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관광 대국 홍콩은 최근 몇 년간 관광객이 급감해 골머리를 앓았다. 2019년 민주화운동에 이어 2020년 코로나 19까지 겹치며 홍콩을 찾은 관광객은 2018년 6500만명에서 지난해 4500만명으로 크게 줄었다.

이에 홍콩 정부는 유명가수 콘서트와 경마 대회를 유치하고 자이언트 판다 4마리를 동물원에 들이는 등 160억 달러(약 23조원)의 관광 진흥책을 가동했다. 불친절하기로 유명한 홍콩 택시기사들에게 ‘관광객을 상대로 예의 바르게 행동하라’는 당국의 특별 당부까지 나왔다고 이코노미스트 최신호가 보도했다.

홍콩 택시기사들에게 ‘예의바르게 행동하라’는 당국의 지침까지 나왔다고 이코노미스트 최신호가 보도했다. 관광 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조치다. 유튜브

홍콩관광청(HKTB)에 따르면 관광객들의 가장 큰 불만은 불친절한 상인·웨이터·택시 기사였다. 지난 2023년 홍콩 택시기사에 대한 불만이 총 1만1500건 접수됐는데, 이는 2022년 대비 53% 증가한 수치다. 매체는 "이에 홍콩 당국은 '예의 캠페인(courtesy campaign)'을 벌이고 있다"면서 "택시 기사 등 고객을 상대하는 이들에게 친절하게, 더 많이 웃으며 접객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5년 2월 15일 홍콩 오션파크에서 열린 6개월 된 쌍둥이 판다 데뷔식에서 판다들이 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런 조치는 주로 중국 본토 관광객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것이라고 매체는 해석했다. 지난해 홍콩을 방문한 4500만명 중 3400만명이 중국 본토 출신이었다.

중국 SNS에는 "홍콩 택시가 승객을 속인다"라는 해시태그(#)가 달린 글이 조회 수 48만회를 기록했다. 중국 본토인들을 상대로 홍콩 택시 기사가 바가지요금을 받는다는 불만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BBC에 따르면 중국 저장(浙江)성에서 온 한 관광객은 SNS에 "요금 56홍콩달러(약 1만원)를 내기 위해 1000홍콩달러(약 18만원)를 줬더니 거스름돈으로 44홍콩달러(약 8100원)만 돌려줬다"고 하소연했다. 홍콩 경찰에 신고했지만,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돈을 돌려받지 못했다고 한다.

2023년 7월 5일 중국 오성홍기와 홍콩을 상징하는 깃발이 나부끼는 가운데, 택시가 지나가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홍콩 당국은 대대적인 기강 잡기에 나섰다. BBC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홍콩에선 택시 기사에 대해 신규 벌점 제도를 시행했다. 길을 우회하는 수법으로 요금을 더 받는 행위 등 11가지 항목을 위반하면 벌점을 받게 된다. 벌점이 쌓이면 향후 면허 정지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12월엔 홍콩 택시에 디지털 결제를 의무화하고 감시 카메라(CCTV)를 설치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이 제안됐다.

택시 기사들에게 예의바른 태도를 홍보하는 '예의 대사'들이 관련 책자를 들어보이고 있다. 유튜브

매체는 "고령화와 임금 감소에 시달리는 택시 기사들 입장에선 환영하기 힘든 조치"라고 전했다. 홍콩 전역에는 4만6000명의 택시 기사가 있는데 이 중 60%가 60세 이상이다. 87세 택시 기사가 9일간 사고를 3번 내면서 택시 기사들의 고령화 문제가 새삼 조명된 적도 있다. 택시 기사인 츠 록 후이는 이코노미스트에 "40년 전만 해도 택시 기사들은 가족을 먹여 살릴 만큼 돈을 벌었지만, 현재는 충분치 않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홍콩의 예의 캠페인에는 예의 바른 태도를 사회적 DNA의 일부로 만드는 방법에 대한 장기 교육이 포함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SCMP는 "방문객의 여행 경험을 개선하는 일은 여전히 과제"라면서 "일부 전문가들은 친절 모범 사례로 싱가포르를 꼽는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45 기장의 황당 실수…필리핀서 15시간 발 묶인 아시아나,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3.29
45844 트럼프도 “돕겠다”…‘지진 강타’ 미얀마 군정 호소에 국제 사회 지원 약속 랭크뉴스 2025.03.29
45843 [속보] 경남 산청군, 신촌마을에 대피령‥바람 방향 바뀌며 산불 확산 우려 랭크뉴스 2025.03.29
45842 미 지질조사국 “미얀마 강진,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41 文 전 대통령 소환 통보에 격앙된 민주당 "무도한 정치탄압 칼춤" 랭크뉴스 2025.03.29
45840 겨우 잡았던 산불, 안동·의성서 재발화…중앙고속도로 통제·헬기 투입 랭크뉴스 2025.03.29
45839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랭크뉴스 2025.03.29
45838 [위클리 스마트] '칠가이' 배경 한눈에…AI 검색 요약시대 '성큼' 랭크뉴스 2025.03.29
45837 상호 관세 초읽기…트럼프, “美가 얻을 게 있다면 발표 뒤 협상 가능” 랭크뉴스 2025.03.29
45836 ‘지리산 산불’ 2.8㎞ 남았다… 밤새 풍향 바뀌어 진화 어려움 랭크뉴스 2025.03.29
45835 월요일부터 공매도 전면 재개…하루 만에 대차거래 3억주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5834 산불 인명피해 70명으로 늘어… 진화율 96% 랭크뉴스 2025.03.29
45833 '경북 산불' 영양·의성서 사망자 2명 추가…총 26명 숨져 랭크뉴스 2025.03.29
45832 트럼프 “여성이란 특정 상황서 아이 가질 수 있는 사람을 의미” 랭크뉴스 2025.03.29
45831 문 전 대통령 서면 조사에, 민주 “검찰 총장 딸 문제 제대로 수사하라” 랭크뉴스 2025.03.29
45830 "거기 서!" 필사의 전력질주 '부앙 쾅' 난리 난 아파트 랭크뉴스 2025.03.29
45829 경남 산청 산불 9일째… 산림청 “지리산 마지막 주불 진화 총력” 랭크뉴스 2025.03.29
45828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랭크뉴스 2025.03.29
45827 석유 부국인데도 연료가 없다…‘주 13.5시간 노동’ 고육책 짜낸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3.29
45826 경남 산청 산불 9일째…“오늘 지리산 주불 진화 목표”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