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EU, '1단계 보복 조치' 철회 배경엔
"트럼프, 유럽 주류 산업 보복할라"
'술 생산 강국' 프랑스 등 '강력 반발'
1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한 주류 판매점에 프랑스 등 유럽 국가에서 생산된 와인들이 진열되어 있다. 샌프란시스코=AP 연합뉴스


유럽연합(EU)이 다음 달 1일 시행하려던 대(對)미국 보복 관세 1단계 조치를 연기하겠다고 20일(현지시간) 돌연 발표한 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보복을 우려해서다. 1단계 조치에 미국산 위스키에 대한 관세가 포함되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시행할 경우 모든 유럽 술에 관세 폭탄을 매기겠다며 으름장을 놨다.

다만, 미국 재보복에 대한 우려가 EU 회원국 사이에서 동등했던 건 아니다. 주류 생산국인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서의 반발이 EU 결정 번복에 주효하게 작용했다.
EU의 '트럼프에 맞서자'는 단일대오가 흐트러지며 차후 대책 마련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는 분석
이 나온다.

트럼프 보복 경고에 EU 속도 조절



지난 12일부터 시행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 상품에 대한 25% 관세'와 관련, EU 대응은 당초 단호한 듯했다
. '해당 조치로 역내 총 260억 유로(약 41조 원) 규모의 상품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니 그만큼에 해당하는 미국산 상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다음 달 1일과 13일에 걸쳐 매기겠다'는 것이었다. 1일 시행 예정이었던 1단계 조치는 버번위스키,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 등 미국의 '상징적 상품'에 최고 5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이었고, 이로 인해 약 80억 유로(약 13조 원) 규모의 미국산 상품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EU는 판단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50%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EU 내에서 생산된 모든 술에 200% 관세를 매기겠다'고 경고하자, EU 내 주류 생산국들은 EU 결정에 반기를 들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무언가를 응시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EU 속도 조절 배경엔 佛·伊의 반기



당장
와인, 샴페인, 코냑 등을 두루 생산하는 프랑스
가 매섭게 목소리를 냈다. 미국 폴리티코에 따르면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는 16일
"EU가 버번위스키를 보복 관세에 포함한 건 실수"
라고 말했다. 'EU가 미국산 위스키를 보복 관세 대상으로 지목한 것이 미국이 유럽 주류를 겨냥한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했다'는 것이다. 가뜩이나 프랑스는 'EU와 중국 간 무역 전쟁'에 자국 코냑 산업이 희생양이 된 데 불만이다. 대미 무역 전쟁에도 프랑스 술이 휘말리면서 심기는 더 불편해졌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와인을 생산하는 이탈리아는 '관세 전쟁에 뛰어들 게 아니라 회피 노력을 해야 한다'는 입장
이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19일 의회에서 "모두가 손해를 보는 악순환에 빠지는 건 현명하지 않다"며 "이탈리아의 에너지는 상식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우익 가치관을 매개로 한 미국과의 연대감을 미국·EU 간 중재에 활용하겠다는 뜻이다.
대표적 위스키 생산국인 아일랜드도 'EU의 보복 관세 정책 수정'을 요구
했다.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는 EU의 정책을 "오래된 매뉴얼"이라고 부르며 "일부를 다듬어야 한다"고 밝혔다.

유럽, 관세 대상 논의 중... 분열 더 커질까



EU 내 분열은 더 커질 수 있다.
현재 EU는 어떤 미국산 상품에 추가 관세를 매길지를 논의 중이다. 이 과정에서 자국의 주력 상품과 같거나 유사한 미국산 상품을 보복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한 치열한 로비전이 전개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범유럽 싱크탱크인 유럽외교관계위원회의 수석정책펠로인 아가테 드마레는 "모든 유럽 국가가 잠재적 무역 전쟁이나 미국 관세에 동일하게 노출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EU 내 균열은 늘 예측할 수 있는 일이었다"고 폴리티코에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
46407 천주교 시국선언 "군경으로 국회 장악, 단죄 식별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0
46406 하루종일 ‘진화율 99%’…힘겨웠던 주불 진화 선언 랭크뉴스 2025.03.30
4640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 헌재 바라보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04 부산대 의대생 600명 전원 복귀 결정…전산망 열어 신청 접수 랭크뉴스 2025.03.30
46403 기후변화에 '괴물 산불' 예상해 대책 세웠지만...속절없이 당했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2 이재용은 시진핑·정의선은 트럼프… 국가 대신 뛰는 총수들 랭크뉴스 2025.03.30
46401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400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랭크뉴스 2025.03.30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8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반윤 검사가 밝힌 '조사실 진실' 랭크뉴스 2025.03.30
46397 ‘왕의 귀환’ 지드래곤 8년 만의 콘서트···73분 지연은 오점 랭크뉴스 2025.03.30
46396 홈플러스, 회생법원에 ‘임원 사흘치 급여’ 지급 허가 신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5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6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394 정산 계획 내놓지 못한 발란…결제서비스까지 전면 중단 ‘잠정 폐업’ 랭크뉴스 2025.03.30
46393 고령 고객 개인정보로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392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의대생도 전원 등록…복귀 '대세'로 랭크뉴스 2025.03.30
46391 삼전 주주만 516만 명인데…전자주총땐 발언·의결권 행사 현실적 불가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