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주택과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전체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지정된다. 지난달 13일 서울시가 잠실·삼성·대치·청담동 일대를 토허제에서 해제한 지 34일 만이다. 단기간 급등한 서울 집값에 놀란 정부와 서울시가 한달여 만에 정책을 번복하고, 시장 예상을 웃도는 강도높은 규제를 꺼내든 셈이다. 성급한 규제 완화로 불 붙은 서울 아파트 시장에 기름을 부은 오세훈 서울시장에 대한 책임론이 비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관계기관 회의’를 연 뒤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에서 이같은 규제안을 밝혔다.

서울시는 우선 오는 24일부터 9월말까지 약 6개월간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전체 아파트를 대상으로 토허제를 확대 지정하기로 했다. 4개 자치구에 있는 모든 아파트 약 2200개 단지(40만가구)가 대상이다. 집값 불안이 계속될 경우 지정을 연장하고, 시장이 과열될 경우 인근 지역 추가 지정도 검토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토허제 해제 이후 ‘잠·삼·대·청’ 집값이 평균 3.7% 상승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토허제 지정 뒤로도 시장 과열이 지속될 경우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를 추가 지정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 지정된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를 다른 지역으로 넓혀 추가 지정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금융당국은 은행권 및 정책금융의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한다. 수도권 중심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새로 실시하고, 서울 주요 지역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취급 점검도 강화한다. 정부는 “디딤돌 대출 등 정책대출 증가세가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을 과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대출금리 추가 인상 등을 즉각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토부·서울시 합동점검반은 이상거래와 집값 담합 등을 집중 모니터링하고, 편법대출·허위신고 등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한 기획조사와 자금출처 수시 조사도 병행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의 토허제 해제 직후 강남3구를 중심으로 ‘갭투자’ 의심거래가 크게 증가한 정황이 확인된 바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부동산 관련 규제, 금융 등 모든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집값 상승 요인을 차단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도 “집값이 상승할 때 투기 수요가 추가적으로 유입될 경우, 주택시장 불안과 가격 변동성이 더 확대돼 국가 경제와 국민 주거안정에 큰 위협 요인이 될 것”이라며 “정부는 시장 안정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성급한 토허제 해제로 주택 시장에 불안을 조성한 당사자인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강남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졌다는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인다. 심려를 끼쳐드린 점, 시민 여러분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반시장적 규제는 불가피할 경우에만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하고, 이번 조치도 이러한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88 민주 "당장 파면 결단‥마은혁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387 헌재 앞 탄핵 반대 철야집회 확대…찬성측 파면촉구 서명운동(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86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랭크뉴스 2025.03.30
46385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384 [뉴스와 경제+] 48조!31조! 잇따른 미국 투자 약속에도‥상호 관세 '임박' 랭크뉴스 2025.03.30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
46382 권성동 "야권 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 법안 추진‥국헌문란 시도" 랭크뉴스 2025.03.30
46381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 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80 ‘티몬부터 홈플러스·발란까지’... ‘생존 게임’ 나선 유통업계, 약체 기업 줄도산 랭크뉴스 2025.03.30
46379 데드라인 하루 앞두고 부산대·충남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랭크뉴스 2025.03.30
46378 "메리츠를 '한국의 버크셔'로"…주총서 CEO 건강 챙긴 주주들 랭크뉴스 2025.03.30
46377 ‘불쏘시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76 경남북 산불 주불 진화 공식 발표…"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75 '이대남 코인러' 200만…억대 큰손은 40대男·50대女 많아 랭크뉴스 2025.03.30
46374 국토부, 산불 피해 이재민에 긴급지원주택‥2년간 무상 거주 랭크뉴스 2025.03.30
46373 꽃샘추위에 73분 늦은 '초인'... 지드래곤 "내년엔 빅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3.30
46372 힘들게 터 잡은 청년농부들, 피땀 어린 삶의 터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30
46371 "삼일절 연휴 급여 달라"는 홈플러스 임원들…법원에 조기변제 신청 논란 랭크뉴스 2025.03.30
46370 휴대전화 수리 맡겼다가…대리점 여직원에 2억 뜯긴 90대, 뭔일 랭크뉴스 2025.03.30
46369 미얀마, 여진 속 필사의 '맨손' 구조활동…국제사회 지원 속도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