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0일간 공격 중단…우크라전 전면휴전 협상도 개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통화하는 모습.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화 회담을 갖고 에너지 기반 시설을 대상으로 한 30일간 공격 중단에 합의했다. 우크라이나도 이를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러시아는 전면 휴전 협상도 곧 개시한다고 밝혔다. ‘첫 합의’라는 의미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러시아에 일방적으로 유리하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각)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우리는 모든 ‘에너지 및 기반 시설’에 대한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다”며 “조속한 완전 휴전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적었다.

크렘린궁도 이날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30일 동안 ‘에너지 기반 시설’ 공격을 중단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은 이 제안에 긍정적으로 답했고, 즉시 러시아군에 해당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일단 합의 수용 의사를 밝혔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 언론에 “우크라이나는 이 합의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떤 것을 지지하려면, 정확히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원한다고 밝혔다.

양국은 중동에서 추가 회담을 열어 전면휴전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두 정상은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과 전면적 휴전 및 영구 평화에 관한 기술적인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모스크바가 트럼프의 평화 구상에 구체적인 양보를 제시한 첫 번째 사례”(존 헐브스트 전 우크라이나 주재 미국 대사)라는 긍정평가도 있지만 정반대 평가가 우세하다. 러시아는 늦가을과 겨울에 우크라이나 에너지 인프라를 집중 타격해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봄철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이를 중단하는 것은 몇 달 전보다 러시아에 덜한 양보로 여겨진다”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가 최근 러시아 본토 깊숙이 있는 석유 및 가스 시설을 광범위하게 공격해 러시아의 가장 중요한 국가 수입원을 위협해 왔기 때문에 러시아가 환영할 합의라는 분석도 나온다. 폴리티코는 “우크라이나는 최근 순항 미사일 사거리를 5배 증가시키며 러시아 에너지 시설 타격 능력을 갖췄다. 이번 합의는 러시아의 에너지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30일 휴전에 동의하지 않았다는 점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에너지 시설’을 제외한 영토를 놓고 계속 경쟁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 러시아는 쿠르스크 지역 탈환과 동부 지역에서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를 지키거나 늘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에너지 기반시설 공격 제한에 국한된 이번 합의가 전황과 무관한 상징적인 의미만 갖는 이유다. 폴리티코 유럽판은 “피비린내 나는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은 그대로 살상지대로 남고 드론과 미사일 폭격이 우크라이나 전역에 계속 쏟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합의 발표 뒤에도 러시아는 기존 종전 조건에서 물러설 뜻이 전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특히 핵심 조건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외국의 군사 원조 및 정보 공유의 완전한 중단을 내걸었다. 우크라이나가 결코 수용할 수 없는 조건이다.

전 나토 및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인 알렉산더 샌디 버시보는 애틀랜틱 카운슬에 “푸틴은 장기적인 휴전, 더 나아가 영구적인 평화 협정을 서두를 생각이 전혀 없다”며 “회담 결과 발표문에는 우크라이나가 분명히 거부할 독소 조항들이 가득하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도 “최근 며칠간 백악관의 낙관적 전망에 비하면 이번 합의는 기대에 못 미친다”고 평가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18 尹 탄찬측 긴급집중행동 선포…반대측은 철야집회 확대 예고 랭크뉴스 2025.03.31
46717 광주 종합병원 어린이집 화재…3명 연기흡입 병원 이송(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716 '저가 커피'도 줄인상…메가커피 아메리카노 1천700원으로 랭크뉴스 2025.03.31
46715 마늘·송이·사과생산, 산불에 직격탄…송이 지원대상 제외 울상 랭크뉴스 2025.03.31
46714 미얀마 강진, 흘러가는 '구조 골든타임'…"사망자 2천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1
46713 ‘성폭력 혐의’ 장제원 고소인, 동영상·채취 감정 결과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12 경찰, BTS 진에 '강제 입맞춤' 50대 일본인 수사 중지 결정 랭크뉴스 2025.03.31
46711 국민의힘, 민주당 이재명·초선 70명·김어준 '내란 혐의' 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10 ‘입주지연 위기’ 장위자이 레디언트, 임시사용승인 받아…2800여가구 입주 시작 랭크뉴스 2025.03.31
46709 "싸서 아침마다 들렀는데"…메가커피, 아메리카노 등 인상 랭크뉴스 2025.03.31
46708 경찰, 경호차장 구속영장 기각에 "법원이 尹구속취소 고려한 듯" 랭크뉴스 2025.03.31
46707 "월급날이 행복하다"…직원은 1억·임원은 19억 연봉 찍은 '꿈의 직장' 어디? 랭크뉴스 2025.03.31
46706 민주 "심우정 딸, 권익위 매뉴얼 안 따른 특혜채용‥자료제출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705 해남서 산불… 헬기 4대·장비 11대 동원해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31
46704 천주교 신부들 시국선언 “헌재 교만에 천불…윤석열 단죄하라” 랭크뉴스 2025.03.31
46703 “무너진 학교·유치원 접근조차 못 해”…미얀마 지진 사망자 ‘최소 3천명’ 랭크뉴스 2025.03.31
46702 "아시아서 1세기 동안 없었던 파괴"...미얀마에 '최고 등급' 비상사태 랭크뉴스 2025.03.31
46701 머스크측 숙청 속…美반도체법 지원 담당 한국계 직원도 퇴직 랭크뉴스 2025.03.31
46700 NC파크의 비극…구조물 떨어져 다친 20대 여성, 끝내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699 與 조경태 "한덕수 정치권 눈치 보지 말라"... 마은혁 임명 지연 '쓴소리'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