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통계청·법무부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
지난해 국내 상주 외국인 156만명… 전년比 9.1%↑
300만원 못 버는 근로자 약 63%… 300만원↑ 37.1%
‘소득 대비 자녀 교육비 부담된다’는 외국인 44%

국내로 입국하는 외국인 근로자. / 뉴스1

국내 체류 외국인이 156만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외국인 임금 근로자 51% 이상이 월평균 200만~300만원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만원 이상을 버는 외국인 임금 근로자는 37.1%로, 영주·재외동포 자격자들이 대부분이었다.

통계청·법무부는 18일 이런 내용의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국내 체류 외국인들을 체류자격별로 세분화하고, 이들의 한국 생활상을 분석한 자료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에 상주하는 15세 이상 외국인 수는 156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13만명(9.1%) 증가했다. 인구 수와 증가 폭 모두 2012년 이후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들 중 남성과 여성 비중은 각각 57.8%, 42.2%였다. 외국인 남성은 주로 취업을 위해, 여성은 주로 결혼이나 유학을 위해 국내에 들어온 것으로 조사됐다. 체류자격별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비전문취업(90.9%), 전문인력(71.8%), 방문취업(57.3%) 등으로 높았다. 반면 여성은 결혼이민(79.6%)과 유학생(53.3%)이 높았다.

국내 체류 외국인 현황. /통계청 제공

이들 가운데 취업자 비중은 64.7%였다. 나머지 31.4%는 비경제활동인구, 3.9%는 실업자로 분류됐다. 산업별 취업자를 보면 광·제조업이 45.6%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숙박음식업(18.9%), 사업·개인·공공서비스(14.2%), 건설업(10.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00만~300만원 미만’ 구간이 51.2%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00만원 이상’이 37.1%였고, ‘100만~200만원’은 8.4%, ‘100만원 미만’은 3.3%를 기록했다.

소득이 가장 많은 구간인 ‘300만원 이상’은 영주(55.2%), 전문인력(46.5%), 재외동포(46.1%) 등에서 많았다. ‘100만원 미만’과 ‘100만~200만원 미만’은 유학생(39.3%·48.3%)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국내 체류 외국인 고용 현황. /통계청 제공

외국인의 국적은 아시아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타 아시아(35.8%), 한국계 중국(31.6%), 베트남(15.0%), 중국(8.6%) 등이다. 우즈베키스탄·필리핀·인도네시아·태국·몽골·캄보디아 등 기타 아시아 인구를 합친 아시아계 비중은 전체 91.0%에 달했다.

세부적으로 비전문취업은 기타 아시아(86.3%) 비중이 가장 높았고, 방문취업은 한국계 중국(86.2%)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인력은 기타 아시아(47.5%), 베트남(18.2%) 순이며, 유학생은 베트남(36.5%), 중국(28.9%) 순으로 비중이 컸다. 결혼이민의 경우 기타 아시아(33.4%) 비중이 가장 컸고, 베트남(30.7%), 중국(14.0%) 순으로 집계됐다.

전체 외국인의 59.0%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었다. 방문취업(80.3%), 영주(77.0%), 재외동포(76.9%) 순으로 수도권 거주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문취업은 경기(38.9%), 동남권(17.2%), 충청권(16.5%) 순으로 거주 비중이 컸다.

거주 유형은 일반주택(58.0%), 아파트(19.3%), 기숙사(13.1%) 순으로 나타났다. 방문취업(85.9%), 유학생(73.1%), 재외동포(71.5%) 순으로 일반주택 거주 비중이 컸고, 비전문취업은 기숙사(47.3%), 일반주택(24.3%) 등의 비중이 컸다.

한편 한국에 거주하는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외국인 중 ‘지난 1년간 자녀 교육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없다’고 답한 이들은 64.4%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35.7%)’보다 28.7%포인트(p) 높았다. 다만 소득 대비 자녀 교육비에 대한 부담 정도에 대해서는 ‘부담됨’이 44.0%로 ‘부담되지 않음(31.1%)’보다 12.9%p 높았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60 전북 무주서도 산불···4개 마을 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7
44759 대구 달성군에도 산불...150여명 동원해 밤새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7
44758 대피 장소 4번 바꾸고… “우왕좌왕 지자체 산불 참사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7
44757 한밤중 들이닥친 ‘화마’… 산간 노인들 속수무책 당했다 랭크뉴스 2025.03.27
44756 [단독] 국정원도 "민감국가 정보 공유받은 적 없다"…美 문서엔 "한국, 핵 기술 유출 우려" 랭크뉴스 2025.03.27
44755 尹 선고 4월로 넘어가나… 심리기간도 100일 훌쩍 넘겨 랭크뉴스 2025.03.27
44754 이재명, 대장동·대북송금 등 사법리스크 여전... 대법 판결까진 오래 걸릴 듯 랭크뉴스 2025.03.27
44753 "자른 사진, 조작으로 볼 수 있다" 이재명 유죄 뒤집힌 이유 랭크뉴스 2025.03.27
44752 李 살린, 李 판례 랭크뉴스 2025.03.27
44751 ‘또 트럼프 자동차 관세 리스크’…나스닥 2% 급락 랭크뉴스 2025.03.27
44750 李 선거법 2심 마친 법원…이제 헌재 尹탄핵심판에 이목 집중 랭크뉴스 2025.03.27
44749 “‘몰랐다’는 행위 아닌 인식 문제…백현동 발언은 의견 표명일 뿐” 랭크뉴스 2025.03.27
44748 괴물 산불 키운 '3월의 강풍' 정체…기후변화가 몰고온 재앙이었다 랭크뉴스 2025.03.27
44747 ‘백제 후예’ 자처한 데라우치 총독…“선원전 현판·원구단 건물 뜯어간 범인 맞다”[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3.27
44746 [단독] MS CEO의 장담 "AI판 뒤집을 대규모 혁신 온다" 랭크뉴스 2025.03.27
44745 "피곤한데 누가 좀 씻겨줬으면"…상상하던 '인간 세탁기', 日서 진짜 나왔다 랭크뉴스 2025.03.27
44744 무살렘 연은 총재 “관세 여파 일시적으로 안끝난다…PCE 1.2%포인트 높아질 것” 랭크뉴스 2025.03.27
44743 러·우크라, 부분 휴전 합의후에도 에너지시설 공격 진실공방 랭크뉴스 2025.03.27
44742 美백악관 "트럼프, 26일 오후 자동차관세 발표"…韓도 타격 예상(종합) 랭크뉴스 2025.03.27
44741 "비트코인 올해 20만 달러 간다"…'부자아빠', 역사상 가장 큰 기회라는데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