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이 헌법재판소에 접수된 지 95일째인 19일 서울 종로구 헌재.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기다리는 것은 우리만이 아니다. 각국 헌법재판 기관 등에서도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를 학수고대한다. 미국과 유럽 등 세계 민주진영에서 극우 논리에 기반한 통치와 정당이 확산하면서, 역설적으로 헌정질서 회복을 위한 대통령 탄핵 판례를 ‘선도’하는 한국 헌법재판소의 역할이 중요해진 셈이다.

헌재는 주요 사건 결정이 나오면 영어로 번역해 각 나라 헌법재판 기관과 공유한다. A4 115쪽 분량으로 번역돼 각국에 배포된 박근혜 탄핵 결정문(2016헌나1)은 ‘Impeachment of the President(Park Geun-hye), Case No. 2016Hun-Na1’로 시작한다.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2017년 3월10일 오전 11시21분 헌법재판관 8명 전원 일치로 나온 이 탄핵 결정 문구는 “Holding, The respondent, President Park Geun-hye, is removed from office”로 번역됐다.

헌법학계에서는 사안의 중요성에 비춰볼 때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결정문 번역이 이미 시작됐을 것으로 본다. △사건 개요 △탄핵소추 사유 △심판 대상 △심판 진행과정 △소추의 적법요건 판단 △탄핵 요건 등 재판관 합의가 크게 필요하지 않은 대목은 물론, 이미 합의에 이른 핵심 쟁점들에 대해서도 한글 결정문 작성과 동시에 번역이 이뤄지고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헌법연구관 출신 법조인은 19일 “세계적으로 대통령 탄핵 사건이 많지 않은 탓에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한국 헌재의 판결을 각국이 주시하고 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가 나오면 바로 결정문을 보내달라는 요청이 이미 헌재에 접수됐을 것이다. 일부 국가는 한글 결정문을 자체적으로 번역하기도 한다”고 했다. 한국과 같은 선진 민주주의 국가에서 전시도 아닌 평시 비상계엄으로 헌정이 중단된 사례가 희귀한 데다가, 이를 헌법적으로 어떻게 판단할지 세계 각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탄핵 결정문 번역본 시작 부분

결정문은 일단 세상에 나오면 수정이 안 된다. 쉼표 등 맞춤법 수준의 수정은 가능하지만, 단어나 문구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공안검사 출신으로 윤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의결을 주도한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은 박근혜 탄핵 당시 헌법재판관이었다. 박근혜 탄핵에 찬성하며 A4 10쪽짜리 장문의 보충의견을 썼는데, 존재하지 않는 성현 말씀을 가져다 쓰고, 플라톤의 ‘국가론’을 맥락을 무시하고 자의적으로 해석 인용해 논란을 빚었다. 그가 결정문에 쓴 성현 말씀과 국가론 해석은 영문으로 번역돼 세계 각국에 보내져 ‘영구 박제’됐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33 정부, 산불 피해 복구 등 ‘10조 추경’ 추진 랭크뉴스 2025.03.30
46332 지진속 '그 건물만' 무너졌다…태국 정부, 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331 이재명 "헌재 고뇌·고충 막중할 것‥현명한 결정 신속히 해달라" 랭크뉴스 2025.03.30
46330 [단독] 롯데리아, 주문당 쿠폰 5개 중복 가능…버거플레이션 속 숨통 랭크뉴스 2025.03.30
46329 민주 초선들, 권성동 '내란선동죄 고발'에 "무고죄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0
46328 정부 '10조 필수추경' 추진‥"여야, 취지 동의한다면 조속편성" 랭크뉴스 2025.03.30
46327 왜 이 건물만?…태국 정부, 지진에 무너진 33층 건물 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326 정부 '10조 필수추경' 추진…"여야, 취지 동의한다면 조속편성"(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30
46325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0
46324 “눈만 감으면 그날 생각에”… 산불에 길어지는 대피소 생활 랭크뉴스 2025.03.30
46323 [속보] 중대본 “경북·경남 산불 주불 모두 진화…75명 사상” 랭크뉴스 2025.03.30
46322 왜 이 건물만 혼자 ‘와르르’?…중국 시공사 조사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0
46321 70대 몰던 승용차 역주행 사고…3명 숨지고, 6명 다쳐 랭크뉴스 2025.03.30
46320 '안 맞을 순 없다, 덜 맞자'…트럼프 상호관세에 정부 전략 수정 랭크뉴스 2025.03.30
46319 정부, 산불 피해 복구 등 ‘10조 필수 추경’ 추진…“4월 중 국회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18 “中 SMIC, 위장회사 설립해 대만 반도체 인력 빼돌려…11개사 적발” 랭크뉴스 2025.03.30
46317 "햄버거 하나 먹겠다고 7시간 줄 섰는데"…中서 몰락하는 美수제버거, 왜? 랭크뉴스 2025.03.30
46316 "여보, 우리 베트남 가족여행 미룰까"…'살짝 접촉만 해도 감염' 홍역 초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315 최상목, 국회서는 “외환 안정 문제 없어”…뒤로는 ‘강달러’ 투자 랭크뉴스 2025.03.30
46314 [르포] ‘불 벼락 맞은’ 주민들…“아직도 손이 벌벌 떨려”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