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 포함 원인 ‘핵무장론’ 부인…미국도 “큰일 아니다”
일각 “분류 시점 계엄 이후…핵 비확산 문제 배제 못해”
야당 “윤 정부가 사태 키웠다” 더불어민주당 외교통일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정보위원회 위원들이 18일 국회에서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에 포함한 원인이 자체 핵무장론 등이 아니라는 취지로 한국 정부가 밝혔지만 의구심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미국 측이 배경으로 제시한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 보안 문제만으로 동맹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했다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18일 기자들과 만나 민감국가 문제를 두고 “범정부 차원에서 협의하고 미국 측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전날 오후 미국 측과 소통한 결과, 민감국가 분류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다만 보안 문제의 유형과 내용 등 구체적인 배경은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측도 한국 정부의 전날 설명을 확인했다. 조지프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는 이날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등이 주최한 좌담회에서 “실험실에 가는 한국인들이 많아서 일부 사건이 있었고 이 명단이 만들어졌다”며 “일부 민감한 정보에 대한 취급 부주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큰일이 아니다”라고도 했다.

다만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중대 사안으로 보고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민감국가로 지정된 배경을 떠나서 그 사실 자체로 국가 신인도와 한·미관계 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민감국가 목록에는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등 미국의 적성국이 등재돼 있다. 정부는 자세한 경위를 파악하고 민감국가 발효일(4월15일) 이전에 이를 막기 위해 미국과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일부 학계와 야권에서는 정부와 미국의 설명이 석연찮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비확산 분야의 한 전문가는 “미국 내 연구자가 사고를 냈으면 개인과 기관을 처벌·제재하면 되지, 동맹국인 한국을 민감국가에 올리는 건 선뜻 이해되지 않는다”며 “목록에 오른 다른 국가들을 보면 우리와 같은 그룹이 아니기 때문에 (보안 문제가 맞다고 해도) 심각성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한 시점이 지난 1월이라는 점에서 핵 비확산 문제를 주요 원인에서 배제해선 안 된다는 주장도 있다. 당시 한국이 12·3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으로 정치적 불안정 상황에서, 국내 유력 정치인들이 주장하는 핵무장론이 힘을 받을 것을 미국이 경계했을 것이란 얘기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런 점을 지적하며 “연구소 보안 문제라면 한국에 소명을 요구하는 절차를 거쳤을 가능성이 큰데 이번엔 아무런 통보 없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에너지부는 단일 사건을 이유로 민감국가 지정을 하지는 않는다고 한다”며 “미국 내 전문가들도 이번 조치의 원인으로 윤석열과 여당 정치인들의 핵무장론을 지목했다”고 말했다. 국회 외교통일·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정보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의 무리한 핵무장 주장이 사태를 악화했다고 주장했다.

정부와 미국의 입장처럼 연구소 보안 문제가 민감국가 적용의 원인이어도 자체 핵무장론 주장은 자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이 아무리 ‘굳건한 동맹국’이더라도 핵 확산과 관련한 우려가 커지면 사전 통보나 조율 없이 제재를 부과할 수 있다는 점을 이번 사례를 통해 보여줬기 때문이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88 [속보] 崔대행, 10조원 필수 추경 발표…"산불로 역대 최대 피해" 랭크뉴스 2025.03.30
46287 "잘 만든 플랫폼 하나, 신약 10개 안부럽네"…알테오젠은 어떻게 코스닥 대장주가 됐나 [김정곤의 바이오 테크트리] 랭크뉴스 2025.03.30
46286 산청산불 10일째·213시간만에 주불 진화…축구장 2천602개 피해(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285 이재명 "헌법재판관 고뇌 막중할 것…현명한 결정 신속히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284 韓대행, '모레까지 마은혁 임명' 野 고강도 압박에 '침묵' 랭크뉴스 2025.03.30
46283 [2보] 최상목 "산불로 역대 최대 피해…10조 필수추경 추진" 랭크뉴스 2025.03.30
46282 정부, 10조 규모 '필수추경' 추진… "산불 피해 신속 지원" 랭크뉴스 2025.03.30
46281 [단독] 여인형 방첩사, 비상계엄 5개월 전 ‘군 유일 견제기구’ 감찰실장직 편제서 삭제 랭크뉴스 2025.03.30
46280 [속보] 최상목 “여야 동의시 10조원 규모 ‘필수 추경’ 조속히 편성” 랭크뉴스 2025.03.30
46279 ‘울며 겨자 먹기’ 건설사 부채, 주식으로 떠안는 기업들…2000원대 주식 16만원에 인수 랭크뉴스 2025.03.30
46278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큰가…국민 불신 목소리도 커져” 랭크뉴스 2025.03.30
46277 김수현 영화 '리얼' 노출신·오디션 논란... 前 감독이 밝힌 입장 랭크뉴스 2025.03.30
46276 ‘최장기간 산불’ 경신 10분전 “산청산불 진화 완료” 선언한 산림청 랭크뉴스 2025.03.30
46275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274 "종일 헬스장서 살았는데"…'운동광' 20대, 갑자기 '이 암' 진단받은 사연 랭크뉴스 2025.03.30
46273 산불 진화 핵심 역할한 軍...누적 7500명 투입, 헬기·의료 지원도 랭크뉴스 2025.03.30
46272 [단독]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271 [속보] 경북도지사 “산불 잔불정리 오늘 마무리…뒷불감시 전환” 랭크뉴스 2025.03.30
46270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랭크뉴스 2025.03.30
46269 "화장실서 매일 쓰는 건데 어쩌나"…비누 속 꽃향기가 뇌세포 손상 시킨다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