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마이크 던리비(사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가 “알래스카 LNG는 저렴하고 안정적인 해상 운송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19일 던리비 주지사는 LNG 사업에 관한 중앙일보의 질의에 “운하 병목 문제나 분쟁 해역을 우회하는 저비용의 공급원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파나마 운하를 거치지 않고 태평양으로 바로 운송해 통행료를 아낄 수 있다는 강점을 내세웠다. 공화당 소속 던리비 주지사는 2018년 첫 주지사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의 지지를 받아 당선된 인물이다. 에너지부 장관, 내무부 장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던리비 주지사는 다음 주 주중에 한국에 도착할 예정이다. 그와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 대표단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조태열 외교부 장관 등과의 면담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던리비 주지사는 “알래스카 LNG는 한국에 엄청난 경제적·안보적·전략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며 “이번 사업은 알래스카의 저렴하고 깨끗한 천연가스 공급원을 개방하는 것”이라고 했다. AGDC 측은 한국에 LNG 공급을 시작할 목표 시기는 “2030년 또는 2031년”이라고 밝혔다.

신재민 기자
산업부는 알래스카 LNG 사업의 기회와 리스크를 신중하게 계산한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390억~440억 달러(약 57조~64조원) 규모로 다른 지역보다 2~3배 높은 수준의 사업비가 부담이다. 북극 혹한의 기후를 뚫고 1300㎞에 이르는 파이프라인을 건설해야 한다. 아시아 지역 LNG 수요 감소, 세계 LNG 공급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한다면 사업 수익성이 더 떨어질 것이란 평가도 있다.

이런 가운데 과거 중국의 행보를 복기할 필요가 있다. 이미 8년 전 중국은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에 나섰다 도로 발을 뺀 이력이 있다.

2017년 11월 9일 중국석화와 중국투자공사, 중국은행은 미 알래스카주와 LNG 공동개발 협정(JDA)을 체결했다. 중국 측이 투자하기로 한 금액은 430억 달러(약 62조원)에 달했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1기 미 정부가 중국에 대(對)미국 무역흑자를 줄이라고 몰아붙이자 나온 대응책 중 하나였다. 협정 체결 전인 같은 해 4월 7일엔 시진핑 중국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치고 귀국하는 길에 예고 없이 알래스카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19일 통상당국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2019년 알래스카 사업에서 사실상 발을 뺐다. 당시 표면적으로는 미국이 자국 내 반중(反中) 정서를 고려해 중국 자본을 밀어낸 것이라고 했지만, 시장 평가는 달랐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빙교수는 “중국이 철수한 가장 큰 이유는 투자 대비 수익 등의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파악했기 때문”이라며 “한국이 충분한 고민 없이 투자에 나선다면 국부 유출 논란이나 법적 책임 논란 등이 벌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오성익 OECD 지역개발정책위원회 분과부의장은 “투자 참여가 불가피하다면 그에 걸맞은 반대급부를 받아내는 데 협상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국이 요구할 수 있는 사항으로 ▶보조금 ▶미 에너지 인프라 지원 프로그램 활용 ▶LNG 장기 구매 혜택 등이 지목된다. 오 부의장은 “미국의 관세 부과 면제도 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13 미얀마 7.7 강진에…美 "사망자 1만명 넘을 가능성 70% 넘어" 랭크뉴스 2025.03.29
45812 “애타는 이재민·가족들 위해” 지리전공 대학생들이 만든 ‘대피 지도’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3.29
45811 안동·의성 산불 재발화…긴급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810 "51번째 주라고? 캐나다가 美 인수 가능" 이런 계산 나왔다 [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3.29
45809 우의장, 한 대행에 권한쟁의심판…여 “또 헌재·한 대행 겁박” 랭크뉴스 2025.03.29
45808 [속보] 도로공사 "중앙고속도 남안동∼서안동IC 통행 재개" 랭크뉴스 2025.03.29
45807 안동 이어 의성 산불 재발화...산림당국 "헬기 투입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806 韓 기업들 어쩌나...트럼프 때문에 '초비상' 랭크뉴스 2025.03.29
45805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804 尹 탄핵 선고 연기에…여야, 3월 마지막 주말 ‘장외 총력전’ 랭크뉴스 2025.03.29
45803 꺼져가던 산불 밤새 살아나…안동 이어 의성도 다시 번진다 랭크뉴스 2025.03.29
45802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 가능해" 랭크뉴스 2025.03.29
45801 “설마 했는데”…산불 재발화, 남안동∼서안동IC 전면 차단 랭크뉴스 2025.03.29
45800 [산불 속보 (오전)] 경북 안동·의성 일부 산불 재발화…헬기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799 엇갈린 이재명 선거법 1·2심…예측 불가 대법원 판단 [서초동 야단법석] 랭크뉴스 2025.03.29
45798 안동 이어 의성 신평 등 일부 지역도 부분 재발화…헬기 6대 투입 랭크뉴스 2025.03.29
45797 4월로 넘어간 선고‥오늘도 대규모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796 안동·청송 재발화…중앙고속도로 남안동IC∼서안동IC 양방향 차단 랭크뉴스 2025.03.29
45795 '산불사태' 인명피해 70명으로 늘어…안동·의성 재발화 랭크뉴스 2025.03.29
45794 전날보다 5~10도 ‘뚝’…일부 지역 건조 특보 ‘불 조심’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