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총장들 "유급·제적 등 원칙에 따라 처리"
24·25학번은 제적 땐 재입학도 어려워
복귀 시한 임박한 의대생들 '꼼수' 고민
정상 수업 참여 안 하면 '증원 0명' 폐기
19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은 이날 긴급회의를 열고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계 반려 등을 결정했다. 연합뉴스


의과대학이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이 "정당한 사유 없이 낸 집단 휴학계는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버티다 보면 학교가 또 다른 유화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다"고 기대하는 의대생들에게 더는 특혜가 없음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일부 대학의 복귀 마감 시한이 하루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학들이 미복귀 의대생은 학칙대로 처리하겠다고 밝히자 의대생들은 일단 등록금을 내 제적은 피하고 수업 참여는 사실상 거부하는 꼼수를 고민하고 있다.

의대를 운영하는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19일 긴급회의를 열고 집단 휴학을 위한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21일까지 모두 반려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전북대와 조선대가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았는데 나머지 38개 대학도 같은 원칙을 적용하기로 한 것이다.

총장들은 학칙을 어겨 유급·제적 등에 해당하는 의대생이 있다면 원칙대로 처리하기로 했다. 비(非) 의대생에게 적용하는 학칙을 의대생에게도 똑같이 엄격히 적용하겠다는 입장이다.

만약 제적당하면 재입학하기도 어렵다. 각 의대의 학칙에는 '학과 정원에 결원이 있을 때 제적자를 심사해 재입학을 허가할 수 있다'고 돼 있지만 1학년 과정을 마치지 않고 휴학한 24·25학번은 학교가 26학번을 뽑게 되면 1학년 정원이 다 차버려 재입학이 어려워진다.

총장들의 이날 결정은 교육당국의 방침과 일치한다. 교육부는 전날 40개 의대에 공문을 보내 "각 대학은 형식적으로는 개인 사유에 의한 휴학 신청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집단적인 대규모 휴학 신청에 대해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해 달라"고 주문했다.

연관기사
• 교육부, 전국 의대에 "집단 휴학 승인 말라" 공문···제적·유급 유력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1813560005262)

다가온 복귀 데드라인, 경북·고려·연세대 21일까지



교육부와 각 대학이 미복귀 의대생에 강경한 메시지를 잇달아 내놓는 건 복귀 데드라인이 코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경북대와 고려대, 연세대는 오는 21일까지 의대생들이 등록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른 의대들도 다음 주까지만 학생들을 기다리고 이후에는 원칙을 따르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계속 특혜를 바라는 듯한 의대생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아 이번에는 정말 봐주기 어렵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7일 서울 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학생 복귀 및 의대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의대생이 3월 중 전원 복귀하면 내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


압박이 강해지자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꼼수 휴학'을 언급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단 등록금을 내놓고 최소학점 수업만 신청하는 방식 등으로 보이콧하자"는 게 대표적이다. 의대생의 휴학 사유가 인정되지 않아 휴학계가 반려되더라도 일단 등록금만 내면 제적은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학점이나 출결 일수 등에 따라 성적 경고나 유급 가능성 등은 있다.

다만 의대생들이 등록만 하고 수업에 제대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교육부, 대학이 합의한 '내년 증원 0명' 안은 폐기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학교에서 판단하겠지만 최소 학점만 신청한다면 정상적으로 수업이 돌아간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교육부는 의대생 전원이 3월 내 학교에 복귀한다는 걸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하겠다고 밝혔었다. 다만 전제 조건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내년도 모집 인원은 올해와 비슷한 4,500~5,000명 수준이 될 전망이다.

연관기사
• 교육부 "3월 말까지 의대생 안 돌아오면 26학번 정원 동결 철회"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0711360005732)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86 “제품 무상·생필품도 보내겠다” 산불 지역 고객 감동 시킨 쇼핑몰 [아살세] 랭크뉴스 2025.03.31
46685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네 번째 불출석…법원 “강제조치 고민 중” 랭크뉴스 2025.03.31
46684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인수합병 추진” 랭크뉴스 2025.03.31
46683 ‘정산 지연’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랭크뉴스 2025.03.31
46682 기약 없는 탄핵심판…시민단체, 헌법재판관 ‘직무유기’ 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681 2월 전국 '악성 미분양' 2만3722가구…전월 比 3.7%↑ 랭크뉴스 2025.03.31
46680 이재명 "尹 복귀시 5·18과 비교할 수 없는 혼란과 유혈사태" 랭크뉴스 2025.03.31
46679 北, 소년단지도원 대강습 첫 개최…북한판 'MZ' 길들이기 관측 랭크뉴스 2025.03.31
46678 [단독] 최여진, '돌싱' 예비신랑과 6월 1일 결혼 랭크뉴스 2025.03.31
46677 "尹 지키는 게 자유대한민국 수호"... '용현이형 응원떡' 돌린 김용현 랭크뉴스 2025.03.31
46676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랭크뉴스 2025.03.31
46675 박찬대 "윤석열" 권성동 "윤석열? 우리도 이재명이라고 할까" 랭크뉴스 2025.03.31
46674 이재명 "尹 복귀는 제2의 계엄 의미…韓·崔 책임 물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73 영국 명문 '위컴 애비' 분교, 인천 미단시티에 들어선다…우선협상자 선정 랭크뉴스 2025.03.31
46672 이재명 "尹 복귀 시 광주 5·18과 비교할 수 없는 혼란과 유혈사태" 랭크뉴스 2025.03.31
46671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회생인가 전 M&A 목표” 랭크뉴스 2025.03.31
46670 ‘마은혁 임명’ 여야 충돌 격화…추경 기싸움도 가열 랭크뉴스 2025.03.31
46669 권성동 또 색깔론 “마은혁은 법복 입은 좌파 활동가” 랭크뉴스 2025.03.31
46668 “한국 인구 4% 수준으로 준다”… 머스크 인류 최대 위기로 저출산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667 이재명 "한덕수∙최상목 용서 안돼… 중대 헌법 위반 책임 물어야"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