 조사에서 관찰됐다. 오클랜드대학 SNS갈무리

20일(현지시각) 미국 뉴욕타임스는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연구진이 북섬 연안에 있는 하우라키 만에서 청상아리의 등에 탄 마오리문어의 모습을 관찰했다고 전했다. 기사를 보면, 로셸 콘스탄틴 박사 등 오클랜드대 해양생물학자들은 지난 2023년 12월 현장 조사에 나섰다가 이러한 장면을 목격했다.

콘스탄틴 박사는 처음에 청상아리 머리 부분에 무언가 주황색 덩어리가 보여 걱정이 앞섰다고 한다. 그는 “부표인가 어망인가 싶었다”면서 “혹은 크게 상처 입은 게 아닌가 걱정했다”고 매체에 말했다. 연구팀은 상어를 더 잘 관찰하기 위해 상공으로 드론을 띄우면서 배로 상어 가까이 다가가 수중 영상을 촬영했다. 그다음엔 두 눈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 문어 한 마리가 상어의 머리 부분에 달라붙어 있었다. 콘스탄틴 박사는 “그때 문어의 팔이 움직이는 걸 볼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지난 2023년 뉴질랜드 하우라키 만 인근 바다에서 마오리문어가 청상아리의 등에 타고 이동하는 모습이 해양생물학자들의 현장 조사에서 관찰됐다. 오클랜드대학 SNS갈무리

상어와 문어에게 다가간 연구진은 곧 이 문어가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 서식하는 마오리문어임을 알 수 있었다. 마오리문어는 남반구에서 서식하는 문어 중 몸집이 가장 큰 종으로, 몸무게는 약 12㎏에 이르고 팔을 뻗으면 2m까지 늘어난다. 그러니 청상아리 위에서도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었다고 한다. 연구진은 이 문어에게는 상어문어라는 뜻의 ‘샥토푸스’(Sharktopus)란 별명을 붙였다.

연구진은 청상아리가 눈으로 문어를 볼 수는 없었겠지만, 그 존재를 인식했을 가능성은 크다고 봤다. 상어 몸 전체에는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측선이라는 감각기관이 있기 때문이다. 상어나 고래에게 가끔 다른 종의 물고기가 달라붙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은 포식자의 몸에서 죽은 피부나 기생충을 떼어내며 공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때 관찰된 상어와 문어가 그러한 관계인지는 정확지 않다. 청상아리는 종종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행동으로 유명한데, 일부 연구자는 이 행동이 물고기나 문어 같은 ‘무임승차객’을 떼어내기 위한 행동일 수 있다고 추측한다.

지난 2023년 뉴질랜드 하우라키 만 인근 바다에서 마오리문어가 청상아리의 등에 타고 이동하는 모습이 해양생물학자들의 현장 조사에서 관찰됐다. 오클랜드대학 SNS갈무리

다만 이번에는 상어가 그다지 불편해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콘스탄틴 박사는 “상어도 문어도 꽤 만족해 보였다”면서 “아주 평화로운 장면이었다”고 말했다. 청상아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상어로 시속 74㎞까지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이 상황이 불편했다면, 빨리 헤엄쳐 떼어냈을 것이란 설명이다.

한편 연구진은 둘의 ‘만남’이야 말로 가장 큰 미스터리라고 짚었다. 마오리문어는 해저에 서식하는 반면, 청상아리는 수심 300m 정도 잠수를 하지만 바닥에 머무는 경우는 적다고 한다. 콘스탄틴 박사는 “두 동물이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있을 이유가 없다”며 “여전히 어떻게 만났는지 전혀 알 수가 없다”고 전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07 안동·의성 산불 재발화…이 시각 산불 현장 지휘소 랭크뉴스 2025.03.29
45906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 명, 부상 2천여 명 집계" 랭크뉴스 2025.03.29
45905 “수고 많았고 사랑해요”…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해 순직한 조종사 발인 엄수 랭크뉴스 2025.03.29
45904 오늘도 광장은…윤석열 탄핵 선고 지연에 “파면” “각하” 양측 총집결 랭크뉴스 2025.03.29
45903 김동연 “文 소환 통보, 기가 찰 노릇…검찰은 누구에게 충성하나” 랭크뉴스 2025.03.29
45902 강진 덮친 미얀마… 美 “도울 것” 中 “구조팀 급파” 日 “마음 아파” 랭크뉴스 2025.03.29
45901 3200만 구독자 '中 쯔양' 충격 고백…"난 여성 아닌 여장 남자" 랭크뉴스 2025.03.29
45900 한덕수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총력 지원…뒷불 감시 집중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5899 미얀마강진 사망자 700명으로 급증…"1만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98 尹탄핵심판 '4월 선고' 전망 속 전국서 주말 탄핵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897 미얀마 강진 사망자 700명으로 급증… "1만 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96 아이유가 '매표 알바' 하던 그곳..."광주극장이 넷플에 떴어요" 랭크뉴스 2025.03.29
45895 9일째 접어든 산청 산불…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주불 진화 지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9
45894 경북경찰청, '경북산불' 발화 추정 지점 현장조사 실시 랭크뉴스 2025.03.29
45893 ‘경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 숨져 랭크뉴스 2025.03.29
45892 '착한 침대'가 돈까지 벌어다줬다…2년 연속 매출왕 오른 비결 [비크닉] 랭크뉴스 2025.03.29
45891 "오늘 안에 주불 잡는다" 지리산 국립공원 진화 총력...경북·경남 산불 사망자 3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90 안동·의성서 다시 발생한 산불 진화 완료…"재발화 아닌 잔불" 랭크뉴스 2025.03.29
45889 미얀마 7.7 강진에…美 지질조사국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88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늘어…부상자 1,670명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