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적으로 빈자리엔 편입학 검토
19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전국 40개 의대가 의대생들이 낸 동맹 휴학계 반려 방침을 정하면서 미복귀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유급·제적 처리 준비에 들어갔다. 또 정부와 대학 당국은 제적된 의대생의 빈자리를 편입학으로 채울 수 있다며 복귀를 압박했다. 의대생들은 여전히 복귀 움직임은 없지만 일부에선 우선 등록한 뒤 수업을 거부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19일 의대가 설치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간담회를 열어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오는 21일까지 반려하기로 합의했다. 의총협은 또 유급·제적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학칙대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각 의대의 등록 마감일은 오는 21일 경북대·고려대·연세대를 시작으로 24일 가톨릭대·전남대, 27일 서울대·부산대 등 이달 말에 집중돼 있다. 마감일 전에 등록하지 않으면, 휴학계가 반려된 의대생은 제적 처리가 된다. 추후 구제 방안은 사실상 없다. 대다수 대학에 제적 후 재입학할 수 있는 학칙이 있지만 정원의 결원이 있을 때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아 내년도 정원이 5058명으로 유지될 경우 예과 1학년으로 재입학을 해야 하는 24 ·25학번이 돌아올 자리는 없을 것이라는 게 정부와 대학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더욱이 일부 대학은 대거 제적 사태를 대비해 편입학을 통해 결원을 채우는 안도 검토 중이다. 의대에 편입하려면 국내외 4년제 대학에서 2학년 이상 이수한 학생이 의대에 편입하게 되면 본과 1학년 혹은 예과 2학년으로 들어오게 된다. 의대 교육은 총 6년 과정인데 1·2학년인 의예과 2년간은 주로 교양수업 중심이어서 이전 대학에서 공부한 과정을 예과 과정으로 인정한다. 정부도 편입학은 각 학교에서 정한 자격에 맞으면 학교 자율로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대학 총장들이 ‘편입학 카드’까지 고려하는 것은 의대생 복귀를 위한 압박은 물론 의대생 등록금 수입 감소에 따른 경영상 어려움 때문으로 풀이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대학들은 다른 학과 학생들 등록금으로 의대를 운영하는 상황”이라며 “총장들은 다른 단과대 학생들이 이를 두고 항의하고 있어 힘들다고 토로한다”고 했다.

이 때문에 피해가 24·25학번에 집중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3월 말 복귀를 전제로 한 정부안대로라면 두 학번이 분리 교육을 받고 졸업 후 의사 국가시험과 전문의 자격시험 등 일정이 조정되겠지만, 그러지 않을 경우 향후 전문의 수련 과정 등에서 두 학번이 경쟁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규모 제적 사태가 벌어질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의대가 있는 한 비수도권 국립대 총장은 “본과생들은 제적돼도 학교에 돌아갈 자리가 있고, 마음먹으면 편입도 가능하겠지만 아래 학번은 아니다”라고 했다.

정부와 대학의 강경책에도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아직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다만 의대생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제적만은 피하기 위해 등록 뒤 수업을 거부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 경우에는 유급을 당해 학교에 적을 둘 수는 있다. 이 밖에도 의대생 사이에는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고 새 정부가 들어서면 상황이 바뀔 수 있다” 등의 시나리오가 오가고 있다. 일단 복귀 마감 시한이 오는 21일로 가장 이른 고려대, 연세대 등의 의대생 움직임이 다른 대학 의대생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02 이재용은 시진핑·정의선은 트럼프… 국가 대신 뛰는 총수들 랭크뉴스 2025.03.30
46401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400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랭크뉴스 2025.03.30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8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반윤 검사가 밝힌 '조사실 진실' 랭크뉴스 2025.03.30
46397 ‘왕의 귀환’ 지드래곤 8년 만의 콘서트···73분 지연은 오점 랭크뉴스 2025.03.30
46396 홈플러스, 회생법원에 ‘임원 사흘치 급여’ 지급 허가 신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5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6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394 정산 계획 내놓지 못한 발란…결제서비스까지 전면 중단 ‘잠정 폐업’ 랭크뉴스 2025.03.30
46393 고령 고객 개인정보로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392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의대생도 전원 등록…복귀 '대세'로 랭크뉴스 2025.03.30
46391 삼전 주주만 516만 명인데…전자주총땐 발언·의결권 행사 현실적 불가 랭크뉴스 2025.03.30
46390 정부, 산불 피해 대응 등 '10조 추경안' 내놨지만… 여야, '재난 예비비' 공방만 랭크뉴스 2025.03.30
46389 韓, 野 재탄핵 경고에도 침묵… 마은혁 임명 ‘여야 합의’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88 민주 "당장 파면 결단‥마은혁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387 헌재 앞 탄핵 반대 철야집회 확대…찬성측 파면촉구 서명운동(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86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랭크뉴스 2025.03.30
46385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384 [뉴스와 경제+] 48조!31조! 잇따른 미국 투자 약속에도‥상호 관세 '임박' 랭크뉴스 2025.03.30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