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대·지원 모임 ‘부라자’ 활동가들 ‘3개월 겪어보니…’
‘청소년성노동연대 부라자’ 활동가인 모래(활동명·오른쪽)와 다른(활동명)이 지난 14일 성매매 청소년들의 현실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성산업 진입하는 이유 다양

“잘 곳·먹을 곳·사회 관계 등

삶에 필요한 자원 부족 봐야”


손가락질·교화, 해결책 못 돼

“이들도 엄연히 사회구성원

목소리 들어주는 창구 필요”


‘청소년성/노동연대 부라자’ 활동가 다른(활동명)은 여러 단체에서 활동하며 돌아갈 안전한 집이 없거나 성매매를 경험한 청소년들을 만났다. 일부는 지원 체계 안에서 답을 찾지 못했고 결국 지원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갔다. 다른은 “성매매 청소년의 곁은 누가 지킬 수 있을까, 지금의 지원은 이들을 위기로 다시 떠미는 건 아닐까” 고민했다.

‘부라자’는 이런 고민에서 시작됐다. 성산업에 종사했거나 하고 있는 청소년의 목소리를 듣고 연대·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만들어졌다. 여성 속옷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이들에 대해 이야기를 하겠다는 의미, 기존 규범과 불화하는 ‘불화자’들과 연대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이름을 지었다. 부라자 상근 활동가 다른과 모래(활동명)를 지난 14일 경향신문사에서 만났다.

사회는 성산업에서 일한 청소년을 ‘문란한 청소년’ ‘불쌍한 청소년’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청소년이 성산업에 진입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여성가족부의 ‘2016 성매매 실태조사’에 따르면 위기 청소년이 조건만남을 선택한 이유는 ‘갈 곳·잘 곳이 없어서’가 29%로 가장 많았다. 다른은 “성산업의 경계에 있는 청소년의 목소리는 정말 다양하다. 가족이나 노동, 주거 문제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며 “잘 곳, 먹을 것, 사회적 관계 등 삶에 필요한 자원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는 현실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을 ‘이탈한 존재’로 보는 시선은 정책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성매매한 청소년은 가정폭력·빈곤 등의 이유로 원가정을 이탈한 경우가 많은데, 정책은 이들을 원가정과 학교로 복귀시키는 데 집중돼 있다. 모래는 “핵심은 이탈자를 어떻게 정상 사회로 복귀시키느냐가 아니라, 왜 이탈할 수밖에 없었는지 묻는 데 있다”고 했다.

다른은 “사회는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실질적 지원이 아니라 무언가를 금지하고 제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가족과 함께 있는 것이 힘들거나 학교에서 친구들과 관계 맺기 어려운 조건일 수도 있는데, 이런 상황을 질문하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찾아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모래는 “성을 팔겠다고 마음먹은 10대 여성이 이를 꾹 참는다고 해서 돈이나 관계가 없는 현실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했다.

‘청소년의 성’을 언급하기조차 어려운 분위기는 성산업의 경계에 있는 청소년의 존재를 지워버린다. 다른은 “청소년이 성관계를 하는 것만으로도 비난하는 분위기라 자신의 상황을 알리기도 쉽지 않다”며 “이들도 사회 구성원이라는 걸 기억하며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성산업을 묵인하고 키워온 사회 구조가 성매매 문제의 책임을 자발적·비자발적으로 성산업에 발을 들인 청소년 개인에게 돌리고, ‘교화’라는 방식의 해결책만 들이밀고 있다고 했다. 다른은 “성산업 규모가 어마어마한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인데,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성산업과 아예 무관하게 살아갈 수 있겠나”라고 물었다. 모래는 “성산업에 몸담게 된 청소년 개인을 탓하기만 하는 사회와 맞서 싸우고 싶다”고 했다.

부라자의 첫 목표는 성매매 청소년들에게 ‘곁’이 되어주는 것이다. 지금은 공개 대화방을 열어 당사자의 고민을 듣고 일상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모래는 “집다운 집에서 사람답게 살 권리를 (이들) 모두와 외치고 싶다”며 이렇게 말했다. “성매매한 청소년이라도 하루의 끝에는 곤히 잠들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고 오늘 고생했다고 어깨를 토닥여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21 "홍장원 응원" 만두차 "김용현 영웅" 옹호글…'내란 팬덤' 생겼다 랭크뉴스 2025.03.30
46120 ‘무죄’ 이후 여론 주도권 확보한 이재명[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3.30
46119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율 ‘전남 25.8%’···전국에서 가장 높아 랭크뉴스 2025.03.30
46118 ‘튀김 꽃이 피었습니다’…BBQ의 심장 ‘치킨대학’ 탐방기 랭크뉴스 2025.03.30
46117 이제 쿠팡 제주도·쓱 광주도 새벽배송…물류 인프라 사활 랭크뉴스 2025.03.30
46116 "라면부터 우유·맥주 미리 쟁이세요…4월부터 가격 다 오릅니다" [똑똑! 스마슈머] 랭크뉴스 2025.03.30
46115 尹 ‘탄핵 이슈’에 ‘관세 폭탄’까지...“한국이 위험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114 [Why]트럼프가 틱톡 살리기에 나선 이유 랭크뉴스 2025.03.30
46113 "장남 민주 잘못, 차남에게 기회 달라"…조국당 호남서 반전 노리나 랭크뉴스 2025.03.30
46112 감기인 줄 알았는데…"접촉 땐 90% 감염" 베트남發 홍역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111 “연금개혁 비판은 악질적인 세대 갈라치기…정치인들, 제도 이해부터 해야” 랭크뉴스 2025.03.30
46110 이준기 9억, 유연석 70억까지···연예인이 국세청 세금 추징당하는 이유는?[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3.30
46109 10일째 맞은 산청 산불…'마지막 화선' 지리산 밤샘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108 [당신의 생각은] 아파트 단지 옆에 상가 아닌 데이터센터? “전자파 피해” “보상금 달라” 랭크뉴스 2025.03.30
46107 웹스크래핑, 문서 추출… 데이터저널리즘의 도구를 어떻게 벼릴까? 랭크뉴스 2025.03.30
46106 맥주부터 라면·우유 미리 사세요…다음주부터 가격 오릅니다 [똑똑! 스마슈머] 랭크뉴스 2025.03.30
46105 왜 팀 쿡은 3년 연속 중국 찾고, ‘딥시크 모교’에 기부했을까[산업이지] 랭크뉴스 2025.03.30
46104 홍장원 만두차에 곽종근 팬카페까지…내란 관련자 ‘팬덤’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3.30
46103 가상자산 거래소 회원 1천600만명 돌파…주식 투자자 넘어서나 랭크뉴스 2025.03.30
46102 55세 이상 근로자 ⅓은 최저임금도 못 받는다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