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관광 대국 홍콩은 최근 몇 년간 관광객이 급감해 골머리를 앓았다. 2019년 민주화운동에 이어 2020년 코로나 19까지 겹치며 홍콩을 찾은 관광객은 2018년 6500만명에서 지난해 4500만명으로 크게 줄었다.

이에 홍콩 정부는 유명가수 콘서트와 경마 대회를 유치하고 자이언트 판다 4마리를 동물원에 들이는 등 160억 달러(약 23조원)의 관광 진흥책을 가동했다. 불친절하기로 유명한 홍콩 택시기사들에게 ‘관광객을 상대로 예의 바르게 행동하라’는 당국의 특별 당부까지 나왔다고 이코노미스트 최신호가 보도했다.

홍콩 택시기사들에게 ‘예의바르게 행동하라’는 당국의 지침까지 나왔다고 이코노미스트 최신호가 보도했다. 관광 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조치다. 유튜브

홍콩관광청(HKTB)에 따르면 관광객들의 가장 큰 불만은 불친절한 상인·웨이터·택시 기사였다. 지난 2023년 홍콩 택시기사에 대한 불만이 총 1만1500건 접수됐는데, 이는 2022년 대비 53% 증가한 수치다. 매체는 "이에 홍콩 당국은 '예의 캠페인(courtesy campaign)'을 벌이고 있다"면서 "택시 기사 등 고객을 상대하는 이들에게 친절하게, 더 많이 웃으며 접객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5년 2월 15일 홍콩 오션파크에서 열린 6개월 된 쌍둥이 판다 데뷔식에서 판다들이 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런 조치는 주로 중국 본토 관광객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것이라고 매체는 해석했다. 지난해 홍콩을 방문한 4500만명 중 3400만명이 중국 본토 출신이었다.

중국 SNS에는 "홍콩 택시가 승객을 속인다"라는 해시태그(#)가 달린 글이 조회 수 48만회를 기록했다. 중국 본토인들을 상대로 홍콩 택시 기사가 바가지요금을 받는다는 불만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BBC에 따르면 중국 저장(浙江)성에서 온 한 관광객은 SNS에 "요금 56홍콩달러(약 1만원)를 내기 위해 1000홍콩달러(약 18만원)를 줬더니 거스름돈으로 44홍콩달러(약 8100원)만 돌려줬다"고 하소연했다. 홍콩 경찰에 신고했지만,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돈을 돌려받지 못했다고 한다.

2023년 7월 5일 중국 오성홍기와 홍콩을 상징하는 깃발이 나부끼는 가운데, 택시가 지나가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홍콩 당국은 대대적인 기강 잡기에 나섰다. BBC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홍콩에선 택시 기사에 대해 신규 벌점 제도를 시행했다. 길을 우회하는 수법으로 요금을 더 받는 행위 등 11가지 항목을 위반하면 벌점을 받게 된다. 벌점이 쌓이면 향후 면허 정지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12월엔 홍콩 택시에 디지털 결제를 의무화하고 감시 카메라(CCTV)를 설치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이 제안됐다.

택시 기사들에게 예의바른 태도를 홍보하는 '예의 대사'들이 관련 책자를 들어보이고 있다. 유튜브

매체는 "고령화와 임금 감소에 시달리는 택시 기사들 입장에선 환영하기 힘든 조치"라고 전했다. 홍콩 전역에는 4만6000명의 택시 기사가 있는데 이 중 60%가 60세 이상이다. 87세 택시 기사가 9일간 사고를 3번 내면서 택시 기사들의 고령화 문제가 새삼 조명된 적도 있다. 택시 기사인 츠 록 후이는 이코노미스트에 "40년 전만 해도 택시 기사들은 가족을 먹여 살릴 만큼 돈을 벌었지만, 현재는 충분치 않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홍콩의 예의 캠페인에는 예의 바른 태도를 사회적 DNA의 일부로 만드는 방법에 대한 장기 교육이 포함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SCMP는 "방문객의 여행 경험을 개선하는 일은 여전히 과제"라면서 "일부 전문가들은 친절 모범 사례로 싱가포르를 꼽는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
46407 천주교 시국선언 "군경으로 국회 장악, 단죄 식별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0
46406 하루종일 ‘진화율 99%’…힘겨웠던 주불 진화 선언 랭크뉴스 2025.03.30
4640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 헌재 바라보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04 부산대 의대생 600명 전원 복귀 결정…전산망 열어 신청 접수 랭크뉴스 2025.03.30
46403 기후변화에 '괴물 산불' 예상해 대책 세웠지만...속절없이 당했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2 이재용은 시진핑·정의선은 트럼프… 국가 대신 뛰는 총수들 랭크뉴스 2025.03.30
46401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400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랭크뉴스 2025.03.30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8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반윤 검사가 밝힌 '조사실 진실' 랭크뉴스 2025.03.30
46397 ‘왕의 귀환’ 지드래곤 8년 만의 콘서트···73분 지연은 오점 랭크뉴스 2025.03.30
46396 홈플러스, 회생법원에 ‘임원 사흘치 급여’ 지급 허가 신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5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6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394 정산 계획 내놓지 못한 발란…결제서비스까지 전면 중단 ‘잠정 폐업’ 랭크뉴스 2025.03.30
46393 고령 고객 개인정보로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392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의대생도 전원 등록…복귀 '대세'로 랭크뉴스 2025.03.30
46391 삼전 주주만 516만 명인데…전자주총땐 발언·의결권 행사 현실적 불가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