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그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관련해서 조희원 기자와 더 얘기해보겠습니다.

조희원 기자, 얘기가 좀 반복되고 있긴 한데 그만큼 선고가 계속 늦어지고 있습니다.

지금 헌재는 뭘 고민하고 있는 걸까요.

◀ 기자 ▶

헌법 전문가 10명의 이야기를 들어봤는데요.

우선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순서, 변론 종결 순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고 기일을 잡고 있는 것 같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변론이 종결된 순서에 주목했습니다.

탄핵소추 9건 중 선고가 끝난 건 5건입니다.

모두 윤 대통령 탄핵안보다 먼저 접수됐고, 변론도 먼저 종결됐습니다.

한 총리 사건도 윤 대통령보다 먼저 변론이 끝났죠.

헌재가 '선입선출' 원칙을 적용해 공정성을 확보하려 한다는 분석입니다.

또 절차적, 형식적 문제를 갖고 공격하는 윤 대통령 측이나 국민의힘 쪽에 시빗거리를 주지 않기 위해 꼼꼼히 하다 보니 시간이 걸린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안 하는 게 아니라 봐야 할 게 많아 못 하는 것 같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었는데요.

헌재가 만약 윤 대통령의 내란죄 성립 여부까지 판단하려 한다면, 검찰 조서의 증거능력 등 정교하게 따져야 할 게 많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거죠.

일각에선 윤 대통령 파면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 재판관이 있는 것 아니냐는 말도 계속 나오는데요.

저희가 연락해본 헌법전문가들은 윤 대통령 탄핵 여부에 재판관 이견이 있을 사안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 앵커 ▶

만에 하나 다음 주도 아니라면, 4월로 넘어가는 건데요.

이럴 가능성도 있을까요?

◀ 기자 ▶

일단 다음 주 금요일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높아 보인다는 게 중론입니다.

하지만 만에 하나 다음 달로 미뤄진다면, 4월 18일 전에는 선고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문형배, 이미선 재판관의 임기가 그날로 만료되기 때문입니다.

결국 4월로 넘어가게 되면 시간에 쫓길 수밖에 없게 되는 거죠.

현재 8인 체제에서 2명이 빠질 때까지 결론을 내놓지 못하면 이후 '결과의 정당성' 문제도 커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한덕수 총리의 탄핵 여부를 결정짓고, 윤 대통령 파면 여부도 최대한 빨리 결론을 내야 한다는 건데요.

국론분열이나 혼란, 폭력 행태 등에 대한 우려가 이미 나온 지가 꽤 됐잖아요.

헌재가 장고를 거듭하면 할수록, 탄핵 찬성과 반대 양측 모두의 비판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 앵커 ▶

조희원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 김정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70 강남구 아파트서 아내 살해한 6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3.29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
46059 프로야구 30일 NC-LG 창원 경기 취소…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 랭크뉴스 2025.03.29
46058 산불 피해 반려견 사료 2톤 도난…“청년 대여섯명이 실어가” 랭크뉴스 2025.03.29
46057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3.29
46056 창원NC파크서 철제구조물 추락… 여성 2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3.29
46055 ‘입꾹닫’하고 사는 세상, 용기 내볼까[이다의 도시관찰일기] 랭크뉴스 2025.03.29
46054 ‘고중량 운동’하는 남성, 이 병을 조심하자[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5.03.29
46053 보통 50~60km 깊이인데… 너무 얕은 '10km 진원'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52 “헌재 빨리 판단 내려야”…주말 탄핵 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6051 이재명 "국힘 '골프사진 조작' 비판…진실 직시해야"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