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마이써니 이어 머티리얼즈도 이전 검토
한 때 ‘제2의 본사’… 높은 임대료 부담

SK그룹 계열사들이 수년 간 입주해 있던 서울 종로구의 고급 오피스 빌딩인 그랑서울에서 속속 철수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그룹 차원에서 진행 중인 비용 절감 방침에 따라 비싼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SK그룹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그룹 내 교육을 총괄하는 조직인 마이써니(mySUNI) 소속 직원들은 올 상반기 중 그랑서울을 떠나 SK플랜트 본사가 위치한 종로구의 수송스퀘어 빌딩으로 옮길 준비를 하고 있다. 마이써니는 SK그룹의 여러 계열사에서 파견된 직원들이 모인 조직으로 총 150여명이 근무 중이다. 산하에 SK경영경제연구소와 교육·연수 프로그램을 만드는 SK아카데미 등을 두고 있다. 배터리 회사인 SK온의 전문가 육성을 담당하는 SK칼리지도 그랑서울에 있는데, 함께 수송스케어로 떠날 예정이다.

서울 종로구 청진동의 그랑서울 빌딩. 이 곳은 국내에서 임대료가 가장 높은 상업용 빌딩 중 한 곳으로 꼽힌다. /조선비즈DB

SK주식회사 머티리얼즈도 올해 안에 그랑서울에서 옮기기로 하고 새로운 본사 후보지를 물색 중이다. 지난해 말 매각 결정이 내려진 자회사 SK스페셜티의 서울 사무소도 곧 그랑서울을 떠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랑서울은 지난 2018년 SK그룹이 본사인 종로구 서린동 사옥을 리모델링하면서 여러 계열사가 입주했던 곳이다. 서린사옥과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어 가깝고, 2014년 준공된 최신식 건물이라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당시 SK E&S와 SK종합화학(현 SK지오센트릭), SK루브리컨츠(현 SK엔무브), SK머티리얼즈, SK스페셜티 등이 그랑서울로 옮겨 그랑서울은 한 때 ‘제2의 SK 본사’로 불리기도 했다.

최근 SK 계열사와 조직들이 속속 그랑서울을 떠나기로 한 것은 그룹 전체가 진행 중인 운영 개선(OI·Operation Improvement)과 비용 절감 기조 영향이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 등 일부 계열사를 제외하고 전체적인 실적이 악화되면서 현재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랑서울 내부에 조성된 SK그룹 계열사의 공유 오피스. /SK이노베이션 제공

그랑서울은 서울 시내에서 임대료가 높은 ‘프라임 오피스’ 중 하나다. 부동산 관리업체인 리맥스와이드파트너스에 따르면 2016년 그랑서울의 3.3제곱미터(㎡)당 임대료는 14만2100원으로 국내 1위를 기록했다. 현재도 도심업무지구와 여의도업무지구, 강남업무지구를 통틀어 임대료가 가장 비싼 건물 중 하나로 꼽힌다.

SK그룹 관계자는 “서린 본사 외에도 서울 종로타워와 경기 판교의 SK디스커버리 사옥, 송도 SK바이오사이언스 사옥 등 여러 입주 후보지가 있다”며 “임대료 절감으로 상당한 운영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7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644명으로 늘어… 부상자 3408명 랭크뉴스 2025.03.29
46071 러 "우크라, 에너지 시설 공격 계속…수자 가스계측시설 파괴" 랭크뉴스 2025.03.29
46070 강남구 아파트서 아내 살해한 6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3.29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
46059 프로야구 30일 NC-LG 창원 경기 취소…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 랭크뉴스 2025.03.29
46058 산불 피해 반려견 사료 2톤 도난…“청년 대여섯명이 실어가” 랭크뉴스 2025.03.29
46057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3.29
46056 창원NC파크서 철제구조물 추락… 여성 2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3.29
46055 ‘입꾹닫’하고 사는 세상, 용기 내볼까[이다의 도시관찰일기] 랭크뉴스 2025.03.29
46054 ‘고중량 운동’하는 남성, 이 병을 조심하자[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5.03.29
46053 보통 50~60km 깊이인데… 너무 얕은 '10km 진원'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