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목동·여의도 구축 아파트 신고가 속출
재건축 추진 기대감 커지며 주목 받아
토허구역 확대에 여의도·목동 매력 부각
강남 갭투자보다 가격 부담도 적어
목동 7단지. 연합뉴스

[서울경제]

서울 여의도와 목동 재건축 아파트에서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강남·서초·송파·용산구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으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하는 갭 투자가 원천 차단되면서 투자 수요가 이들 지역으로 더욱 쏠리고 있다. 강남 구축 아파트 매매를 고민하던 투자자들이 실거주 의무를 감수하고 재건축 추진 속도가 빠르고 강남보다 가격 부담도 낮은 여의도·목동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들어 여의도와 목동 재건축 추진 아파트 단지에서 신고가가 잇따르고 있다. 여의도에서 삼부 전용면적 135.80㎡는 8일 33억 원에 팔려 신고가를 기록했다. 시범 79.24㎡가 6일 23억 원, 대교 95.50㎡가 7일 24억 원에 손바뀜되면서 최고가 기록을 다시 썼다.

목동에서는 신시가지 5단지 전용면적 95.06㎡가 이달 9일 24억 8000만 원에, 95.27㎡는 15일 24억 1000만 원에 팔려 각각 신고가를 기록했다. 3단지 82.43㎡(12일·21억 5000만 원)와 △4단지 47.25㎡(11일·15억 3000만 원) △6단지 65.1㎡(9일·19억 8000만 원) △7단지 53.88㎡(12일·16억 6500만 원) 등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이달 계약 체결된 신시가지 단지 21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신고가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달 13일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토허구역에서 해제했지만 ‘압여목성(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 주요 재건축 아파트는 지정을 유지했다. 허가구역 아파트를 거래할 때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허가 없이 토지거래계약을 체결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토지가격의 30% 상당 금액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2년간 실거주용으로만 이용해야 만큼 전세를 끼고 사는 갭투자는 불가능하다. 4월에 토허구역 재지정이 확실한 상황이었는데도 실거주 의무 등 불편을 감수하고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의도와 목동 신고가 행진 배경은 재건축에 속도가 붙고 있기 때문이다. 목동 신시가지 14개 단지의 경우 지난해 8월 6단지를 시작으로 8·12·13·14단지 등 5곳이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또 4·5·7·9·10단지는 정비구역 지정안 주민공람을 완료했다. 관할 구청인 양천구는 최근 11단지 정비계획안 공람을 실시했고, 아직 공개되지 않은 1·2·3단지도 상반기 내 주민공람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여의도에서도 신속통합기획(서울시 정비 지원 사업) 1호 시범 아파트의 재건축 정비구역·정비계획 결정 변경안이 고시됐다. 아울러 대교 아파트의 재건축 사업시행계획 인가를 위한 통합심의안도 통과됐다. ‘여의도 1호 재건축’인 한양 아파트와 공작 아파트가 시공사 선정을 마친 가운데 지난해 말 목화 아파트의 재건축 정비계획 변경안의 주민공람이 진행되면서 기대감을 키웠다.

시장에서는 강남 3구와 용산구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갈 곳 잃은 자금이 재건축 추진 속도가 빠른 여의도와 목동 재건축 단지로 쏠릴 것으로 전망했다. 여의도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여의도는 예전부터 토허구역으로 묶여 실거주 의무가 있었는데도 연초 이후로도 매수가 꾸준했다”며 “토허구역 확대 이후에도 반포, 한남, 여의도를 놓고 저울질하던 투자자들이 재건축 추진 속도가 빠른 여의도에 주목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남 3구·용산구와 비교해 여의도·목동 재건축 추진 단지 시세가 낮다는 점도 매매 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는 요인이다. ‘잠삼대청’ 토허구역 해제 이후 강남 3구 아파트 가격 상승 폭이 매주 2~3배 뛰면서 격차는 더 벌어졌다.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를 비교하면 반포주공1단지와 이촌 한강맨션 매매 호가가 각각 48억~130억 원, 39억 4000만~65억 5000만 원인 반면 여의도 시범은 25억~45억 원에 형성돼 있다. 강남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대치나 개포동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사려고 해도 현금 20억~22억 원은 필요한데 그 돈이면 목동이나 여의도 재건축 단지를 살 수 있다”며 “목동·여의도 중소형 평형은 그동안 토허구역이 풀리지 않았고 그나마 강남보다 가격이 눌려 있었기 때문에 대출 없이 매수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53 [속보]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상대 권한쟁의 심판 청구 랭크뉴스 2025.03.28
45552 24명 사망 ‘최악 피해’…“경북산불 실화자, 구속 불가피” 랭크뉴스 2025.03.28
45551 [속보] 경북 산불 다 껐다…7일 만에 서울 75% 면적 초토화 랭크뉴스 2025.03.28
45550 '경북 산불' 149시간 만에 진화‥여의도 156개 면적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28
45549 [속보] '대형 산불' 경북 5개 시군 주불 진화 완료... 발생 149시간만 랭크뉴스 2025.03.28
45548 前방첩사령관 "충암파 의혹 고통"…前수방사령관 "훈장 받아야" 랭크뉴스 2025.03.28
45547 ‘헌재는 도대체 왜 이러나’···‘입꾹닫 재판관 탓’ 등 설설설만 난무[뉴스분석] 랭크뉴스 2025.03.28
45546 [속보] 역대 최악 '괴물 산불' 잡았다…149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28
45545 경북 산불 실화자 산림보호법 위반 혐의로 31일 소환조사 랭크뉴스 2025.03.28
45544 '2심 무죄' 이재명 선거법 소송기록, 상고 하루만에 대법으로(종합) 랭크뉴스 2025.03.28
45543 경북 산불 주불 진화…발생 149시간 만에 랭크뉴스 2025.03.28
45542 민주 초선의원들 “韓, 일요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즉시 재탄핵” 랭크뉴스 2025.03.28
45541 [속보] 경북 북부 산불, 오늘 오후 5시 주불 꺼졌다… 6일 5시간 만 랭크뉴스 2025.03.28
45540 실내 수영장서 강습받던 초등생 심정지…병원 이송 랭크뉴스 2025.03.28
45539 ‘약한 비와 바람’…“경북 북동부 산불 진화 해결사 역할” 랭크뉴스 2025.03.28
45538 “박단 일침에도” 울산대 의대생들, 전원 복귀 결정 랭크뉴스 2025.03.28
45537 [속보] 경북 산불 주불 진화···발생 149시간 만에 랭크뉴스 2025.03.28
45536 미얀마 7.7 강진‥태국 방콕서 건설 중 건물 붕괴 43명 갇혀 랭크뉴스 2025.03.28
45535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랭크뉴스 2025.03.28
45534 [속보] 산림청장 "17시부로 경북 산불 모두 진화" 공식 발표 랭크뉴스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