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업부 장관, 미 에너지부 장관과 회담
민감국가 지정 해결 위해 협력하기로
관련 절차 돌입... 지정 사유 해소에 집중
한국 설득 작업 후, 미 에너지부가 판단
산업부, 이번 회담으로 긍정 검토 기대
절차에 시간 소요... 당장 제외는 어려워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0일 미국 워싱턴 D.C. 에너지부 회의실에서 크리스 라이트 미 에너지부 장관과 면담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한미 양국이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과 관련해 절차에 따라 해결하는 데 합의
했다.
한국 정부가 지정 사유가 해소됐다는 점을 설명하고 이를 미 에너지부가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물론 한국이 당장 민감국가에서 빠지는 건 아니지만 정부 측은 "큰 고비는 넘겼다" 평가한다.

민감국가 지정 관련 '조속히, 해결, 협력' 문구에 합의

안덕근(왼쪽 두 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0일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의 회담을 위해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출국장에서 이동하고 있다. 영종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현지시간)
안덕근 장관이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크리스 라이트 미 에너지부 장관과 첫 회담
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 회담에서 안 장관과 라이트 장관은 한국이 민감국가로 지정된 것을 두고 두 나라가 절차에 따라 서둘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모으는 데 뜻을 함께했다.

산업부는 이번 회담에서 합의한 '문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
한다.
'조속히' '해결' '협력'은 미 에너지부도 이번 회담 결과를 외부에 알릴 때 사용하기로 했다
는 것이다. 즉 양국이 이번 사안을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높은 수준의 합의를 이뤄냈다는 설명이다.

미 에너지부가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 최하위 단계에 포함한 사실이 최근에 알려지면서 상당한 논란이 일었다.
민감국가에 이름이 올라가면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기관, 시설을 방문할 때 제한을 받고 공동 연구를 위해서는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심지어 지정된 국가들이 사실상 미국의 '적국'으로 분류되는 곳이라
한국이 미국의 우방 국가군에서 빠지는 거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왔다.

정부, 설명·설득 절차 돌입...미국의 긍정 검토 기대

미국 에너지부. 워싱턴=UPI 연합뉴스


관심은 앞으로 어떤 '절차'가 이어지느냐다. 무엇보다 한국 정부가 미 에너지부가 민감국가에 넣은 사유가 해소됐다는 점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작업이 공식적으로 이뤄진다. 외교부가 미국을 접촉한 결과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의 보안 관련 문제가 원인으로 꼽힌다.
이를 다루는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지만 산업부가 미 에너지부의 카운터파트너로서 과기부, 외교부로부터 관련 정보를 공유받아 정부 입장을 전달
한다.

미 에너지부는 이후 민감국가 제외 여부를 결정할 텐데 산업부는 '긍정적 방향'으로 흘러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두 나라는 '민관 합동 에너지 포럼'도 정례화하기로 했고 액화천연가스(LNG),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미국이 한국에 대한 불신을 거둬야만 가능한 조치들이라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다만 산업부는 절차 진행에 시간이 필요해 4월 15일 민감국가 지정 효력이 발효되기 전에 제외 결정이 나오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정부 내에서는 "큰 고비는 넘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민감국가 제외를 위해서는 미국과 원만한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게 가장 필요하다"며 "이번 회담으로 이를 해결했으니 앞으로 산업부가 한국 정부의 입장과 상황을 충실히 전달하면 된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26 "얼어붙은 호수 위 경비행기 날개서 12시간 버텼다"…일가족 기적의 생환 랭크뉴스 2025.03.29
45725 수상택시 전부 예약… 아마존 창립자 베이조스 재혼에 특수 기대하는 베네치아 랭크뉴스 2025.03.29
45724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 통보…뇌물 혐의 수사 랭크뉴스 2025.03.29
45723 트럼프 "푸틴과 '러의 北무기 구입'에 대해 논의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3.29
45722 트럼프 "캐나다 총리와 매우 생산적인 통화…많은 부분 동의"(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9
45721 '쓰레기통서 나온 찢긴 수표' 알고 보니…'보이스피싱' 조직원이 턴 '노후자금' 랭크뉴스 2025.03.29
45720 이재용 삼성 회장, '中 1주일 출장' 마지막날 시진핑 만나고 귀국 랭크뉴스 2025.03.29
45719 뉴욕증시, 관세 여파 우려·신규지표 실망감… 급락 출발 랭크뉴스 2025.03.29
45718 러 "우크라 지도부, 군 통제력 상실…에너지 공격 계속"(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717 제주·티웨이항공, 산불 지역 거주자 한시적 수수료 면제 랭크뉴스 2025.03.29
45716 "센스 있다"…지드래곤, 콘서트 앞두고 인근 주민에 깜짝 선물 랭크뉴스 2025.03.29
45715 트럼프 관세에 車업계·동맹국 울 때…中 BYD는 웃고 있다, 왜 랭크뉴스 2025.03.29
45714 "한국 산불,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로 악영향"…해외 기후전문가들 분석 보니 랭크뉴스 2025.03.29
45713 美 3월 미시간대 소비심리 3개월째 급락…기대 인플레 5%로 상승 랭크뉴스 2025.03.29
45712 의대생 ‘일단 복귀’ 기류 물꼬 텄나…서울대 이어 울산대 의대 ‘전원’ 복학 신청 랭크뉴스 2025.03.29
45711 "국민버거 맞나요?" 불고기버거 세트 배달시키니 가격에 '헉'…롯데리아, 3.3% 인상 랭크뉴스 2025.03.29
45710 지리산 산불, 일몰 전 주불 진화 못해…야간 진화 계속 랭크뉴스 2025.03.29
45709 "귀찮게 밥을 왜 먹어요?"…50일 만에 무려 '200만봉' 팔린 식사대용 스낵 랭크뉴스 2025.03.29
45708 "투표하면 200만달러 쏜다" 머스크, 이번엔 위스콘신 선거 지원 랭크뉴스 2025.03.29
45707 농담인줄 알았는데 갈수록 묘한 기류… 캐나다 기절초풍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