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 대통령 혐의, 박근혜 때보다 훨씬 심각"
"尹 측근들 '기각 확신'으로 잘못 보고한다"
"尹, 탄핵 인용 시 '사저 정치'로 강공 예상"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13일 대전 유성구 한밭대학교에서 '거부할 수 없는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이준석 의원실 제공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기각 또는 각하할 경우, 2017년 3월 파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 사례와 비교해 형평성에 맞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18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2017년에도 (박 전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두고 며칠간 '기각이다' '각하다', 이렇게 얘기가 돌았는데 결과는 8 대 0 탄핵 인용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
박 전 대통령과 지금 윤 대통령이 적용받는 혐의점을 비교해 보면 윤 대통령이 훨씬 심각하다
"며 "
형평성을 따졌을 때 이번 탄핵이 기각 또는 각하되면 박 전 대통령은 '나는 뭐냐' 이러면서 펄쩍 뛰실 것
"이라고 말했다.

"尹, 탄핵 기각 믿고 헌재 자극 안 하는 중"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 선고 전까지 어떠한 메시지도 내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에 대해선 "(
대통령 측은) '탄핵이 기각될테니 헌재를 자극하지 말자'는 전략일 것
"이라고 해석했다. 이 의원은 "
지금 대통령 주변 참모들이나 대통령 본인도 기각을 확신하고 있다고 한다
"며 "
통령이 여러 가지 중요한 이벤트마다 잘못된 보고를 받아서 일을 그르친 사례가 많다"
고 지적했다. 그는
"부산엑스포부터 시작해서 대왕고래도 그렇고, 이번에도 참모들이 잘못된 분위기를 보고하고 있는 것
"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오른쪽)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23년 12월 29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오찬을 갖기에 앞서 환하게 웃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조기 대선 시 국힘 후보는 김문수일 것"



탄핵이 인용되면 윤 대통령이 국민의힘 조기 대선에 실질적으로 개입하는 등 '강공 모드'로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이 의원은 내다봤다. 그는 "
구속이 안 됐으니 이른바 사저 정치를 통해 '윤심(尹心·윤 대통령 의중)'을 드러내려고 할 것
"이라면서도 "(하지만) 대통령 입장에선 본인이 형사재판을 받아야 되는 상황이고, 그 상황에서 적이 많은 건 좋지 않다"고 짚었다. 따라서 "지금은 윤 대통령이 '(한)동훈아, 오지 마' 이러겠지만 나중에 가서는 반대로 본인이 먼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에게) '오랜만에 풀자', 뭐 이런 식으로 얘기해야 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게 이 의원의 예상이다.

국민의힘 조기 대선 최종 후보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의원은 "국민의힘이 지금까지 선거 준비를 하지 않았다. 탄핵이 인용되면 윤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사망하는 계기가 되는데 그러면 '탈상(脫喪)'을 해야 된다"며 "그래야 (윤 대통령) 영향권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경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
(국민의힘은) 끝까지 이분(윤 대통령)을 보내드리지 못하고 붙들고 있었으니까, '정치적 탈상'을 하는 과정이 최소 한 달 가까이 걸릴 것인데 그 기간에 경선이 끝난다
"고 부연했다. 이 때문에 지금 지표상으로 볼 때 김 장관이 최종적으로 여당 대선 후보에 오를 것이라며 이 의원은 "민심의 김문수, 당심의 김문수"라고 표현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79 군정이 통제하는 미얀마‥피해 집계·구조는 더디기만 랭크뉴스 2025.03.29
46078 "선고 지연 이유없다‥헌재 계속 신뢰해야 하나" 들끓는 여론 랭크뉴스 2025.03.29
46077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마지막 1%' 남았다...야간 진화 돌입 랭크뉴스 2025.03.29
46076 '산불사태' 역대 최대 피해 규모…축구장 6만 7000개 크기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29
46075 "헌법 수호 의지 있는가"‥尹에 노·박 전 대통령 대입하면 랭크뉴스 2025.03.29
46074 미얀마 강진 인명피해 급증‥사망 1천644명·부상 3천408명 랭크뉴스 2025.03.29
46073 편의점서 젤리 훔친 6살 아이 지적하자…父 "왜 도둑 취급해" 난동 랭크뉴스 2025.03.29
4607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644명으로 늘어… 부상자 3408명 랭크뉴스 2025.03.29
46071 러 "우크라, 에너지 시설 공격 계속…수자 가스계측시설 파괴" 랭크뉴스 2025.03.29
46070 강남구 아파트서 아내 살해한 6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3.29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