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경대생 "우린 출결·학점 챙기려 애쓰는데..."
"다른 단과대 집단행동이었으면 이미 제적"
"'편하게 쉬려면 의대 가자'... 자조까지 나와"
'의대 빈자리 타과생 편입안' 반기는 기류도
의대생들이 유능한 의사도 아니고, 수능 점수 더 잘 받은 애들일 뿐이잖아요. 국가가 이렇게까지 원칙을 어겨가며 특정 집단을 오래 봐주다니 어이가 없어요.서울 소재 한 대학의 상경대생인 A(22)씨

의과대학 학생들의 대규모 수업 거부가 장기화하면서, 의대생들을 향한 비(非)의대생들의 반감이 커지고 있다. 1년 넘도록 수업 출석은커녕 미등록 상태인 의대생이 수두룩하지만 정부가 학사 유예까지 하며 사정을 봐준 게 비의대생들로선 꿈도 못 꿀 일이란 것이다. "의대생을 원칙대로 제적시키고 빈자리를 편입생으로 채우자"는 의견을 반기는 여론도 커졌다.

"우린 출결은 물론 학점 더 챙기려 전전긍긍하는데..."

21일 경기도 내의 한 의과대학 도서관에 전공서적과 가운, 청진기가 놓여져 있다. 뉴스1


서울 소재 한 대학의 상경대생인 A(22)씨는 정부의 '의대생 봐주기'가 의대와 비의대 간 차별 의식을 강화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요즘 대부분 대학생들은 수업 출결을 모두 챙기는 건 기본이고 학점을 더 못 받을 까 전전긍긍한다"며 "반면 1년 넘게 쉬면서도 당당한 의대생들과 이에 쩔쩔매는 정부·대학을 보면서 '이게 차별이 아니면 뭔가' 싶었다"고 말했다.

A씨는 "이미 비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마음 편히 쉬고 싶으면 수능 다시 봐서 의대 가자'거나 '이게 다 우리가 의대를 못 가서 고생하는 것'이라는 자조 섞인 농담도 나온다"며 "정부·대학이 여느 대학생들을 대하듯 원칙대로 공평하게 대응해야만 학생 간 부차적인 사회 갈등이 번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의정 갈등이 심화된 지난해부터 비의대생들 사이에선 정부가 의대생들을 과도하게 봐주고 있다는 불만이 나왔다. 최근 들어 이런 여론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타 단과대 학생들이 집단행동을 이유로 출결이 불량했다면 대학은 지체 없이 유급·제적시켰을 것" "평범한 학생들은 결석 며칠만 해도 F 학점을 받는다" 등 의대생 수업 거부 사태를 비판하는 글이 올라왔다.

"의대생 제적된 자리 편입생으로 채우는 게 나을 듯"

신학기가 시작됐지만 의대생들은 2년째 돌아오지 않고 버티고 있다. 21일 경기도 내의 한 의과대학 건물 앞에 산수유꽃이 피어있다. 뉴스1


일부 대학에서 의대생이 제적되면, 학칙에 따라 이를 타과 편입생으로 채우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내용이 알려지자 이를 반기는 반응도 다수 등장했다. 21일 오전 연세대 익명 커뮤니티에는 "의대생들이 제적되면 대형 편입 시장이 열릴 테니 기회를 놓치지 말자"는 글이 올라왔다. 이에 "사명감을 갖고 편입해야겠다"거나 "난 학점 높은 생명대생인데 의대 편입을 위해 어떤 걸 준비하면 되느냐"고 묻는 댓글들이 달렸다.

이 외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대학생들은 "수업 한 번 안 들은 24·25학번, 예과생들보단 간호대생이 의대 편입하는 편이 더 나을 것"이라거나 "자기 이익 챙기려고 드러누운 현 의대생들보단 편입생들이 필수과에 더 많이 지원할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부분의 국·사립 의대들이 일반 편입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학생이 많이 빠져나간다면) 편입을 통해 채우는 게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연관기사
• 미복귀 의대생 제적 땐 편입으로 정원 채운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1816350001704)

다만 의대 학장들은 아직 타과생 편입 검토안에 대해 선을 그었다. 한국의대·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19일 의대생에게 보내는 입장문을 통해 "제적 후 타과 편입으로 의대를 구성하겠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이며 어떤 의대에서도 고려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복귀를 독려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74 이재명, 산불 현장서 옷 휘두르며 달려든 남성에 위협 당해 랭크뉴스 2025.03.27
45073 의성 산불 현장에 '기다리고 기다리던' 굵은 빗방울 랭크뉴스 2025.03.27
45072 [속보][단독] “형제복지원 사건 피해자에 국가가 배상” 대법원 첫 확정판결 랭크뉴스 2025.03.27
45071 산불이 갈라놓은 80대 잉꼬부부…“아내 요양원 안 보내고 돌봤는데” 랭크뉴스 2025.03.27
45070 故김새론 유족, 미성년 시절 김수현과의 카톡 공개… ”안고 자고파“ ”실제로 해줘“ 랭크뉴스 2025.03.27
45069 [속보]의성·산청에 기다리던 ‘단비’…불길 잡아줄까 랭크뉴스 2025.03.27
45068 檢, 이재명 선거법 위반 항소심 무죄에 상고 랭크뉴스 2025.03.27
45067 SKY 의대생 "복귀 후 투쟁" 선회…'수업거부' 파행 우려는 남아 랭크뉴스 2025.03.27
45066 SKY 의대생 "복귀 후 투쟁" 선회…24·25·26학번 동시 수업 듣나 랭크뉴스 2025.03.27
45065 [속보] 의성 산불 현장에 '기다리고 기다리던' 굵은 빗방울 랭크뉴스 2025.03.27
45064 전대미문 산불에 여론도 들썩‥"봄철 성묘문화 바꿔야" 랭크뉴스 2025.03.27
45063 20년 베테랑도 치 떨었다…물 막고 불씨 숨기는 '고어텍스 낙엽' 랭크뉴스 2025.03.27
45062 [속보] 검찰,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 무죄판결에 상고 랭크뉴스 2025.03.27
45061 [속보] 경북 의성에 천둥소리 섞인 빗방울…산불 진화 도움되나 랭크뉴스 2025.03.27
45060 "어허‥무슨 관계가 있어요?" 실실 웃던 '낙하산' 급정색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27
45059 "야! 사진 찍으러 왔나? 불 꺼!" 고성에 이재명 반응이‥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27
45058 [단독]의성에 산불CCTV '제로'…괴물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7
45057 안창호 인권위원장 “경향·한겨레·MBC 이런 매체 보지마라” 랭크뉴스 2025.03.27
45056 LS, 중복상장 우려에 "소통 부족했다…호반 지분 매입 유심히 볼 것" 랭크뉴스 2025.03.27
45055 이제 친한도 "尹파면 불가" 외친다…이재명 무죄에 전략 수정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